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8초

2',4'-Dimethoxychalcone 유도체 합성 및 비소폐암세포주에서 항암 활성평가 (Synthesis of 2',4'-Dimethoxychalcone Derivatives and Evaluation of Their Antitumor Activities Against Non-small Cell Lung Cancer)

  • 최명아;정주희;오용진;이영숙;서영호
    • 약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135-140
    • /
    • 2016
  • Heat shock protein 90 (Hsp90) is a ubiquitous molecular chaperone, which is associated with stabilization of many oncogenic proteins for cancer cell survival. Hsp90 is overexpressed 2-10 fold higher in cancer cells than normal cells. Due to its potential to simultaneously disable multiple signaling pathway, Hsp90 has been identified as a validated target for cancer therapy. Accordingly, we designed and synthesized 2',4'-dimethoxychalcone derivatives to inhibit Hsp90 chaperone function. Among 2',4'-dimethoxychalcone derivatives, we found that compound 1g disrupted Hsp90 chaperoning function and impaired the growth of cancer cell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1g could serve a potential lead compound to target Hsp90 in cancer chemotherapy.

장애인 실업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Affecting Employment of the Unemployed Disabled)

  • 강봉석;염동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15-120
    • /
    • 2015
  • 본 연구는 장애인고용패널조사 1차년부터 5차년도까지 자료를 사용하여 콕스비례위험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은 실업기간에 따른 장애인 실업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을 분석하여 장애인의 취업지원에 필요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요인과 장애요인, 사회환경요인을 모두 고려한 모델이 검증되었으며, 장애인의 주관적 SES가 높을수록 장애인 실업자의 취업률이 높아지며, 중증장애인에 비해 경증장애인이 취업에 유리하였으며, 상대적으로 근로외 소득이 낮을수록 취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과 함의를 제안하였다.

  • PDF

최신 버전의 Themida가 보이는 정규화가 어려운 API 난독화 분석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Method to API Wrapping that Difficult to Normalize in the Latest Version of Themida)

  • 이재휘;이병희;조상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1375-1382
    • /
    • 2019
  • 최근 상용 프로텍터인 Themida의 최신 버전이 업데이트되면서, 추적할 초기 데이터를 제공하는 가상 메모리 할당을 사용하지 않도록 변경해 기존 연구의 정규화된 대응방안을 적용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실행 중에 결정되는 값이 많아 동적으로 추적하기 수월했던 기존의 버전에 비해, 프로텍터를 적용하는 시점에 결정된 고정값이 많아 동적으로 추적하는데 어려움이 생겼다. API 난독화 과정을 정규화하기 어려워지도록 최신 버전의 Themida가 어떤 방식을 채용했는지 알아보고, 이를 해제하는 자동화된 시스템을 추후 개발하기 위해 어떠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지 가능성을 검토해 본다.

스피어 피싱 대응을 위한 관리적 보안대책에 의한 접근 (On the administrative security approaches against spear phishing attacks)

  • 손유승;남길현;고승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753-2762
    • /
    • 2013
  • 최근 정보보호 기술의 발전으로 사이버 공격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조직의 시스템이나 네트워크에 대한 보호 대책이 강화되면서 최종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회공학적 기법을 이용하는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기업이나 정부기관을 대상으로 중요한 기밀 데이터를 절취하거나 중요 서비스를 무력화하는 지능형지속위협(APT, Advanced Persistent Threat) 공격의 약 91%가 스피어 피싱 이메일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논문에서는 스피어 피싱 공격의 특성과 보안 위협을 자세히 분석하여 기술적인 통제항목만으로 스피어 피싱 공격에 대응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설명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스피어 피싱 공격에 대한 관리적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개인용 저주파 자극기의 특성분석 및 Prototype개발 (A Prototype Development of Personal Low-frequency Stimulator with Characteristic Analysis)

  • 이기송;이동하;유재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B
    • /
    • pp.349-352
    • /
    • 2003
  • A personal low-frequency stimulator is a portable device to relax muscle pains of a person. The stimulator generates combined low-frequency pulses to be applied to pads attached to painful muscles. This paper reports a development of such device with its characteristic analyses. The major components of our stimulator are MCU, high-voltage generating circuit part, high-voltage switching circuit part, input switch part and display unit. High-voltage generating circuit is designed by using a boost converter circuit and allows user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High-voltage switching circuit, controlled by MCU, generates output voltage to be applied to pads. Input switch part is composed of power supply, intensity selection, mode selection and memory. Display unit adopts a text LCD module to display modes, Intensity, output frequency and user set-up time. Our designed safety circuit, to protect human body from possible electric shock, slowly increases the output voltage to the selected output intensity. It continuously checks the output pulse shape and disable the output when dangerous pulses are detected. This paper also shows some experimental results.

  • PDF

장애인 치과진료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인식과 교육 필요성 (Dental hygienists' recognition and education necessity for dental treatment for the disabled)

  • 서영주;양송이;궁화수;오상환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0-77
    • /
    • 2023
  •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wareness of considerations in dental treatment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need for education on dental treat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for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medical institu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dental treatment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dental treatment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dental hygienists. A total of 221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care institutions nationwide participated in a self-administered online questionnaire from November 2 to 15, 2022.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ttitudes of dental hygienists toward the disabled, their recognition of considerations in dental treatment for the disabled, the need for education on dental treatment for the disabled, and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in providing dental treatment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improve these factors, it is important to implement and expand systematic dental care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school curriculum, as well as in supplementary education and seminars.

리튬 이차 전지용 실리콘 나노입자 음극의 고온 열안정성에 대한 Lithium bis(oxalato)borate첨가제의 효과 (Effect of Lithium Bis(Oxalato)Borate Additive on Thermal Stability of Si Nanoparticle-based Anode)

  • 김민정;최남순;김성수
    • 전기화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9-85
    • /
    • 2014
  • 리튬2차전지용 음극활물질로 연구되고 있는 실리콘은 흑연에 비하여 높은 이론용량 (4200mAh/g for $Li_{4.4}Si$)을 가지기 때문에 고용량 음극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실리콘 음극은 반복적인 충방전에 의해 활물질 입자의 심각한 부피변화와 균열에 의한 새로운 표면이 전해액에 계속적으로 노출되는 문제로 인하여 두껍고 불안정한 피막생성을 유도한다. 불안정한 구조의 피막은 실리콘 음극의 전기화학적 성능뿐만 아니라 고온 열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의 열안정성 향상을 위해 전해액 첨가제를 도입하여 피막구조를 변경하고자 한다. 전해액 첨가제인 lithium bis(oxalato)borate (LiBOB)가 실리콘 음극표면에 피막을 효과적으로 형성하였으며, 만충전 상태의 실리콘 음극의 $60^{\circ}C$ 저장시 용량유지 특성을 개선하였으며 고온에서의 열안정성 크게 향상시켰다.

사회복지사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 분석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Library Services Perceptions of the Social Workers)

  • 김선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9-122
    • /
    • 2013
  • 최근에 국립장애인도서관(The National Librar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이 개관함으로써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봉사에 관심이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의 장애인 봉사를 한 단계 더 높이기 위하여, 장애 및 복지분야의 전문가인 사회복지사(social worker)의 도서관 인식(library perception)을 근거로 두 직종간의 협력방안을 정책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책적 협력방안은 다음과 같다: (1)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서와 사회복지사와의 전문소통 채널을 구축해야 한다. (2) 사회복지사에게 도서관과 사서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야 한다. (3) 사서의 사회복지분야 전문지식의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4) 사서와 사회복지사 업무간의 명확한 정체성을 확립하여야 한다.

상지기능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 폰의 입력 접근성 분석 (Accessibility Analysis of Android-based Smart Phones Targeted at People with Upper Limb Dysfunctions)

  • 김경식;송병섭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67-272
    • /
    • 2016
  •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로 대표되는 초고속 정보 통신기술시대에 장애인과 노인은 정보 통신 분야에서 이른바 ' 상대적 약자'의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이는 스마트폰 등 정보통신기기의 사용에 있어서의 불편함만으로 그치지 않고, ICT 기반의 현대 생활 전반에서 어려움을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뇌병변, 경추, 근육병, 지체장애 등의 상지기능장애를 수반하는 장애유형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접근성 항목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특히 쥐는힘이 상대적으로 약한 상지 기능 장애인은 잡기 및 회전 등의 작업이 필요한 상황에서 큰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의 특성을 반영한 입력 키보드의 지침 부족하며, 장애 유형에 따른 설문 조사 결과로는, 중증의 척수 장애를 지닌 사용자 집단이 스마트폰 사용에 있어 가장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수장애인 신체활동 증가를 위한 피트니스 아바타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Fitness Avatar Model for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in Individual with Spinal Cord Injury)

  • 강선영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3_1호
    • /
    • pp.65-7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척수장애인의 신체활동 증가를 위한 피트니스 아바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해마다 장애인구의 비율은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 지체장애인에 포함되는 척수장애인의 비율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 마비로 인해 체육시설로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척수장애인들의 신체활동 필요성이 더욱 절실한 상황에서 이들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신체활동 방법으로 가상현실에 기반을 둔 신체활동량 증가 방법은 가장 혁신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방식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척수장애인의 다양한 신체활동을 활성화하고 보급하기 위하여 신체활동 전후로 용이한 방법을 통한 건강 및 체력 검사를 진단받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과 지속적인 신체활동 수행을 위한 지원체제의 확립이 필수적이며, 둘째, 지속적 신체활동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동기부여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이를 위하여 신체활동 변화단계를 고려하고 단계별 수준에 적합한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하며 중재 효과를 검증하는 과정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