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latometer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초

팩커를 이용한 공내재하 시험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Packer-Dilatometer Method)

  • Kern Shin Yoon
    • 지질공학
    • /
    • 제8권2호
    • /
    • pp.189-203
    • /
    • 1998
  • 상업용 Packer를 이용하여 시추공내에서 암반의 변형율 측정 할 수 있는 Dilatometer방법을 개발하였다. 직경 0.5인치, AX, BX, NX 및 HX크기의 시추 공에서 사용 할 수 있는Packer-dilatometer를 개발하여 현장에서 암반 변형율을 측정하였다. 본 방법은 Packer에 의하여 시추 공 벽에 압력을 가하여 이때 발생된 암반의 변형을 Packer에 주입된 주입수의 양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방법의 이론적 해석, 장비, 시험방법 및 순서, Calibration 정수 산정을 위한 장비 및 방법, Contact pressure의 측정 및 이를 이용한 현장조사 결과에 대한 연구 내용을 기술 하였다.

  • PDF

Dilatometer를 이용한 인천국제공항 지역의 지반개량효과 평가 (Evaluation to the effect of ground improvement at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area using the Flat Dilatometer)

  • 김종국;김학중;전창대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09-316
    • /
    • 2000
  • When highly compressible, clayey soil layers lies at a limited depth and large consolidtion settlements are expected as the result of construction, precompression of soil may be used to minimize postconstruction settlement.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about the effect of ground improvement using flat dilatometer at the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where preloading was installed. Field and laboratory tests were performed for soft ground before and after preloading in order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 soft ground improvement and compared with the test results of dilatometer which obtained before and after preloading at the same location Field tests such as flat dilatometer, vane, CPTu tes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preloading and undisturbed samples are obtained to carry out laboratory tests. As comparing results, after preloading, unit weight, effective stress, undrained shear strength were increased and we can also check the decrease of consolidation late caused of decrease of void ratio. Furthermore, it is assumed that the possibility on the effect of ground improvement by using the flat dilatometer

  • PDF

사질토의 변형특성 평가를 위한 딜라토미터 시험의 활용 (Dilatometer test for evaluating deformation characteristics in sand)

  • 이문주;홍성진;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241-252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lication of dilatometer test for evaluating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granular soil. $K_D$ is the most sensitive to the stress history among CPT and DMT measurements, and $E_D$ and $q_c$ are observed to be similarly affected by the stress history. The coefficient of at-rest earth pressure($K_0$) is an indirect measure evaluating the stress history of granular soil. A relation using only DMT indices provides appropriate prediction of $K_0$ values. Although penetration of dilatometer inevitably induces the failure of cementation bonds, $E_D$ reflects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undamaged cementation relatively well. Therefore, a slightly better prediction of M value for cemented sand is achieved by using $E_D$ rather than $q_c$. Because of the weaker particle strength of calcareous sand compared than quartz sand, the majority of sand particles adjacent to dilatometer probe will be crushed during penetration. The particle crushing will induce the less contraction of the dilatometer membrane during penetration, consequently, the smaller $K_D$ and $E_D$ of calcareous sand.

  • PDF

In-situ 고온 딜라토미터를 이용한 탄화붕소의 소결거동 연구 (A Study of the Sintering Behavior of Boron Carbide using In-situ High Temperature Dilatometer)

  • 이혁재;김범섭;정태주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2-107
    • /
    • 2014
  • A high temperature dilatometer attached to a graphite furnace is built and used to study the sintering behavior of $B_4C$. Pristine and carbon doped $B_4C$ compacts are sintered at various soaking temperatures and their shrinkage profiles are detected simultaneously using the dilatometer. Carbon additions enhance the sinterability of $B_4C$ with sintering to more than 97% of the theoretical density, while pristine $B_4C$ compacts could not be sintered above 91% due to particle coarsening. The shrinkage profiles of $B_4C$ reveal that the effect of carbon on the sinterability of $B_4C$ can be seen mostly below $1950^{\circ}C$. The high temperature dilatometer delivers very useful information which is impossible to obtain with conventional furnaces.

CPT와 DMT를 이용한 고결모래의 변형계수 추정 (Estimation of Deformation Modulus of Cemented Sand using CPT and DMT)

  • 이문주;최성근;홍성진;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484-49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ementation effect on cone resistance and DMT indices and to evaluate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 of cemented sand using cone resistance and dilatometer modulus. Specimens of various relative densities with three different cementation levels are prepared in a large calibration chamber under different vertical stress levels. Test result shows that the cone resistance and dilatometer modulus underestimate the deformation modulus of cemented sand, since in situ penetration tests such as CPT and DMT damage the cementation bonds during penetration. By regression analysis, the constrained modulus of cemented sand is related with the cone resistance and the dilatometer modulus.

  • PDF

국내 연약지반의 신뢰성있는 비배수 전단강도 추정을 위한 flat DMT와 인공신경망 이론의 적용 (Application of Flat DMT and ANN for Reliable Estimation of Undrained Shear Strength of Korean Soft Clay)

  • 변위용;김영상;이승래;정은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7-25
    • /
    • 2004
  • DMT 시험은 연약지반의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현장 시험방법으로, 이 방법으로부터 구한 비배수 전단강도는 가장 신뢰성 있고 유용한 매개변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외 다른 지역의 자료를 토대로 기존에 제안된 상관관계식들은 지역적인 특성에 의존한다. DMT 시험 결과는 3가지 중간 지수 - 재료지수, 수평응력지수, dilatometer modulus를 사용하여 해석이 이루어지며 특히 비배수 전단강도는 수평응력지수만을 이용하여 예측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DMT 시험의 국내 연약지반에서의 적용성을 살펴보았으며 DMT로부터 비배수 전단강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p_0, p_1, p_2, {\sigma '}_v$ 그리고 초기 간극수압을 바탕으로 인공신경망 모델을 개발하였다. 인공신경망 모델은 오차 역전파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국내 연약지반에서 수행된 DMT 시험 자료를 이용하여 훈련하였다. 인공신경망 모델의 적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훈련에 이용되지 않은 자료로부터 예측된 결과와 기존에 제안된 상관관계식으로부터 얻은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입자 파쇄가 사질토의 DMT 결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ticle Crushing on the Results on DMT in Sand)

  • 이문주;최영민;김민태;배경두;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740-746
    • /
    • 2010
  •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calcareous sand are the particle angularity and hollow structure. These characteristics lead to the different behavior of calcareous sand compared to siliceous sand. This study performs a series of dilatometer test using calibration chamber,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particle characteristic of calcareous sand on DMT indices. From experimental test, it is observed that the horizontal stress index($K_D$) and dilatometer modulus($E_D$) of calcareous Jeju sand is underestimated compared to siliceous sand. This is because the particle crushing during penetration induces the less contraction of the dilatometer membrane. A slightly smaller influence of particle crushing is reflected in $E_D$ rather than $K_D$, because $P_1$ pressure reflects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un-crushed particle relatively well. It is also observed that $K_D$ of Jeju sand is differently influenced by the vertical effective stress compared with that of siliceous sand.

  • PDF

연약지반조사를 위한 전기비저항 탄성파 Flat DMT 장비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Resistivity Seismic Flat Dilatometer Testing System for Characterizing Soft Soil Site)

  • 방은석;성낙훈;김영상;박삼규;김정호;김동수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7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1-256
    • /
    • 2007
  • The aim of this paper is development of resistivity seismic dilatometer (RSDMT) system. The resistivity module for obtaining apparent resistivity depth plot and seismic module for obtaining shear wave velocity (Vs) depth plot are attached to the conventional flat dilatometer testing equipment. From shear wave velocity profile, the stiffness at low strains of a site can be evaluated in undisturbed condition. And the resistivity value contains some information about water content and mineral characteristics of clayey soil. Specially manufactured resistivity and seismic modules were connected between commercialized DMT blade and drilling rod. To enhance reliability and repeatability of RSDMT test, automatic testing system including notebook based data acquisition system and automatic surface source system were developed. RSDMT system can be performed rapidly and can obtaine more reliable data at the same point compared with the separated testing system. The verification studies for the developed RSDMT system are going to be performed. From these studies,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ed hybrid testing system will be checked in light of proper evaluation of geotechnical design parameters of clayey soils.

  • PDF

피에조 콘과 딜라토메터 시험을 이용한 연약지반의 현장특성 비교 (Comparison of Tn-situ Characteristics of Soft Deposits Using Piezocone and Dilatometer)

  • 김영상;이승래;김동수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6호
    • /
    • pp.45-56
    • /
    • 1998
  • 대상 연약지반의 적절한 개량기술 선택과 개량 효과들을 평가, 관리하기 위해서는 현장 연약 점토지반 특성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적절한 현장 시험기법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현장시험 방법 중에 경제적이면서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국내에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피에조 콘(piezocone)과 딜라토메터(dilatometer)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의 현장 물성을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두 장비 모두 유사한 흙 분류 결과를 제공하였으나. 특히 간극수압으로부터 도출한 흙 분류 결과가 연약점토층 사이에 실트나 모래층 들이 산재한 우리나라 실정에 보다 적절하며 일관성 있는 결과를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점토층의 비배수 전단강도는 피에조 콘의 경우 간극수압과 선단저항력으로부터 도출된 간들이 유사하였고 딜라토메터로부터 추정된 비배수 전단강도는 피에조 콘의 두 관측 값으로 유추된 결과들의 평균간에 근접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실트 또는 모래층이 산재하는 경우 연약지반의 압밀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관입과정에서 유발되는 소산효과를 고려한 이론적 시간계수가 보다 적절한 것으로 평가된다.

  • PDF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에서 마취제에 의한 분광학적 측정 (Measurement of Photospetroscpopies by Anesthetics in Purple Membrane and Red Membrane)

  • 김기준;정형학;김주한;송희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72-477
    • /
    • 2018
  • 전신마취제의 잉여 몰부피는 Halobacteriun Halobium에서 추출분리된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에서 vesicle의 현탁액에서 $25^{\circ}C$ 잉여부피 dilatometer로 측정되었다. 우리의 연구에 의해 전신마취제인 Propofol은 잉여몰부피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혔다. Halobacteriun Halobium에서 비중 차이에 의해 추출 분리된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의 잉여몰 부피는 vesicle의 아미노산과 지질의 영향이다. 이들은 잉여 몰부피 dilatometer로 잉여 몰 부피를 측정되었으며, 흡광세기는 280 nm 330 nm 에서 연구되었다.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이 Propofol에 의한 입자크기 분석, 상대적 혼탁도가 기계적 특성을 위해 연구되었다. 확산 교환에 의한 점성 중합체 용액의 입자 크기 분석은 측정에 의한 중요한 단계이다. Propofol이 vesicle에서 재구성된 시료들 중에서, 특히 PM+RM+Propofol의 잉여 몰 부피가 PM, RM의 잉여 몰 부피보다 가장 크게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