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ling of Sensorineural Hearing Loss for the Evaluation of Digital Hearing Aid Algorithms

디지털 보청기 알고리즘 평가를 위한 감음신경성 난청의 모델링

  • 김동욱 (삼성종합기술원) ;
  • 박영철 (삼성종합기술원, 임상의공학연구센터, 연세대학교 전자공학과, 삼성의료원 이비인후학과)
  • Published : 1998.02.01

Abstract

Digital hearing aids offer many advantages over conventional analog hearing aids. With the advent of high speed digital signal processing chips, new digital techniques have been introduced to digital hearing aids. 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new ideas in hearing aids is necessarily accompanied by intensive subject-based clinical tests which requires much time and cost. In this paper, we present an objective method to evaluate and predict the performance of hearing aid systems without the help of such subject-based tests. In the hearing impairment simulation(HIS) algorithm, a sensorineural hearing impairment medel is established from auditory test data of the impaired subject being simulated. Also, the nonlinear behavior of the loudness recruitment is defined using hearing loss functions generated from the measurements. To transform the natural input sound into the impaired one, a frequency sampling filter is designed. The filter is continuously refreshed with the level-dependent frequency response function provided by the impairment model. To assess the performance, the HIS algorithm was implemented in real-time using a floating-point DSP. Signals processed with the real-time system were presented to normal subjects and their auditory data modified by the system was measured. The sensorineural hearing impairment was simulated and tested. The threshold of hearing and the speech discrimination tests exhibited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in its use for the hearing impairment simulation. Using the HIS system we evaluated three typical hearing aid algorithms.

디지털 보청기는 기존의 아날로그 보청기에 비하여 많은 장점이 있다.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의 발달과 더불어 최근에 다양한 디지털 보청 알고리즘과 완전한 디지털 보청기가 선보였다. 디지털 보청기의 알고리즘을 개발하거나 디지털 보청기를 새로이 평가하려는 사람들에게 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연구는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임상연구는 실제 난청자를 대상으로 하여야 하기 때문에 난청자와 검사자 간에 통상적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원활한 의사 소통이 때로는 어려울 수 있다. 왜냐하면 난청자들의 연령이 너무 어리거나 많아서 의사소통에 지장을 주거나 검사자가 필요로 하는 시간에 비슷한 난청 유형을 가진 대상자를 모으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임상연구를 보조하여 디지털 보청기 또는 알고리즘이 개발되기까지 수행되어야 할 많은 임상연구의 결과를 예측하고 평가할 수 있는 디지털 난청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안하고, 실제 환자의 데이터를 사용한 시뮬레이션과 그에 대한 임상 실험을 통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정상인으로부터 모델링된 환자 데이터와 매우 유사한 측정 결과를 얻어냄으로써, 제안된 시스템이 목적하고자 하는 바를 이룰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난청 시뮬레이터의 목적인 디지털 보청기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한 평가 툴로서, 개발 초기에 다양한 디지털 보청기용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실제 난청 시뮬레이터와 연계하여 실험함으로써 보청기 알고리즘의 평가 및 새로운 보청기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평가하거나 향후 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연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성을 입증하였다.로 우유 교육 프로그램이 향후보다 체계적이고 확대되어 지속적으로 실시된다면, 우유에 대한 의미는 물론 인식 그리고 지식 정도에 있어 효과적인 결과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니하였다. 6) Dibutyryl cyclic AMP 및 8-bromo cyclic GMP 모두 혈소판응집률(血小板凝集率)을 감소시켰고, 후자(後者)는 전자(前者)에 비(比)하여 월등(越等)히 현저(顯著)하였다. sodium nitroprusside에 의한 항응집률(抗凝集率)은 methylene blue 전처치(前處置)에 의하여 길항(拮抗)되었으나, bovine hemoglobin전처치에 의하여는 영향(影響)을 받지 아니하였다. 이상(以上)의 성적(成績)을 종합(綜合)하면, 뇌졸중증(腦卒中症)때, 특히 뇌혈전증(腦血栓症)의 응급치료시(應急治療時) sodium nitroprusside의 응용(應用)이 가능(可能)하다고 사료(思料)되며, 이에 대(對)하여 임상적(臨床的) 치료(治療)가 기대되는 바이다.다시 상승(上昇)하는 경향(傾向)이었다. 중성지질(中性脂質) 중(中) climacteric rise 및 숙도(熟度)와 관련하여 변화(變化)한 것은 diglyceride 및 sterol ester의 2종(種)이었으며 glyceride가 중성지질(中性脂質) 전량(全量)의 변화(變化)와 동일(同一)한 경향(傾向)인데 반(反)하여 sterol ester은 climactric onset까지 증가(增加)하다가 기후(其後) 감소(減少)하였다. 인지질(燐脂質)도 저장기간(貯藏期間) 중(中) 처리구(處理區)에 관계(關係)없이 다같이 감소(減少)되었는데, 그 정도(程度)

Keywords

References

  1. The Vanderbilt Hearing-Aid Report II G. A. Studebaker;F. H. Bess;J. B. Beck
  2. J. Acoust. Soc. Am. v.69 Study of Multichannel Amplitude Compression and Linear Amplification for Persons with Sensorineural Hearing Loss R. P. Lippmann;L. D. Braida;N. I. Durlach
  3. J. Rehabil. Res. Dev. v.24 Multiband Compression Limiting for Hearing-Impaired Listeners D. K. Bustamante;L . D. Braida
  4. Proc. IEEE ICASSP A Digital Hearing Aid that Compensates Loudness for Sensorineural Hearing Impairments J. C. Tajero
  5. Proc. IEEE ICASSP Compensation for Recruitment of Loudness in Sensorineural Hearing Impairments Using a Sinusoidal Model of Speech H. C. Rutledge
  6. Proc. IEEE ICASSP Application of a Human Auditory Model to Loudness Perception and Hearing Compensation D. M. Chabries;D. V. Anderson;T. G. Stockham;R. W. Christiansen
  7. Proc. IEEE ICASSP A Digital Hearing Aid that Compensates Loudness for Sensorineural Impaired Listeners F. Asano.(et al.)
  8. J. Acoust. Soc. Am. v.53 Signal Processing to Improve Speech Intelligibility in Perceptive Deafness E. Villchur
  9. Psychoacoustics E. Zwicker;H. Fastl
  10. J. Rehabil. Res. Dev. v.24 no.4 Design and Evaluation of a Two-channel Compression Hearing Aid B. C. J. Moore
  11. Multirate Digital Signal Processing R. R. Crochiere;L. R. Rabiner
  12. Digital Signal Processing: A Practical Approach E. C. Ifeachor;B. W. Jerv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