•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Welfare

검색결과 576건 처리시간 0.022초

취업한 발달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Acceptance of Disability on Life Satisfac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Employe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 김영운;선우정옥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75-84
    • /
    • 2021
  • 본 연구는 취업한 발달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도와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중 의사소통 가능 정도의 측정이 가장 높은 2019년도 4차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취업한 발달장애인의 장애수용 정도는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둘째, 취업한 발달장애인의 장애수용 정도는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도는 매개한다. 셋째, 취업한 발달장애인의 장애수용 정도는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는 매개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함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Effect of Home Activity Support Program on Daily Living Performance Skill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heir Parents

  • Ko, Seok-Ho;Kim, Jae-Eun;Koo, Jung-Wa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24-31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if it changes the child's ability to perform daily life activities when visiting the familiar environment and daily living spac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conducting a home activity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and parent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Among 22 children aged 3 to 12 years old, they were assigned to the intervention group and control group. Of these, 12 boys and 10 girls participated in the study.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evaluation were used to measure the physical func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self-care skills, mobility and social functions were evaluated in the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In addition, a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was used to find out the efficacy of parents in raising children. After the pre-evaluation, basic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intervention programs were applied to the intervention group, and only basic rehabilitation treatment was performed to the control group, and post-evaluation was performed 8 weeks later.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among the items that measured the gross motor function, upper limb function, and daily life performance ability of the intervention group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tatistically improved in personal processing and movement (p<0.05). In addition,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children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onclusions: The home activity support program will help strengthen the ability of cerebral palsy children to perform daily life as a way to set mutually agreed goals with their families or children and achieve them in a familiar environment.

루게릭장애인 원스탑지원서비스 개발연구 - 한일사례연구 - (ALS One-stop Support Service Development Study - Korea-Japan Case Study -)

  • 정희경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43-454
    • /
    • 2020
  • 본 연구는 ALS(루게릭)장애인의 병진행 단계에 따른 원스탑지원서비스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목적 달성을 위해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다중사례연구로 분석하였다. 연구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과 일본의 루게릭장애인의 일기, 블로그, SNS, 유트브, 그리고 인터뷰 등을 통해 양국의 지원서비스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루게릭병 발병단계에는 한국루게릭협회와 같은 당사자 조직에 루게릭질환을 경험한 사람이나 가족에 의한 동료상담가를 배치하여야 한다. 연화장애단계에서는 위루술시술 후 소독과 경관식투여와 같은 의료적 처치를 위해 방문간호사의 재택방문횟수가 늘어야 하며, OT,PT에 의한 재택서비스가 필요하다. 호흡장애의 단계에서는 인공호흡기의 착용과 거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호홉기착용단계에서는 루게릭전용활동지원인의 양성과 파견이 필요하다. 또한 주 부양자를 위한 가족쉼터나 루게릭장애인 당사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단기보호센터의 설치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이러한 서비스는 단계별로 연계성 있는 원스탑지원서비스가 되어야 한다.

발달장애아 어머니 삶의 질 구조모형: Self-Help Model을 중심으로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Quality of Lif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Self-Help Model)

  • 양미란;유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08-32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struct and test a predictive model for the quality of life (QOL)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B). The hypothesized model included severity of illness, distress, uncertainty, self-help, and parenting efficacy as influencing factors, QOL as a consequence based on the Braden's Self-Help Model.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direct and online surveys from 206 mothers in 8 locations, including welfare or daycare centers, developmental treatment centers, and The Parents' Coalition for the Disabled located in two provinces of Korea.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WIN 23.0 and AMOS 21.0 program. Results: The fit indices of the predictive model satisfied recommended levels; 𝛘2 = 165.79 (p < .001), normed 𝛘2 (𝛘2/df) = 2.44, RMR = .04, RMSEA = .08, GFI = .90, AGFI = .85, NFI = .91, TLI = .93, CFI = .95. Among the variables, distress (β = - .46, p < .001), parenting efficacy (β = .22, p < .001), and self-help (β = .17, p = .018) had direct effects on QOL. Severity of illness (β = - .61, p = .010) and uncertainty (β = - .08, p = .014) showed indirect effects. The explanatory power of variables was 61.0%.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confirm the utility of Braden's Self-Help Model. They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improving QOL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B.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can relieve mothers' distress and uncertainty related to disease and enhance parenting efficacy and self-help behavior should be considered.

시각장애인의 의복비 지출 현황 조사 및 타인 의존도와 행복의 관계에 미치는 자기효능의 매개효과와 장애 수용의 조절효과 검증 -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 - (Clothing expenditure, and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and moder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in the association between dependency on others and happiness among visually impaired people - Moderated mediating model -)

  • 이민선;박해림;양호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30권6호
    • /
    • pp.842-860
    • /
    • 2022
  • There has been growing attention on the well-be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1)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individuals' socio-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othing expenditure, and (2)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dependency on others and happiness among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is study was based on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the second wave of the 6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collected by the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verage monthly expenditure on cloth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efficacy, happiness,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while being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endency on others. The results also confirmed that self-efficac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ependency on others and happiness. A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dependency on others on happiness was found, in which negative associations were significant among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who had low and mean level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but not high level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nditional indirect effect, in which the indirect and negative effect of dependency on others on happiness via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for those with low and average level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These findings support the importance of enhancing the independence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among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which ultimately contributes to their happiness.

The Impact of Public Transfer Income o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for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in Korea

  • Eun Jee Chang;Sanggu Kang;Yeri Jeong;Sungchan Kang;Su Jin Ka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1호
    • /
    • pp.67-76
    • /
    • 2023
  • Objective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more likely to be impoverished and affected by excessive medical costs than people without disabilities. Public transfer income (PTI) reduces financial strain in low-income households.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PTI o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CHE), focusing on low-income households and households with Medical Aid beneficiaries that contained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s: We constructed a panel dataset by extracting data on registered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2012-2019. We then used a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model to estimate the impacts of PTI on CHE. A subgroup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income levels and health insurance types. Results: As PTI increased, the odds ratio (OR) of CHE in households that contained people with disabilities decreased significantly (OR, 0.92; 95% confidence interval [CI], 0.89 to 0.94; p<0.001). In particular, PTI effectively reduced the likelihood of CHE for low-income households (OR, 0.85; 95% CI, 0.81 to 0.89; p<0.001) and those who received medical benefits (OR, 0.78; 95% CI, 0.68 to 0.89; p<0.001).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positive effect of PTI on decreasing CHE. Household income and the health insurance type were significant effect modifiers, but economic barriers seemed to persist among low-income households with non-Medical Aid beneficiaries. Federal policies or programs should consider increasing the total amount of PTI targeting low-income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that are not covered by the Medical Aid program.

치료감호소의 만성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반려견 방문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Visiting Companion Dog Program on People with Chronic Mental Disability)

  • 김성천;노혜련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6권
    • /
    • pp.1-20
    • /
    • 1998
  • 본 연구는 반려견 방문프로그램이 우리나라의 치료감호소에서 치료받고 있는 정신장애인들에게 어떤 효과를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심한 음성증상을 보이고 치료진이 약물치료외에는 다른 어느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능력이 없다고 평가하고 있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반려견 방문프로그램을 1997년 1월부터 3월까지 약 3개월간 매주 1회 1시간씩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훈련받은 평가자 2사람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음성양성증후군 평가표(PANSS :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을 조사한 결과 환자들의 음성증상과 일반정신병리 증상이 프로그램의 실시이후 실시하기 이전보다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아울러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병동에서 환자들을 관찰한 간호사와 프로그램 중 관찰한 특수치료사가 작성한 척도조사의 결과도 환자들의 대화가 많아지고 얼굴표정이 다양해지는 등의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반려동물이 만정정신장애인의 정서적 정신적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여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밖에 반려견 방문프로그램은 다른 어느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수 없었던 만성정신장애인이 쉽게 참여하고 나름대로의 즐거움을 가질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되었다는 점에서도 매우 의미가 있다.

  • PDF

지역기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관간 연계강화에 관한 연구 : 연계경험 및 예측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omoting Inter-organizational Linkage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 Focusing on Linkage Experiences and Predictors)

  • 이금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35-6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지역기반으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조합하여 규정하고, 이들간의 연계경험과 연계실태 및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조사와 양적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는 삼각측정방식(triangulation)으로 진행되었다. 근거이론에 바탕을 둔 Strauss & Cobin의 절차에 따라 한 지역을 선정하여 담당자들의 연계경험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122개 기관의 연계실태와 연계시도요인, 연계강좌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연계경험은 '다른 기관에 관심돌리기', 즉 '협력추구'과정을 도출되었으며, 협력추구유형으로는 '주도형 협조형 권위형 반응형'으로 분류되었다. 연계실태는 전반적으로 Tobin(1986)의 연계긴밀도 5단계에 따라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관들은 3단계 조정(Coordination)이 필요한 시기로 나타났으며, 정신보건기관과 전통적 재활기관사이에는 '협조(Cooperation)'가 정신보건기관간, 전통적 재활기관간에는'조정'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시도'와 '연계강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구성을 개인요인과 조직요인으로 구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중다귀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인의 '정신장애인 이해를 위한 교육연수경청'이 있을 경우, 조직의 '자원의존도'가 높을수록 연계시도를 할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현 근무지 근무기간'이 길수록, '관련기관 사업인지도'가 높을수록, '정신장애인 이해를 위안 교육연수경험'이 있을 경우, 조직에 '직업재활전담인력'이 있을 경우 연계가 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관간 연계강화방안을 논의하였다.

  • PDF

중도장애, 이혼과 같은 생애위기 경험자의 자기해석 복합성과 심리적 안녕 - 관점의 다각화, 자기수용,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 (Complexity of Self-Constru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People with an Experience of Life-Crisis Due to Physical Disability or Divorce -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Self-Acceptance and Self-Regulation as Mediators -)

  • 현경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4호
    • /
    • pp.193-222
    • /
    • 2010
  • 성인기에 발생하는 중도장애나 이혼과 같은 생애위기는 당사자의 독립성이나 상호의존성에 대한 도전을 수반하여 그러한 자기인식과 해석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생애위기 경험자의 그와 같은 자기해석이 복합적일수록 긍정적인 자기특성이 양성되어 심리적 안녕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자기해석의 복합성과 심리적 안녕 간의 관계가 자기긍정성을 구성하는 세 요인, 즉 관점의 다각화, 자기수용, 자기조절에 의해 매개되는 경로를 조사하였다. 편의표집에 의해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중도장애인, 이혼인, 일반인 비교집단 총 359명을 조사한 결과, 생애위기 경험집단이 평균적으로 일반인 비교집단에 비해 독립적 자기해석이 높았고,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이 낮았다. 복합적인 자기해석은 예측대로 의미 발견과 의미 부여를 돕는 관점의 다각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었고 이를 통해 자기수용, 자기조절과 같은 긍정적 태도에 기여하였으며, 이 중 관점의 다각화와 자기수용을 통한 경로로 생애위기의 경험여부와 상관없이 응답자들의 심리적 안녕, 즉 긍정적 정서의 경험과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의 감소를 도왔다. 관점의 다각화가 우울을 직접 낮추는 효과는 예측대로 생애위기 경험집단에서만 나타났고, 긍정적 정서를 양성하는 직접효과는 모든 집단에서 발견되었다. 따라서 관점의 다각화가 생애위기의 경험자들 사이에서는 의미 발견과 긍정적 태도 양쪽에 탄력을 주어 적응과 심리적 안녕을 돕는 반면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우선적으로 긍정적 태도, 긍정적 정서 등 긍정성을 키워 심리적 안녕에 기여함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관점의 다각화와 복합적인 자기해석이 역경극복에 동력이 되는 의미 찾기를 도우며 긍정적 태도를 양성하여 생애위기 경험자의 심리적 안녕에 기여하는 기제와 심리적 자원으로 각각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영국의 케어 제공자에 관한 정책 연구: 보호자 권리와 유급고용의 질 강조 (The Policies of Care Providers in the United Kingdom: Towards Emphasis On Carers Rights and Quality Employment)

  • 이가옥;우국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2호
    • /
    • pp.185-204
    • /
    • 2005
  • 본 연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케어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영국 정부가 시행해 온 정책과 제도를 살펴보았다. 영국 정부는 최근 케어 수요와 공급 간의 불균형이 초래할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가족과 시장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이 두 영역에 대해 초기의 의도와는 달리 점차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비공식적 보호자인 케어러에 대해서는 보상과 인정을 주는 형태로, 공식적 보호자인 유급 케어워커에 대해서는 규제와 감독 강화를 통한 질적 통제라는 형태로 정부 기능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케어러의 지위와 권리 향상을 위해 3가지 법률이 제정되었으며, 유급 인력의 자격 강화를 위해 케어기준법과 그에 기반 한 5가지 공식 기구가 발족되었다. 이러한 제도적 정비 과정에서 영국은 비공식적 보호자에 대해서는 적극적 시민권이란 새로운 이념으로, 유급 케어워커에 대해서는 사회서비스의 현대화 가치라는 이념으로 그 기반을 다지고 있다. 그러나 영국의 케어 정책은 점차 혼자서 살아가기 어려운, 시장에서 케어를 사적으로 구입하기가 어려운 보다 열악한 환경에 놓인 서비스 이용자들을 외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