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smile desig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9초

전치부의 심미 수복을 위하여 Digital Smile Design을 적용한 증례 (Use of Digital Smile Design in esthetic restoration in anterior teeth: A case report)

  • 신세준;노관태;권긍록;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64-170
    • /
    • 2017
  • 다른 보철 수복에 비하여 전치부의 수복을 위해서는 치료 계획 단계에서 환자 요구도를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된다. 임상 사진과 프리젠테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Digital Smile Design (이하 DSD)방식은 치료 계획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어 환자 및 기공사과의 의사 소통이 용이하다. 본 증례에서는 기존 보철물에 대하여 심미적 불만을 갖고 있는 환자에서, 두 가지 방식으로 재수복을 진행하였다: (1) 심미 진단, 미소 설계와 의사소통을 위하여 DSD 방식을 이용하고, 임시 및 최종 보철물 제작에 전적으로 디지털 방식을 사용한 경우 (2) 미소 설계를 위해 진단 납형을 이용하고 보철물은 통법대로 제작한 경우. 이 증례에서 의사 소통의 측면에서는 DSD방식이 수월하였으나, (1)의 방법으로는 심미적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여, 예지성 있는 결과를 위해서는 성공적 의사 소통 이외에도 다양한 심미 요소를 고려한 진보된 형태의 미소 설계 도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Digital Smile Design'을 이용한 심미수복증례 (Esthetic restoration using Digital Smile Design: a case report)

  • 김광현;이규호;배아란;노관태;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44-149
    • /
    • 2015
  • 심미적인 수복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안모를 고려한 시각화된 정보가 필요하다. 기준 수평, 수직선 같은 정보와 환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소통 없이 제작된 수복물은 비심미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어떻게 이러한 정보를 전달하느냐가 심미적인 수복물을 제작할 수 있는 성공의 요건이 될 것이다. 디지털 진단도구인 'Digital Smile Design (DSD)' 을 이용하여 심미수복에 필요한 정보를 시각화하고 수복물을 설계하여 심미적인 결과를 도출해내는 일련의 과정을 보고하고자 한다.

선천적 상악 우측 중절치 결손 환자에서 DSD (digital smile design)를 이용한 전치부 수복 증례 (Anterior esthetic restoration using DSD (digital smile design) for a patient with congenital missing tooth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 박혜정;이준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3호
    • /
    • pp.170-179
    • /
    • 2019
  • 상악 전치부의 보철 수복은 치과 분야에서 심미성이 크게 요구되는 치료이다. 상악 전치부의 보철 수복을 통하여 치아의 외형, 배열, 색조 등을 개선하면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전치부 심미 수복을 위해서는 진단과정에서 환자의 안모 및 치아와 입술과의 관계, 치아와 치은 관계 등을 평가하고, 환자가 요구하는 바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환자와 술자 및 기공사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하여 환자의 요구사항을 충실히 반영하기 위한 도구로서 DSD (digital smile design)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증례에서는 상악 중절치의 선천적 결손으로 인하여 대칭성을 구현하기 불가능한 상황에서 DSD를 활용하여, 환자 안모와 상악 전치부의 전체적인 조화를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이를 통해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할 만한 심미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Case report - 복잡해 보이는 전악 구강 재건 케이스에 간단한 digital smile design을 적용하여 환자의 미소를 회복시켜 주기 (Case report - Rehabilitation of a patient's smile by applying a simple digital smile design method on a complex clinical situation.)

  • 임형구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3-117
    • /
    • 2020
  • 아름다운 미소는 한 사람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준다. 사람들을 만날 때 자신 있게 웃을 수 있다면, 항상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 있고이를 통해 매일의 삶을 보다 즐겁고 행복하게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치과 의사로서 우리는 환자들에게 아름다운 미소를 되찾아 주어야 할 소명이 있다. 치과 의사로서 환자의 저작 기능을 회복 시켜 주는 것도물론 중요하지만, 치과 보철을 통해 심미적인 치아 외형 및 안모를 회복 시켜 주는 것이 최우선적인 과제임을 늘 명심해야 한다. 복잡한 전악 수복 케이스를 접할 때 치료 계획을 세우는 과정이야말로 어떤 치료 과정에 앞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가장 이상적인치료 계획을 세움에 있어 근간은 바로 심미성이 되어야 하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는 각 과정을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지난 몇 년간 "디지털 스마일 디자인" 컨셉이 치과계에 화두가 되어 왔다. 이 컨셉은 다양한 방법으로 임상에 적용될 수 있는데, 본 논고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2차원적인 스마일 디자인을 통해 전악 구강 재건 케이스를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간단한 임상 사진 및 포토샵을이용해 치료 계획을 세우는 방법에 대해 논해 보고자 한다.

3차원 Digital Smile Design을 활용한 전치부 심미수복 증례 (Using 3-dimensional digital smile design in esthetic restoration of anterior teeth: A case report)

  • 홍성만;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51-458
    • /
    • 2021
  • 현재 치과치료의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전치부 심미수복에 있어 기존의 전통적인 수복방식은 안모 정보를 담을 수 없고 환자가 치료 결과를 예상하기 어려운 반면 디지털 디자인을 통한 심미수복의 경우 보철물 디자인의 시각화 및 환자 피드백 반영의 용이성, 치료 결과에 대한 예지성을 얻기 쉽다. 본 증례는 전치부 외상 환자에게서 디지털 방식을 이용하여 예상되는 치료 결과를 환자가 치료 전 확인하고 피드백을 반영하여 진행하였다. 2D 디지털 스마일 디자인 방식은 환자의 안모 및 미소정보로 2차원 평면상에서 디자인이 이루어져 적용에 다소 제한되는 점이 있었으나 본 증례에서는 3차원 가상환자를 만들어 진행하였기에 디자인된 보철물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확인 및 수정이 가능하였다. 본 증례를 통하여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심미 수복시 환자 및 기공사와의 원활한 소통, 치료결과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얻어낼 수 있었다.

다면기법 SPFACS 영상객체를 이용한 AAM 알고리즘 적용 미소검출 설계 분석 (Using a Multi-Faced Technique SPFACS Video Object Design Analysis of The AAM Algorithm Applies Smile Detection)

  • 최병관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99-112
    • /
    • 2015
  • Digital imaging technology has advanced beyond the limits of the multimedia industry IT convergence, and to develop a complex industry,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object recognition, face smart-phones associated with various Application technology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Recently, face recognition technology is evolving into an intelligent object recognition through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detection technology, the detection object recognition through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techniques applied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IP camera through the 3D image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Face Recognition been actively studied. In this paper, we first look at the essential human factor, technical factors and trends about the technology of the human object recognition based SPFACS(Smile Progress Facial Action Coding System)study measures the smile detection technology recognizes multi-faceted object recognition. Study Method: 1)Human cognitive skills necessary to analyze the 3D object imaging system was designed. 2)3D object recognition, face detection parameter identification and optimal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AAM algorithm inside the proposals and 3)Face recognition objects (Face recognition Technology) to apply the result to the recognition of the person's teeth area detecting expression recognition demonstrated by the effect of extracting the feature points.

가상환자 데이터세트를 기반으로 악관절과 심미를 고려한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 (From TMJ to 3D Digital Smile Design with Virtual Patient Dataset for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 이수영;강동휘;이도연;김희철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1-90
    • /
    • 2021
  • 가상 환자 데이터 세트는 단일 환자로부터 획득한 구강스캔 안면스캔 전신스캔 하악운동경로데이터 등 다양한 소스의 진단 데이터를 하나의 3차원 좌표계로 정렬한 데이터의 집합이다. 치과의사는 가상 환자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다양한 치료 계획을 가상공간상에서 시뮬레이션 할 수 있으며, 가상 환자 데이터 세트에서 환자의 미소를 디자인 후 그 결과를 시뮬레이션하고 최적의 치료결과를 선택할 수 있다. 가상공간에서 선택된 치료 계획은 3D 프린팅, 밀링, 사출 성형과 같은 제조 기술을 사용하여 환자에게 동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러 치료 계획의 전달은 임시 수복물 제작 및 환자의 구강 내에서 목업 확인을 통해 최종 보철물 제작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단 데이터, 중첩 및 가공의 정확도가 보장된다면 3차원 가상공간 상에서 시뮬레이션된 3D 디지털 스마일 디자인을 실제 환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가상환자데이터세트의 임상적용방법으로 동기능적교합측정 검사를 통해 교합조정치료를 치료계획에서 배제할수 있는 의사결정방법과, 턱관절질환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의 턱관절 치료전후 전신스캔 비교분석방법, 그리고 전악수복증례인 상하악 총의치환자 진료시 가상환자데이터세트에 기반한 교합평면분석 및 디지털심미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민화 '모란' 의 언어학적 상징요소 재해석을 통한 디지털 주얼리 디자인 연구 (A study on digital jewelry design through reinterpretation of symbolic element of Peony flower in Minwha with Linguistic analysis)

  • 이지원;나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407-41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문화 콘텐츠인 민화의 도상을 통한 상징체계는 근원적인 우리의 조상들의 긍정적이고 개방적이며 유연한 사고방식의 표현이고, 의사소통의 방법이었으며, 이는 현대에서도 새로운 매체와 더불어 전승할 수 있는 소중한 유산임을 논의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언어학적 분석을 토대로 보편적 소망을 담은 민화 도상중 하나인 모란의 상징 내용에 디지털 매체를 통한 주얼리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현대적 주얼리 디자인을 하였다. 분석을 통한 결과물로서 모란 도상의 보편적 소망인 부귀와 명예의 내용을 담은 Blossom 과 함박웃음을 주제로 현대의 최신 기술들을 접목하여 3D 디지털 도구를 통한 디자인 프로세스 및 변형 과정을 보여 주었으며, 생산 방식에 있어서도 3D 프린팅 방식과 레이져 커팅 방식을 통해 민화의 상징체계에 있어서의 개방성과 유연한 사고를 접목하여 형상화 하였다.

메타버스 디지털 플랫폼의 메이크업 기능 제안 - 제페토를 중심으로 - (Proposal of Makeup's Function on the Metaverse Digital Platform - Focusing on Zepeto -)

  • 남세미;김은실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39-744
    • /
    • 2023
  • With the popularization of 5G networks and the development of AI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Metaverse, which creates production capacity by combining virtual space and reality, is attracting attention. In this study, we searched for makeup applications with more than 100 million downloads from October 11, 2020 to November 3, 2020 through the Google Play Store. As a result of the search, four applications were found: YouCam Makeup, YouCam Perfect, Beauty Plus, and Sweet Snap. Based on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four applications, we attempted to suggest makeup functions applicable to Zepeto's avatar. Functions for the eyes (eyeliner, eyelashes, mascara, eye shadow, eye shape, eyebrow shape, lenses, double eyelids), functions for the nose (nose shape), functions for the mouth (lipstick, lip shape, smile function) )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facial contour (contour, skin foundation, blusher, shading, highlighter, face painting, theme makeup) and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body (body adjustment) were proposed. This study is the first in the beauty field to propose a method of applying the functions of the Metaverse platform as the importance of digital platforms is highlighted, and is the first to propose a makeup function applied to the Metaverse so that it can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in the future.

Biometry of width between labial transitional line angles in anterior teeth: an observational study

  • Wen, Chao;Ye, Hongqiang;Chen, Hu;Zhou, Yongsheng;Huang, Mingming;Sun, Yuchu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4권1호
    • /
    • pp.1-11
    • /
    • 2022
  • PURPOSE. The maximum width between the mesial and distal labial transitional line angles, described as "esthetic width" herein, could significantly influence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teeth and smil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biometric research on esthetic width and to explore whether regular distribution exists in the esthetic width of human teeth.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264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teeth were measured using the Geomagic studio software program. The proportions of maxillary to mandibular homonymous teeth and proportions between the adjacent teeth were calculated. Bilateral symmetr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sthetic and mesiodistal widths were both accounted for during the measurement procedures. RESULTS. The mean esthetic widths were 6.773 ± 0.518 mm and 4.329 ± 0.331 mm for maxillary and mandibular central incisors, respectively, 5.451 ± 0.487 mm and 5.008 ± 0.351 mm for maxillary and mandibular lateral incisors, respectively, and 3.340 ± 0.353 mm and 5.958 ± 0.415 mm for maxillary and mandibular canines, respectively. Except for the mandibular canine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sthetic width was found among homonymous teeth from the same jaw. A high linear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esthetic and mesiodistal widths of the same tooth, except for the maxillary canines. Esthetic width proportions among different tooth categories showed some regular patterns,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mesiodistal width. CONCLUSION. Esthetic width is regularly distributed among the teeth in the Chinese population. This could provide an important reference for anterior dental restorations and dimension recovery in esthetic reconstruction of anterior tee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