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ospyros lotu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6초

고욤나무 잎으로부터 활성유도 분획법에 의한 α-Glucosidase 저해물질 분리 및 확인 (Bio-assay Guided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α-Glucosidase Inhibitors from the Leaves of Diospyros lotus)

  • 김상준;김지애;김다혜;곽설화;유강열;장선일;김선영;정승일
    • 생약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05-108
    • /
    • 2015
  • To establish the anti-diabetic(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D. lotus leaf extract, isolate and identify the constituents responsible for the activity. The methanolic extract of leaves was partitioned between water, n-butanol and ethyl acetate. Bio-assay guided fractionation, based on inhibition of ;${\alpha}$-glucosidase, allowed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active components.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LC/MS), 1 H-NMR and 13 C-NMR spectra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active compound was myricetin-3-O-;${\alpha}$-L-rhamnoside(1). Compound 1 demonstrated a strong inhibition on the α-glucosidase, in vitro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value was calculated as 98.08%, when that of a reference drug, acarbose was estimated as 83.03%. The present study indicates compound 1 could be considered as an ;${\alpha}$-glucosidase inhibitor and developed as an important antidiabetes agent for type II diabetes therapy.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 Waterhouse)의 기주식물과 기주선호도 (Host Plants and Preference of Brown Chafer, Adoretus tenuimaculatus Waterhouse (Coleoptera: Scarabaeidae))

  • 이동운;추호렬;정재민;이상명;이태우;박영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6-165
    • /
    • 1997
  • 다식성 산림해충인 주동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 Waterhouse)의 기주식물과 기주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야외조사에서는 25과 66종류의 식물을 가해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먹이공급 실험을 통하여는 5과 14종의 식물을 식해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헌상에 있는 32과 136종류의 기주식물을 합하면 주둥무늬차색풍뎅이의 기주식물은 총 42과 186종류가 되었다. 이들 중 새로 밝혀진 기주식물은 19과 50종이었다. 한편, 15과 39종의 식물을 대상으로 기주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이 유인된 것은 호두나무(Juglans sinensis)였으며, 가장 많이 식해한 식물은 밤나무(Castanea crenata)였다. 유인율과 피해도가 높은 수종들은 밤나무,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sia), 아그배나무(Malus sieboldii), 호두나무,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갈참나무(Q. aliena)였다. 그러나 고욤나무(Diospyros lotus), 혹호도(Juglans nigra), 들메나무(Fraxinus mandshurica), 물푸레나무(F. rhynchophylla), 파란칸타(Pyracantha angustifolia),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팽나무(Celtis sinensis)등에는 전혀 유인되지 않았다. 동일 종류의 식물일지라도 지역에 따라 주둥무늬차색풍뎅이가 가해하였던 것과 가해하지 않았던 경우가 있었으며, 피해 정도도 지역과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 PDF

고욤잎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및 alpha-glucosdiase 저해 활성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정량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of Extracts or Fractions from Diospyros lotus L. Leave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ir Flavonoid Compounds)

  • 김선영;김상준;김지애;김다혜;곽설화;정창호;전인화;장선일;정승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935-945
    • /
    • 2014
  • 고욤잎은 주로 음료로 소비되지만 아시아 지역에서는 민간약품으로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욤나무 잎 추출물의 생리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n-Hexane, $CHCl_3$, EtOAc (EA), n-BuOH을 포함한 다양한 용매 분획을 고욤잎의 MeOH 추출추출부터 얻었다. 식물성 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강력한 생물학적 활성과 의약소재 결정에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EA 분획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다른 분획에 비해 높았다. 고욤잎 추출물의 생리 효능으로서 항산화 효능은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과 SOD 활성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항당뇨 효능은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를 통해 확인하였다. 높은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 노이드 함량을 보인 EA 분획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과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을 보였다. EA 분획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추가 정제하여 8개의 분획을 얻었다. 극성이 높은 분획물에서 항산화 효능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 이 높게 확인되었다. 효능이 높게 확인된 분획 및 정제물에서 quercetin-3-rutinoside, kaempferol-3-O-glucoside, myricetin, luteolin, kaempferol을 포함한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욤잎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당뇨 효능을 가지며 천연 건강 제품의 소재로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약용식물, 노루발(Pyrola japonica)에서의 감귤선충(Tylenchulus semipenetrans Cobb)의 기생 (A New Host of Citrus Nematode, Tylenchulus semipenetrans Cobb, in Korea)

  • ;박소득;김재철;김세종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22-624
    • /
    • 1998
  • During the course of study on plant parasitic nematodes associated with medicinal herbs in Korea, high population of different stages of citrus nematode, Tylenchulus semipentrans was found in association with Pyrola japonia Klenze in Imsil, Chunbuk province. The second stage larvae and males were isolated from rhizosphere soil ; immature and mature females were detached from the roots of infested plants of Pyrola japonica. Besides citrus it has been reported to parasitize on roots of Syringa vulgaris, Diospyros lotus, olive, grapevine, and pear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 semipenetrans parasitized on a medicinal plant, Pyrola japonica.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flowers attractive to honey bees and bumblebees

  • Dekebo, Aman;Kim, Min-Jung;Son, Minwoong;Jung, Chuleu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1호
    • /
    • pp.62-75
    • /
    • 2022
  • Background: Pollinators help plants to reproduce and support economically valuable food for humans and entire ecosystems. However, declines of pollinators along with population growth and increasing agricultural activities hamper this mutual interaction. Nectar and pollen are the major reward for pollinators and flower morphology and volatiles mediate the specialized plant-pollinator interactions.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volatile profiles attractive to honey bees and bumblebe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the flowers of 9 different plant species that are predominantly visited by honey bees and bumblebees.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volatiles were determined using a head space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method, designed to understand the plant-pollinator chemical interaction. Results: Results showed the monoterpene 1,3,6-octatriene, 3,7-dimethyl-, (E) (E-𝞫-ocimene) was the dominating compound in most flowers analyzed, e.g., in proportion of 60.3% in Lonicera japonica, 48.8% in Diospyros lotus, 38.4% Amorpha fruticosa and 23.7% in Robinia pseudoacacia. Ailanthus altissima exhibited other monoterpenes such as 3,7-dimethyl-1,6-octadien-3-ol (𝞫-linalool) (39.1%) and (5E)-3,5-dimethylocta-1,5,7-trien-3-ol (hotrienol) (32.1%) as predominant compounds. Nitrogen contain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were occurring principally in Corydalis speciosa; 1H-pyrrole, 2,3-dimethyl- (50.0%) and pyrimidine, 2-methyl- (40.2%), and in Diospyros kaki; 1-triazene, 3,3-dimethyl-1-phenyl (40.5%). Ligustrum obtusifolium flower scent contains isopropoxycarbamic acid, ethyl ester (21.1%) and n-octane (13.4%) as major compounds. In Castanea crenata the preeminent compound is 1-phenylethanone (acetophenone) (46.7%). Conclusions: Olfactory cues are important for pollinators to locate their floral resources. Based on our results we conclude monoterpenes might be used as major chemical mediators attractive to both honey bees and bumblebees to their host flowers. However, the mode of action of these chemicals and possible synergistic effects for olfaction need further investigation.

유용 자원식물의 진균성 신병해(III) (New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in Korea (III))

  • 신현동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7-209
    • /
    • 1995
  • This paper is a third report about the new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in Korea. It contains short descriptions on symptoms, occurrence conditions, pathogen, and some phytopathological notes for each of 10 fungal plant diseases. They are angular leaf spot of Achyranthes japonica by Cercospora achyranthis causing leaf spot and defoliation in the shade of plants, leaf spot of Armoracia lapathifolia by Cercospora armoraciae causing leaf spot to blight from the rainy season to autumn, hypophyllous mold of Dioscorea tokoro by Distocercospora pachyderma causing leaf spot and yellowing, hypophyllous mold of Artemisia spp.by Mycovellosiella ferruginea causing leaf spot and yellowing, angular leaf spot of Aralia elata by Pseudocercospora araliae causing velvety leaf spot and defoliation, hypophyllous mold of Lycium chinense by Pseudocercospora chengtuensis causing velvety leaf spot and defoliation from the rainy season to autumn, angular leaf spot of Diospyros lotus by Pseudocercospora disospyri-morrisianae causing leaf spot and defoliation from summer to autumn, brown leaf spot of Impatiens textori by Pseudocercospora nojimae causing leaf spot to blight from the rainy season, leaf spot of Cephalonoplos segetum by Ramularia cirsii causing leaf spot to blight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and white mold of Leonurus sibiricus by Ramularia leonuri causing leaf spot to blight mostly in autumn.

  • PDF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의 기주식물 (Host Plants of Popillia quadriguttata (Coleoptera: Scarabaeidae))

  • 이동운;추호렬;정재민;이상명;사공영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5-19
    • /
    • 2002
  • 골프장 주요 해충인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 성충의 기주식물을 경남지역의 골프장에서 알아본 결과, 골프장에서는 13과 15속 15종의 식물을 식해하는 것이 관찰됨으로서 기존 문헌기록의 8과 11속 11종을 합하여 총 18과 25속 26종의 기 주식물이 기록되었다. 녹색콩풍뎅이의 섭식 가능 식물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에서 조사한 결과, 34과 70종의 제공 식물 중 19과 30종을 섭식하였다. 골프장에서는 등나무를 선호하였고. 실내 실험에서는 찰피나무와 석류, 버즘나무, 이팝나무, 고욤나무를 선호하였다.

內延山 一帶 森林植生의 群落分類에 關한 硏究 (A Study on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Naeyeon)

  • 윤충원;이병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2호
    • /
    • pp.83-91
    • /
    • 2002
  • 내연산의 삼림식생을 대상으로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군락단위 및 그 하위 단위를 분류하고, 분류된 각 단위와 환경사이의 상관관계를 서열법으로 해석하여 내연산 산림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군락단위는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이 구분되었고, 하위단위는 철쭉꽃군과 참회나무군, 굴참나무군락에서 우산나물군, 털조록싸리군 및 찰피나무군, 느티나무군락에서 까치박달군과 고욤나무군이 각각 세분되었다. 따라서 내연산 일대의 산림은 5개군락, 7개군으로 총 9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CCA 방법으로 식생과 환경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내연산 지역의 식생단위는 해발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군락의 철쭉꽃군과 참회나무군은 해발고와 지형이 높은 곳과 노암율이 낮은 곳에 각각 분포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느티나무군락은 신갈나무군락과 역의 관계로 나타났다. 앞으로 산림식생관리시 특히 계곡림에 대해서는 교목층의 우점종들이 상관적으로 이질적인 모습을 하고 있더라고 하나의 관리단위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내연산(內延山) 일대(-帶) 삼림식생(森林植生)의 군락분류(群落分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Naeyeon)

  • 이병천;윤충원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3호
    • /
    • pp.153-161
    • /
    • 2002
  • 내연산의 삼림식생을 대상으로 ZM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군락단위 및 그 하위단위를 분류하고, 분류된 각 단위와 환경사이의 상관관계를 서열법으로 해석하여 내연산 산림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군락단위는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이 구분되었고, 하위단위는 신갈나무군락에서 철쪽꽃군과 참회나무군, 굴참나무군락에서 우산나물군, 털조록싸리군 및 찰피나무군, 느티나무군락에서 까치박달군과 고욤나무군이 각각 세분되었다. 따라서 내연산 일대의 산림은 5개군락, 7개군으로 총 9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CCA 방법으로 식생과 환경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내연산 지역의 식생단위는 해발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군락의 철쪽꽃군과 참회나무군은 해발고와 지형이 높은 곳과 노암율이 낮은 곳에 각각 분포하는 경향이었다. 한편 느티나무군락은 신갈나무군락과 역의 관계로 나타났다. 앞으로 산림식생관리시 특히 계곡림에 대해서는 교목층의 우점종들이 상관적으로 이질적인 모습을 하고 있더라도 하나의 관리단위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