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hearing aids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8초

보청기 성능 향상을 위한 적외선 통신 모듈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for the Enhancement of Hearing Aids)

  • 박성모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7권3호
    • /
    • pp.29-34
    • /
    • 2018
  • 본 논문은 주변 소음이 많은 환경에서 보청기 수신 성능 향상을 위하여 적외선을 이용한 광통신 기술을 접목시키는 연구이다. 마이크로폰과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송신 모듈에서 음성신호를 적외선 광 신호로 변환시켜 공기 중에 내보내고, 일정 거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수신 모듈에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보청기의 입력 단에 전달한다. 특별히 수신 모듈은 보청기에 부착되어야 하므로 소형이며 저전압이고 저전력 소모가 바람직하다. 디지털 변조 방식과 아날로그 무변조 방식의 적외선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실내에서 약 5미터 거리의 적외선 통신은 아날로그 무변조 방식이 적합함을 보였다. 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 시제품을 제작하여 디지털 보청기에 연결하고 내부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음성 신호를 정상 송수신함을 확인하였다.

정보통신 의료기기 산업 육성을 위한 '보청기' 관련 특허의 현황 분석 및 이의 시사점 - 국내에 특허 등록된 316건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Present Status and Its Implications on the Patents of 'Bearing Aids' for the Industry Promotion of Medical Devices Based on IT Engineering - From 316 Patents Registered in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

  • 심재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94-30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미래의 고성장 산업인 의료기기 분야 중 '보청기' 관련 기술의 신기술 개발 동향과 사업화 전략을 살펴보기 위해 우리나라에 최종 등록된 '보청기' 관련 특허 316건을 조사하고 이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각 특허 기술의 핵심 기술 분야를 파악하기 위해 국제특허분류(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코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제특허분류(IPC)의 서브 클래스(sub class)까지 기술 분류한 결과 가장 많은 기술 분야는 'H04R'로 160건에 이른다. 그 다음으로 'H04B' 분야에 46건, 'H01M' 분야에 40건, 그리고 'A61F' 분야에 19건 등의 특허 문헌이 존재하였다. 보청기의 기술적인 면에서는 디지털 기술과 신체 이식 기술의 두각을 확인할 수 있었고, 사업적인 면에서는 외국계 기업의 국내 특허 등록이 오래전부터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WT평면에서의 디지탈 청각 보조 신호 처리 시스템의 설계 (A Study on the Design of a Digital Hearing Aids Signal Processing System in the Wavelet Transform Domain)

  • 이현철;석광원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47-354
    • /
    • 1996
  • This paper presents digital hearing aids signal processing system in WT(wavelet transform) domain. For implementation of hearing aids in WT domain, the gain in frequency domain is approximated in WT domain. We also present the gain selection algorithm to deal with the change of input signal power. Most transform methods produce blocking effect, and this effect degrades the convergence rate of feedback canceller. As a solution, we proposed wavelet transform bascd feedback cancell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we compared it with LOT (lapped orthogonal transform) method in the frequency domain. This system has not shown the blocking effect, and improves convergence rate as compared with the LOT based feedback canceller.

  • PDF

적응 빔포밍 기법을 적용한 보청기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for Hearing Aids System Using Adaptive Beam-forming Algorithm)

  • 이채욱;오신범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5C호
    • /
    • pp.673-682
    • /
    • 2004
  • 적응 빔포밍(beam-forming)기법은 디지털보청기 시스템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적절한 방식이다. 적응 빔포밍 기법은 디지털 신호처리프로세서의 발전과 더불어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는 방식으로 신호처리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LMS(Least Mean Square)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웨이트 벡터를 업데이트 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신호의 환경에 따라 적응상수가 변화하는 가변스텝사이즈 알고리즘을 적용한 고속 웨이블렛 기반 적응알고리즘를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적응 빔포머 방식인 디지털보청기 시스템에 적용하여 기존 시간영역 알고리즘과 그 특성을 비교하여 그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디지털보청기 시스템에 적합함을 입증한다. 그리고 제안한 알고리즘은 계산량에서도 시스템의 환경변화에도 안정하게 수렴한다는 장점이 있는 것을 보인다.

양이 보청기 개발을 위한 양이 통신 오픈 플랫폼 구현 (Implementation of Binaural Communication Open Platform for Binaural Hearing Aids Developing)

  • 김동욱;박주만;웨이췬;임형규;박희준;성기웅;이정현;김명남;조진호
    • 센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72-278
    • /
    • 2011
  • Recently, the performance of binaural hearing aids is rapidly improved with the technology advance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integrated circuit design. However, the previous hearing aids developer platforms can't be applied to binaural hearing aids developing, because it has no conside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binaural hearing control. Also, the previous developer platforms are not easy to use for the algorithm development, because programming languages are limited.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open platform board for binaural hearing aids developing. The designed board can be programmed by general programming language and can be use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order to verify the designed open platform board, we used the volume control algorithm using two open platform board. As a result of experiment, we verified the performance of designed and implemented open platform board that was successfully operated the binaural hearing contro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디지털 보청기에서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잡음제거 (Noise Cancellation using Microphone Array in Digital Hearing Aids)

  • 방동혁;길세기;강현덕;윤광섭;이상민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8권4호
    • /
    • pp.857-866
    • /
    • 2009
  • In this paper, a noise cancellation-method using microphone array for digital hearing aids is proposed. The microphone array is located around the ear of a dummy. Speech sound is generated from the forward speaker positioned in the front of the dummy and noise sound is generated from the backward speaker. The speech and noise are mixed in the air space and entered into the microphones. VAD(voice activity detector) and ANC(adaptive noise cancellation) methods were used to eliminate noise in the sound of the microphones. 10 two-syllable words and 4 sentences were used for speech signals. Babble and car interior noise were used for noise signal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was evaluated by SNR(signal-to-noise ratio) and PESQ-MOS(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mean opinion score). In babble noise condition, SNR was improved as much as $7.963{\pm}1.3620dB\;and\;3.968{\pm}0.6659dB$ for words and sentence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car interior noise, SNR was improved as $10.512{\pm}2.0665dB\;and\;6.000{\pm}1.7642dB$ for words and sentences respectively. PESQ-MOS of the babble noise was improved as much as $0.1722{\pm}0.0861$ score for words and $0.083{\pm}0.0417$ score for sentences. And PESQ-MOS of the car interior noise was improved as $0.2661{\pm}0.0335$ score and $0.040{\pm}0.0201$ score for words and sentences respectively. It is verifi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a good performance in noise cancellation of microphone array for digital hearing aids.

다채널 디지털 보청기를 위한 적응 궤환 제거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daptive Feedback Cancellation Algorithm for Multi-channel Digital Hearing Aids)

  • 이상민;김상완;권세윤;박영철;김인영;김선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15-32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다채널 디지털 보청기에서 적용될 수 있는 적응 궤환 제거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적응궤환 제거기는 궤환 검출을 위한 적응 노치 필터와 궤환 제거를 위한 NLMS (normalized least mean square) 적응필터로 구성되어 있다. 제안된 적응 궤환 제거 알고리즘을 다채널 보청 알고리듬과 결합하였다. 다채널 보청 알고리즘은 MDCT (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필터뱅크를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별 청력 손실을 보상하도록 구성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포함한 완성된 보청 알고리즘의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상용 DSP보드를 이용하여 실시간 구현을 확인하였다.

적응 궤환 제거가 강조된 보청기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모듈 개발 (Developments of A Hearing Aid Algorithm with Emphasis on Adaptive Feedback Cancellation and Hardware Module)

  • 정선용;지윤상;김인영;박영철;김남균;이상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282-290
    • /
    • 2006
  • We have developed a multi band digital hearing aid algorithm emphasizing feedback cancellation and a hardware modul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our algorithm. The hearing aids should be able to compensate for individual hearing loss characteristics of hearing impaired person. Thus hearing aids need the function of multi-bands amplification and the capabilities of feedback cancellation that can remove howling caused by acoustic feedback. In this paper, we proposed a digital hearing aid algorithm which has multi-bands compensation using 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MDCT) and can efficiently remove acoustic feedbacks. Moreover, we have developed digital hearing aid hardware module, which can evaluate hearing aid algorithms in real time operation. The developed algorithm and hardware module were verifi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 and clinical tests. Through operational experiments, good performances in real time operation environment and an efficient howling cancellation were also observed. The developed hardware module can operate in stable condition and it is expected to become a good hardware platform for developing hearing aid algorithms.

디지털 보청기 알고리즘 평가를 위한 감음신경성 난청의 모델링 (Modeling of Sensorineural Hearing Loss for the Evaluation of Digital Hearing Aid Algorithms)

  • 김동욱;박영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9-68
    • /
    • 1998
  • 디지털 보청기는 기존의 아날로그 보청기에 비하여 많은 장점이 있다.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의 발달과 더불어 최근에 다양한 디지털 보청 알고리즘과 완전한 디지털 보청기가 선보였다. 디지털 보청기의 알고리즘을 개발하거나 디지털 보청기를 새로이 평가하려는 사람들에게 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연구는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임상연구는 실제 난청자를 대상으로 하여야 하기 때문에 난청자와 검사자 간에 통상적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원활한 의사 소통이 때로는 어려울 수 있다. 왜냐하면 난청자들의 연령이 너무 어리거나 많아서 의사소통에 지장을 주거나 검사자가 필요로 하는 시간에 비슷한 난청 유형을 가진 대상자를 모으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임상연구를 보조하여 디지털 보청기 또는 알고리즘이 개발되기까지 수행되어야 할 많은 임상연구의 결과를 예측하고 평가할 수 있는 디지털 난청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안하고, 실제 환자의 데이터를 사용한 시뮬레이션과 그에 대한 임상 실험을 통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정상인으로부터 모델링된 환자 데이터와 매우 유사한 측정 결과를 얻어냄으로써, 제안된 시스템이 목적하고자 하는 바를 이룰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난청 시뮬레이터의 목적인 디지털 보청기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한 평가 툴로서, 개발 초기에 다양한 디지털 보청기용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실제 난청 시뮬레이터와 연계하여 실험함으로써 보청기 알고리즘의 평가 및 새로운 보청기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평가하거나 향후 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연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성을 입증하였다.로 우유 교육 프로그램이 향후보다 체계적이고 확대되어 지속적으로 실시된다면, 우유에 대한 의미는 물론 인식 그리고 지식 정도에 있어 효과적인 결과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니하였다. 6) Dibutyryl cyclic AMP 및 8-bromo cyclic GMP 모두 혈소판응집률(血小板凝集率)을 감소시켰고, 후자(後者)는 전자(前者)에 비(比)하여 월등(越等)히 현저(顯著)하였다. sodium nitroprusside에 의한 항응집률(抗凝集率)은 methylene blue 전처치(前處置)에 의하여 길항(拮抗)되었으나, bovine hemoglobin전처치에 의하여는 영향(影響)을 받지 아니하였다. 이상(以上)의 성적(成績)을 종합(綜合)하면, 뇌졸중증(腦卒中症)때, 특히 뇌혈전증(腦血栓症)의 응급치료시(應急治療時) sodium nitroprusside의 응용(應用)이 가능(可能)하다고 사료(思料)되며, 이에 대(對)하여 임상적(臨床的) 치료(治療)가 기대되는 바이다.다시 상승(上昇)하는 경향(傾向)이었다. 중성지질(中性脂質) 중(中) climacteric rise 및 숙도(熟度)와 관련하여 변화(變化)한 것은 diglyceride 및 sterol ester의 2종(種)이었으며 glyceride가 중성지질(中性脂質) 전량(全量)의 변화(變化)와 동일(同一)한 경향(傾向)인데 반(反)하여 sterol ester은 climactric onset까지 증가(增加)하다가 기후(其後) 감소(減少)하였다. 인지질(燐脂質)도 저장기간(貯藏期間) 중(中) 처리구(處理區)에 관계(關係)없이 다같이 감소(減少)되었는데, 그 정도(程度)

  • PDF

지향성 보청기 성능 검사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Directional Digital Hearing Aid Performance Testing System)

  • 장순석;권유정;이제형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81-88
    • /
    • 2006
  • The most recent trend on digital hearing aid is to increase the ratio of signal to noise by directivity or to develop noise reduction algorithm inside DSP IC chip. This paper designed, fabricated and tested a digital hearing aid directivity testing device in which a micro-mouse-like the stepping motor with a speaker rotates around an examinant. Both ears of the examinant were fixed with ITE hearing aids in order to respond to receiving sound.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 boundary element method program for verification. The diameter of the directivity testing device was 2 m and the micro-mouse was precisely controlled by PICBASIC micro proc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