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LS One-stop Support Service Development Study - Korea-Japan Case Study -

루게릭장애인 원스탑지원서비스 개발연구 - 한일사례연구 -

  • 정희경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20.03.23
  • Accepted : 2020.04.27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one-stop support service for the ALS. To achieve the purpose, the cases of Korea and Japan were researched. The data used in the multiple-case study mainly referred to diaries, blogs, social networking sites, Youtube, and interviews of the disabled with ALS disease in Korea and Japan, and analyzed support services of both countri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in the onset stage of ALS disease, a fellow counselor should be assigned by family member or person who experienced the disease from KALSA or other organizations to which a patient belongs. Also, it need a counseling by fellow counselor in the stage of softening disability. And after the gastrointestinal procedure, the number of home visits by visiting nurses should increase, and other services by OT and PT are required. In the stage of wearing a respirator, it needs to train and dispatch volunteers for ALS exclusive activities. And it is necessary to set up a family rest area or a respite service for the mentally and physically exhausted primary caregiver by long-term care. Most of all, these services should be one-stop support with linking step by step, not fragmentary support.

본 연구는 ALS(루게릭)장애인의 병진행 단계에 따른 원스탑지원서비스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목적 달성을 위해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다중사례연구로 분석하였다. 연구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과 일본의 루게릭장애인의 일기, 블로그, SNS, 유트브, 그리고 인터뷰 등을 통해 양국의 지원서비스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루게릭병 발병단계에는 한국루게릭협회와 같은 당사자 조직에 루게릭질환을 경험한 사람이나 가족에 의한 동료상담가를 배치하여야 한다. 연화장애단계에서는 위루술시술 후 소독과 경관식투여와 같은 의료적 처치를 위해 방문간호사의 재택방문횟수가 늘어야 하며, OT,PT에 의한 재택서비스가 필요하다. 호흡장애의 단계에서는 인공호흡기의 착용과 거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호홉기착용단계에서는 루게릭전용활동지원인의 양성과 파견이 필요하다. 또한 주 부양자를 위한 가족쉼터나 루게릭장애인 당사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단기보호센터의 설치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이러한 서비스는 단계별로 연계성 있는 원스탑지원서비스가 되어야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7S1A5A8022292)

References

  1. 정희경, 허숙민. (2015a). 루게릭환자 가족의 부양부담에 관한 융복합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3권 8호, pp. 559-567. https://doi.org/10.14400/JDC.2015.13.8.559
  2. 한국루게릭협회, www.kalsa.org, 2020.03.01.
  3. 정희경, 허숙민. (2015b). ALS지원제도 한, 일 비교 연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8(2): 229-252.
  4. 유진경, 정희경. (2018). 루게릭장애인 배우자 삶의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장애인복지연구, Vol. 40, No. 40.
  5. 박재훈, 선우현. (2012). 가족놀이치료를 통한 희귀 난 치성질환 환우 가족의 상호작용변화연구 :루게릭질환 환우가족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6. 박기형. (2005). 난치병의 이해, 동국대학교 석사 논문
  7. 백숙희. (2005). 근위축성즉삭경화증 환자 가족원의 부담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8. 윤미현. (2010). 근위축성측삭경화증 환자를 돌보는 가족간호자의 삶의 질과 영향요인, 서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윤미현, 최스미. (2011). 근위축성측삭경화증 환자를 돌보는 가족간호자의 삶의 질과 영향 요인, 간호학의 지평, 8(1): 62-72.
  10. 허현숙, 최스미. (2013). 근위축성측삭경화증 환자의 삶의 질, 재활간호학회지 16(2): 122-132. https://doi.org/10.7587/kjrehn.2013.122
  11. 오주연. (2014). 근위축성측삭경화증 환자의 질병 단계에 따른 사회경제적 질병비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은영. (2015).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13. 湯浅龍彦. (2005) 延命処置を望まない筋萎縮性側索硬化症(ALS)患者に関する考察, 医療, 59. 7, pp. 353-357.
  14. 宮坂道夫. (2007) 難病患者と尊厳死問題─死についての,自己による事前判断の倫理的妥当性への疑問─(老いること,衰えること,死を迎えること). 医学哲学医学倫理, 25, pp. 141-141.
  15. 이은원, 송지영. (2019). 지체장애인의 정신적 건강상태 영향요인, 한국엔터테이먼트산업회, 13(6), pp. 287-295.
  16. Yin, R. K. (2009).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17. 박진영. (2012). "사회문화예술교육 수업사례 연구: 사례내적 및 사례 간 분석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18(4): 173-205.
  18. 신경림, 고명숙, 공병혜, 김경선, 김미영, 김은하, 노승옥, 노영희, 양진향, 조명옥. (2004).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 生存学センター, 在宅生活, 自立への一歩 http://www.arsvi.com/2010/201710mh.htm/2020.02.04
  20. 탁지훈 (2017). "거동 못하는 루게릭 환자, 간병비 없어 쫓겨날 판", 브레이크뉴스 http://breaknews.com/sub_read.html?uid=529043§ion=sc2 /2020.02.10.
  21. 정희경. (2018 역). 루게릭 활동지원메뉴얼, 미발간 자료
  22. 難病支援センター https://www.nanbyou.or.jp/2020.03.01
  23. 難病相談支援センター, 難病相談支援センターとは https://www.nanbyou.or.jp/entry/1361/ 2020.01.08.
  24. 日本ALS協会, ALSと診断されたら http://alsjapan.org/ 2020.02.10.
  25. さくら会, ケアされるひとも笑顔であるように http://sakura-kai.net/pon/2020.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