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Watermark

검색결과 453건 처리시간 0.033초

디지철 영상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새로운 서명 문양 (A new watermark for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images)

  • 서정일;우석훈;원치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1814-1822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영상 정보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새로운 디지털 서명 문양(Watermark)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된 디지털 서명은 기존의 서명 방법과 비교하여 압축 환경에 대한 고려와 함께 불법적인 재서명 공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서명 문양의 비화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기존의 난수 XOR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서명 문양을 원영상에 단순 연산하는 방법으로 원영상에 대한 서명 문양의 영향을 최대화하였다. 그리고, 문양의 검출시 발생되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영상을 블록 단위로 특성을 분류한 후, 최소 압축 손실 블록을 선정하고, 그 블록에 대해서만 문양을 검출하므로써 압축 손실에 강한 서명 문양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극복할 수 없는 압축 손실은 가설검증(Hypothesis Testing)이론에 의한 확률적인 방법을 도입하였다. 이 밖에 서명 영상에 대한 제 3의 공격에 대해서도 원영상과 사용자 영상의 평균 자승 오차(MSE, Mean Square Error) 비교를 통해 확률적으로 문양을 검출하므로써 대비하였다. 제안된 서명 방법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새로운 문양 방법은 양자화 에러와 제 3의 서명 공격에 더욱 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디지털 서명을 이용한 영상의 위변조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 Tamper Detection using Digital Signature)

  • 우찬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912-4917
    • /
    • 2015
  • 연성 워터마킹은 인증이나 무결성 검증을 위한 목적으로 시각적인 화질저하 없이 워터마크를 영상에 삽입하는 기술로, 인증과 무결성 검증을 위한 워터마크는 필터링과 같은 영상 변형에 대하여 삽입된 워터마크가 쉽게 제거되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영상의 위변조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블록기반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초기화된 영상 블록의 해쉬 코드로부터 디지털 서명을 생성하고, 워터마킹 된 영상의 전체 블록을 검사하지 않고도 변형이 발생된 부분을 빠르게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칼라 영상에 대한 watermarking 구현 사례 (A Digital Watermarking Technique for Color Image)

  • 김종원;조정석;이한호;최종욱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4-406
    • /
    • 1998
  • 본 연구는 인터넷과 같은 가상공간에서의 칼라 영상 데이터에 대한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한 Watermarking 기술을 연구하였다. 이미지에 Invisible Watermark를 삽입하였으며, 칼라 이미지를 압축, Filtering, truncation등과 같은 처리에도 Watermark의 내구성을 높이는 기술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 PDF

어파인 변형과 교차참조점을 이용한 강인한 워터마킹 기법 (A Robust Watermarking Technique Using Affine Transform and Cross-Reference Points)

  • 이항찬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6권3호
    • /
    • pp.615-622
    • /
    • 2007
  • In general, Harris detector is commonly used for finding salient points in watermarking systems using feature points. Harris detector is a kind of combined comer and edge detector which is based on neighboring image data distribution, therefore it has some limitation to find accurate salient points after watermark embedding or any kinds of digital attacks. In this paper, we have used cross reference points which use not data distribution but geometrical structure of a normalized image in order to avoid pointing error caused by the distortion of image data. After normalization, we find cross reference points and take inverse normalization of these points. Next, we construct a group of triangles using tessellation with inversely normalized cross reference points. The watermarks are affine transformed and transformed-watermarks are embedded into not normalized image but original one. Only locations of watermarks are determined on the normalized image. Therefore, we can reduce data loss of watermark which is caused by inverse normalization. As a result, we can detect watermarks with high correlation after several digital attacks.

디지털 영상물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적응 워터마크 기법 (An Adaptive Watermarking Technique for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Images)

  • 박강서;이병열;정태윤;박상희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51권3호
    • /
    • pp.108-111
    • /
    • 2002
  • This paper proposes an new water mark embedding and extraction technique which extends the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technique. The proposed technique approximates the complexity of image and block in spatial domain using Laplacian filtering and watermark is adaptively embedded in the mid-frequency DCT components. Local parity bits are attached to higher-frequency DCT components and they are used to detect extraction errors and correct those errors. In extraction process the proposed method boosts the higher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and extracts the watermark by demodulation and this information is verified and adjusted by parity bits. Experimental results show it is invisible and robust to several external attacks.

Digital Watermarking Algorithm for Multiview Images Generated by Three-Dimensional Warping

  • Park, Scott;Kim, Bora;Kim, Dong-Wook;Seo, Youngho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3권1호
    • /
    • pp.62-68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watermarking method for protecting the ownership of three-dimensional (3D) content generated from depth and texture images. After selecting the target areas to preserve the watermark by depth-image-based rendering, the reference viewpoint image is moved right and left in the depth map until the maximum viewpoint change is obtained and the overlapped region is generated for marking space. The region is divided into four subparts and scanned. After apply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the watermarks are inserted. To extract the watermark, the viewpoint can be changed by referring to the viewpoint image and the corresponding depth image initially, before returning to the original viewpoint. The watermark embedding and extracting algorithm are based on quantization. The watermarked image is attacked by the methods of JPEG compression, blurring, sharpening, and salt-pepper noise.

적응 가중치 마스크 처리 기반 강인한 웨이브릿 워터마킹 (The Robustness Wavelet Watermarking with Adaptive Weight MASK)

  • 정성록;김태효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46-5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컨텐트(Digital Content)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워터마크(Watermark) 삽입방법으로 적응적 가중치를 가지는 Mask처리를 기반으로 하는 웨이브릿(Wavelet) 워터마킹(Watermarking)을 제안하였다. 워터마크가 원 영상에 첨가되는 잡음으로 볼 때, 영상의 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삽입 가능한 워터마크의 크기는 한정적이다. 즉, 워터마크 삽입 과정에서 고려 할 용량성, 강인성 및 화질 특성 중 어느 한 가지라도 지나치게 크게 되면 다른 특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응 가중치 마스크 기반 워터마크 삽입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효율을 최적화하였다. 그 결과 워터마킹된 영상이 외부공격에 대하여 강인성 및 화질 특성으로 47dB 이상을 유지하였다. 또한 명도대비의 변형과 압축에 대한 외부공격에 대해 추출된 워터마크의 상관계수가 각각 0.8이상과 0.65이상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다중 임계치를 적용한 웨이브릿 기반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 (Wavelet-based Digital watermarking Using Multiple threshold)

  • 김재원;남재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4호
    • /
    • pp.419-428
    • /
    • 2003
  •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소유권 문제가 근래에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기술적 해결책으로 디지털 워터마킹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에 대해 다양한 공격에 강인한 웨이브릿 기반 워터마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웨이브릿 변환을 이용하여 워터마킹된 영상의 변화를 감지 못하도록 하면서 시각적으로 중요한 영역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여 일반적인 영상 신호 처리에 강인한 워터마킹 방법을 제시한다. 웨이브릿 변환된 계수의 레벨과 각 부대역별 특성을 고려하고, 영상의 복잡도를 반영한 다중 임계치를 적용하여 원본영상과 워터마킹된 영상이 시각적으로 차이가 없도록 가우시안 랜덤 수열(Gaussian Random Sequence)을 워터마크로 삽입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여러 영상에 대하여 실험해 본 결과 워터마크가 삽입된 영상이 시각적으로 전혀 구별할 수 없을 정도의 비가시도를 보이면서 다양한 공격, 즉 JPEG 손실압축, 필터링, 잡음첨가, 리샘플링, 크로핑 등에 대하여 우수한 워터마크 검출결과와 강인함을 보였다.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컬러 영상에 대한 다중 레벨 디지털 워터마킹 (Multi-Level Digital Watermarking for Color Image of Multimedia Contents)

  • 박홍복;서정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946-1953
    • /
    • 2006
  • 광도 요소의 워터마크 내장은 컬러 영상을 그레이 스케일 영상과 같은 변형에서 삽입한 소유권 정보의 추출을 보장하기 때문에 YCbCr와 같은 광도-색차 컬러 공간에서 색상의 광도 요소에 소유권 정보를 내장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워터마크의 견고성과 비시각성에 중점을 두고, 멀티미디어 컨텐츠서비스의 장치와 성능을 고려한 컬러 영상의 워터 마크 내장, 추출 및 인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컬러 영상은 RGB 컬러 공간에서 YCbCr 컬러 공간으로 변형 한 다음 Y(Luminance), Cb(Color Differences) 및 Cr(Color Differences) 각 요소의 특성을 고려하여 웨이브릿 기반의 주파수 영역에서 다중 레벨(Multi-Level)의 워터마크를 내장하고 추출 및 인증한다. 실험 결과, JPEG 압축에 따른 견고성과 다중 레벨에 대한 워터마크의 비 시각성을 보장할 수 있었다

Blind Color Image Watermarking Based on DWT and LU Decomposition

  • Wang, Dongyan;Yang, Fanfan;Zhang, He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765-778
    • /
    • 2016
  • In watermarking schemes, the discrete wavelet transform (DWT) is broadly used because its frequency component separation is very useful. Moreover, LU decomposition has little influence on the visual quality of the watermark. Hence, in this paper, a novel blind watermark algorithm is presented based on LU transform and DWT for the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images. In this algorithm, the color host image is first performed with DWT. Th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agonal high frequency components are extracted from the wavelet domain, and the sub-images are divided into $4{\times}4$ non-overlapping image blocks. Next, each sub-block is performed with LU decomposition. Finally, the color image watermark is transformed by Arnold permutation, and then it is inserted into the upper triangular matrix. The experimental results imply that this algorithm has good features of invisibility and it is robust against different attacks to a certain degree, such as contrast adjustment, JPEG compression, salt and pepper noise, cropping, and Gaussian no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