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ike

검색결과 411건 처리시간 0.029초

Salinity Effects on the Survival of the Metazo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Seamankeum Areas

  • Kim, Seong-Taek;Kim, Jong-Hyeok;Pae, Se-Jin;Jeong, Hae-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8권4호
    • /
    • pp.211-215
    • /
    • 2003
  • A huge freshwater reservoir (ca. 12,000 ha) will be created when the construction of a 33­km dike on a huge mud flat of the Saemankeum areas is established. A large quantity of freshwater will emerge to the adjacent sea from the reservoir through two big gates. Marine organisms outside the dike are expected to frequently experience low salinity waters. To investigate the salinity effects on the dominant metazo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s off Saemankeum areas, we measured the survival (Survival 1H and Survival 24H) of 11 different taxa (the copepods Acartia omorii, A. pacifica, Calanus sinicus, Centropages abdominalis, Paracalanus indicus, Pseudodiaptomus inopinus, Tortanus forcipatus, and a hydromedusa, and barnacle nauplius, polychaeta larva, and a chaetognath Sagitta sp.) at salinities of 0, 5, 10, 15, 20, 25, 30, 35, and 40 psu when the organisms were exposed for 1 and 24 h, respectively. Survival 1Hs of P. inopinus and barnacle nauplius were 100% between 5 and 35 psu, while they were 0% at salinities of 0 and 40 psu. Survival 1Hs of A. omorii and A. pacifica, P. indicus, T. forcipatus, and polychaeta larva were 100% at $salinities\;\geq\;10$ psu, while they were 0% at lower salinities. Survival 1Hs of a hydromedusa and Sagitta sp. were 100% at $salinities\;\geq\;15$ psu, while they were 0% at lower salinities. Survival 1H of C. abdominalis and C. sinicus was 100% at $salinities\;\geq\;20$ psu, while they were 0% at lower salinities. Survival 24Hs of A. omorii, A. pacifica, C. abdominalis, barnacle nauplius, and polychaeta larva were the same as Survival 1 Hs at the same salinity, while those of the other metazooplankton were lower than Survival 1H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low salinity water emerging from big gates may cause the death of the metazooplankton, but the salinities at which death of the metazooplankton occurs may differ by species.

홍수전파와 배수갑문 운영에 따른 새만금호 내부 수리특성의 동적응답 (Dynamic Response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the Inner Saemankeum Reservoir According to Gate Operation and Flood Events)

  • 서승원;조완희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9-279
    • /
    • 2005
  • 새만금호의 방조제 완공이후와 내부 개발이후 만경강 및 동진강의 홍수량 유입과 내부 수위를 관리하기 위해 수문을 작동할 매 수리특성이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를 평가하기 위한 수치실험이 수심적분된 ADCIRC 모형을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2차원 동적하도추적에 따르면, 상류에서는 홍수수문의 시간적 변화가 민감하나 홍수파가 호 내로 유하 하면서 급확대되는 물리적 특성에 따라 호 중심부터는 안정화된다. 평상시 관리수위를 유지하기 위해 수문을 제어하는 경우, 내부개발이후가 방조제 완공직후에 비해 수문 인근영역에서 유속, 수위 등에 동적응답이 즉각적으로 보다 크게 일어나고, 외해수를 호 내측으로 받아들이면 불규칙 수면교란이 일시적으로 발생하는데 내부개발 전후에 따라 최대 10km 및 16km정도까지 상류방향으로 전파된다.

새만금간척전 .후 잔차류의 계절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asonal variation of the residual flow before and after Saemangeum reclamation)

  • 신문섭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155-161
    • /
    • 1999
  • The land reclamation area of Saemangeum(Kunsan) is located between 126$^{\circ}$10' E~126$^{\circ}$50' E and 35$^{\circ}$35' N~356$^{\circ}$05'N at the 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are many small islands including extensive areas of semi-diurnally flooded and dewatered tidal flats. The reclamation area of Saemangeum has a range of 5.6m spring tide and the maximum tidal current speed is about 1.41m s-1 in ordinary spring tide. Most of the sediments deposited on the tidal flats are transported from the Geum river, the Manjyung river and The Dongjin river. The soil in this area consists of silty sand with the depth of 10m to 30m . The wind in winter is strong from the direction of northwest. In the past twenty years, land reclamation projects for agricutural purpose or industrial cocmplex have been mostly implemented along the western coast of Korea. Saemangeum coastal area is being constructed the33km sea dike and 40, 100ha reclamation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sidual circulations in four seasons after the dike construction by a robust diagnostic and prognostic numerical model. Heat flux at the sea surface in January ,May , August , October was asopted on the basis on the daily inflow of solar radiation at the earth surface, assuming an average atomospheric transmission and no clouds , as a function of latitude and time of year(George L.P.J.E William, 1990). The discharge from the Geum , the Mankyung and the Dongjin rivers was adopted on the basis of experience formula of river flow in January , May ,August, October (The M. of C.Korea, 1993) .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along the open boundaries are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field observation s.

  • PDF

새만금방조제 해측피복석의 변형유형에 따른 마모원인분석 (Analysis on the Cause of Abrasion according to Deformation Types of Seaside Armor Stones in Saemangeum Seadike)

  • 손재권;고남영;최진규;김학원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6호
    • /
    • pp.187-196
    • /
    • 2013
  •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deformation types of seaside armor stones based of field survey in order to establish the cause of abrasion following the deformation of seaside armor stones. 1. The deformation of seaside armor stone in saemangeum sea dike was classified as three different types: floating, deviation, and abrasion. 2. It was discovered that the stones floated to the extent of maximum 50 m, as the result of inspecting floating stones which were situated on different ten places. 3. The average number of deviation in the high ocean wave section was four times more than that in the ordinary ocean wave sec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eviation number of the ordinary ocean wave section and that of the high ocean wave section for the purpose of inspec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deviation of armor stones and the effects of ocean wave. 4. The angular shape of armor stones seen in the initial construction period has been abraded smoothly, as result of comparing of the shape change of armor stones for the purpose of inspecting abrasion state of seaside armor stones. 5. It was discovered that the abrasion of armor stone was severe in the section of many floating ston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s of abrasion and the cumulative sections of floating stones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cause of abrasion.

새만금간척 전.후 잔차류의 계절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asonal variation of the residual flow before and after Saemangeum reclamation)

  • 신문섭;;홍성근;이동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425-442
    • /
    • 2002
  • 새만금간척지역은 동경 $126^{\circ}10'{\sim}126^{\circ}50'$와 북위 $35^{\circ}35'{\sim}36^{\circ}05'$ 위치하고 있다. 새만금간척지역은 대조차가 5.6m 이고 최대 조유속은 $1.41m\;s^{-1}$ 이다. 조간대 침전물의 대부분은 금강, 만경, 동진강으로부터 유입되고 있다. 이 지역의 저질은 실트질 모래로 구성되어 있다. 동절기의 바람은 북서풍이 우세하다. 새만금간척면적은 40,100ha 이고 방조제의 길이는 33km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 진단모델과 예보모델에 의하여 간척전 후의 잔차류의 계절변화를 규명하는 것이다.

Piping현상 발생에 미치는 투수계수비와 침투유속의 영향에 대한 연구 (The Influence of K-ratio and Seepage Velocity on Piping Occurrence)

  • 허경한;장옥성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29-138
    • /
    • 2008
  • 차수성이 요구되는 제체나 댐체에 대하여 안정성을 판단하고자 할 경우 파이핑 현상발생 여부를 검토한다. 제체나 댐체는 층 다짐을 수행하면서 축조되므로 투수성은 수평방향 투수계수($k_x$)와 연직방향 투수계수($k_y$)가 서로 다른 이방성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투수계수 비(k-ratio=$k_y/k_x$k)에 따른 침투해석을 수행하여 유출동수경사와 침투유속을 파악하고, 이론식에 의한 한계동수경사와 경험식에 의한 한계유속과 각각 비교.검토하여 파이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투수계수 비는 한계동수경사 개념으로 파이핑 현상발생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할 경우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나, 한계유속 개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중시기 항공사진과 KOMPSAT-3 영상을 이용한 진하해수욕장 해안선 변화 탐지 (Shoreline Changes Interpreted from Multi-Temporal Aerial Photographs and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 Case Study in Jinha Beach)

  • 황창수;최철웅;최지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07-61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1967년부터 약 50년에 걸친 기간에 대하여 항공사진과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진하해수욕장의 해안선 변화를 관측하였다. 해안선은 보정을 거친 영상으로부터 wet/dry 기법에 의해 추출하였고, DSAS에 의해 통계적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1992년까지 회야강의 하구폐색이 심각하였으며, 이로 인해 북측 해안선의 침식이 진행되어왔다. 이후 하구폐색은 도류제 완공과 함께 완화되는 듯하였으나 하구에서 외해로 벗어난 지역에 토사의 퇴적은 계속되고 있으며, 북측 해안선의 침식현상은 완화됨에 반해 남측 해안선의 침식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지역의 경우 도류제건설과 준설 및 양빈만으로는 변화하는 해안선의 적절한 관리대책이 되지 못 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지속가능한 해안의 관리를 위해서는 해양환경뿐만 아니라 해안선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역하천의 유사유출 요인을 고려하여 근본적인 관리방안의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무동력 토사제거시스템의 현장모형실험 (Field Model Test of the Non-power Soil Cleaning System)

  • 박찬근;이영학;홍석민;이달원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4호
    • /
    • pp.63-73
    • /
    • 2019
  • Coastal and fishing facilities are gradually deteriorating in function due to the continual accumulation of soil sediments, which has affected local economic activities. Currently, there are many methods to remove soil sediments, but these methods are either a temporary solution or require a repetitive removal of the soil sediments, which is a huge financial burden for the maintenance of the facilitie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d a non-power soil cleaning system and evaluated field applicability by carrying out field model tests. The conditions for the evaluation focused on the drainage-elapsed time and drainage-outflow velocity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change in the water tank. In the field test, silty clay and sand were separately installed, and sedimentation soil removal test was practiced. As a result, the system was verified to have a sufficient outflow velocity for the removal of soil sediments. In addition, a generalization equation that can be used in different regions of the tide was suggested in this study. These results will greatly contribute to removing soil sediments in ports and dike gate facilities on the southwest coast. Since the system is an eco-friendly technology that does not require additional energy, thu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maintenance of sustainable facility performance as well as economic effect in the future.

3차원 구조를 고려한 전기비저항 탐사자료 해석을 통한 국내 저수지 제체 안전성 분석 (Safety Analysis of Reservoir Dikes in South Korea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Electrical Resistivity Data Consider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 송성호;용환호;이규상;조인기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2권3호
    • /
    • pp.160-167
    • /
    • 2019
  • 저수지 제체는 3차원 전기비저항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비저항 격자구조에 담수호의 수위변화에 따른 제체 내부의 침윤선 변동과 함께 담수호의 전기전도도가 고려되지 않는 경우 전기비저항 역산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모델링을 통하여, 저수지의 3차원 비저항 구조와 저수지 수위의 변화에 따른 제체 내부의 비저항 변화를 해석하였다. 이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국내 283개소 저수지를 대상으로 3차원 모델링에 의한 2차원 이론자료와 현장 2차원 탐사자료에 대한 역산 결과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역산의 비가 50% 이상이 되는 저수지를 추가 정밀조사 대상 저수지로 선정하였다.

금강 하구 기수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연구 (A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Geum River Estuary)

  • 신윤근
    • 생태와환경
    • /
    • 제46권4호
    • /
    • pp.524-540
    • /
    • 2013
  • 금강 하구언의 건설 이후 환경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계절별로 4회(2010년 4월, 7월, 10월, 12월) 금강하구역의 9개 정점에서 이화학적 특성과 함께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조사하였다. 금강하구기수역의 이화학적 특성은 금강 하구언이 건설된 이후에 조석 흐름이 변화되어 해수 유입이 약해지므로 금강이나 경포천을 통해 유입되는 담수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염의 경우 금강하구언 건설 이후 갑문이 폐쇄된 이후 최대조류의 크기가 감소하고 부분 순환형으로 바뀌면서 군산과 장항과 같은 주변 도시의 도시 유출수와 경포천에서 유입되는 생활하수 그리고 금강하구언에서 유입되는 주기적 담수에 포함된 영양염이 기수역 내부에 축적되는 경향을 보여 그 농도가 이전보다 높아진 것으로 여져진다. 따라서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영향을 주어 부영양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은 총 233종류가 출현하여 이전 연구결과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였는데 해양종과 기수종 그리고 주기적 담수 방류에 의해 유입된 담수종이 혼재하는 현상으로 인해 출현종의 수가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출현종 중에 가장 중요한 종군은 규조류로 72%의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담수종인 녹조류가 규조류 다음으로 많이 출현하였고 해양에서 중요한 분류군인 와편모류는 녹조류보다 적었다. 해양종인 와편모조류 보다 담수종인 녹조류가 더 많은 종이 출현하는 것은 주기적인 담수의 방류와 경포천 등에서 유입되는 담수에 포함된 담수종들이 금강 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 종조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143\;cells\;mL^{-1}{\sim}12,016\;cells\;mL^{-1}$의 범위로 평균 현존량은 $2,010\;cells\;mL^{-1}$이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하구언 건설 이전에 비해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금강하구 기수역이 부영양화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봄철과 겨울철에는 기수역 규조류들이 우점하였으나 여름과 가을에는 담수종들이 우점종으로 나타나 비정기적 담수의 방류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다양성지수는 동계를 제외하고는 2.0 이상으로 나타났다. 종풍부도는 저층에서 더 다양한 종이 출현하고 있음을 잘 나타내고 있다. 가을철에는 금강 하구언으로부터 담수가 방류되어 담수종들이 추가되어 종풍부도를 커지고, 여름철에는 수온이 높아지면서 밀도가 큰 규조류들은 적어지고 작은 편모류가 증가하지만 종의 수는 많지 않아 담수의 영향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계절에 비해 종 풍부도는 낮았다. 모든 계절에 저층에서 종 풍부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 표층에 비해 염분 쇄기에 의해 해양종, 기수종 및 담수종이 혼재될 가능성이 크고 조류의 영향으로 저층 퇴적물이 재부유될 때 저생성 규조류가 더해지기 때문이다. 집괴분석 결과 금강하구역은 군산 등 도시에서 나오는 생활하수와 경포천을 통해 유입되는 담수 그리고 금강하구언으로부터의 주기적인 담수의 방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