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Master Model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167초

스마트 교육환경을 위한 e-교과서 포맷 표준화 방안 연구 (A Study of e-Textbook Format Standardization Scheme for Smart Education Circumstance)

  • 손원성;임순범;김재경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27-336
    • /
    • 2012
  • 스마트 기기의 보급과 Apple사의 iBooks 2 보급과 더불어 교육 환경에서의 디지털 교과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정부는 스마트 교육 추진 계획안을 최근 발표하였으며, 디지털 교과서 적용 및 클라우드 교육 시스템 구성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미래의 교육환경은 이러닝을 넘어 다양한 디바이스에서도 정확한 학습 및 소통이 가능한 스마트 교육 환경을 필요로 하고 있다. 현재 정부의 디지털교과서 사업은 중장기 목표로 추진되고 있으며, 단기적인 목표로 전자책과 유사한 형태의 모델로서 배포가 용이한 PDF 기반 e-교과서 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그러나 차후 스마트 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에서도 변형이 용이하고 원본 콘텐츠에 대한 중립성이 강화된 e-교과서 전략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자책 기반의 e-교과서 포맷에 대한 표준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전자책 요소 기술의 동향에 대하여 조사 분석을 하였으며, 기존 교과서의 분석을 바탕으로 서책형 교과서의 디지털화를 위한 전자책 포맷 표준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또한 제안된 표준 방안에 근거하여, 실제 e-교과서 시범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제안 기법은 향후 스마트 교육 환경에 적용 가능하며 디지털교과서 중장기 사업 목표에 효과적으로 응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 PDF

공시지가산정을 위한 지형·지세조사 자료의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Topographic Survey Data for the Official Land Price Appraising)

  • 이창한;성춘자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1호
    • /
    • pp.153-167
    • /
    • 2018
  • 현재 공시지가를 산정하기 위하여 매년 현장조사방법으로 수집되는 지형 지세자료의 정확도를 인정할 수 없다는 지적이 많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현장조사방법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수집한 지형 지세자료의 정확도 분석을 위하여 수치표고모델로 분석한 자료와 부합여부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총 1537 필지 중 324 필지가 불부합하여, 불부합 비율은 17.36%이다. 11개 연구지역 중 부불합 비율이 20%이상인 지역은 5개이고, 가장 심함 지역의 불부합비율은 38.71%로 나타났다. 대체로 고도가 높고, 경사가 불규칙하여 지형 지세가 복잡한 지역은 불부합 비율이 높은 반면, 지형 지세가 순탄한 평야지역은 불부합 비율이 낮다. 이상 분석결과는 현장조사방법으로 지형 지세를 조사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국토가 고도와 경사가 불규칙한 매우 복잡한 지형 지세임을 고려할 때, 공시지가제도에서 토지의 지형 지세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조사하기 위해서는 먼저 법률적 기준을 정량화하고, 기존의 현장조사 방법을 공간정보 분석방법으로 전환해야 한다.

비도시권 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비즈니스 모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Business Model for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in Non-Urban High Schools)

  • 박성택;조민우;김태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7-58
    • /
    • 2017
  • 진로 및 학업상담교육은 학생들과의 지속적이고 일관성있는 상호작용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진로교육은 단순히 전공, 대학 및 직업에 대한 조언이나 상담수준에 머무르지 않는다. 학생들의 장기적인 진로관련 효능감 제고를 위해서는 진로교육 상담교사와의 지속적이고 개인적인 접촉이 요구된다. 그러나 통계조사에 의하면 비도시지역의 고등학교의 경우 대도시의 학교와는 달리 진로교육 및 상담을 전담하는 교사들의 배치율이 낮아 진로교육과 관련한 또 다른 문제에 봉착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상황을 다소나마 보완할 수 있는 현업전문가의 교육기부를 전제로 하는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대도시 MBA 동문회의 지원을 전제로 하는 사회적 기업 창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설계하고자 한다. MBA 재학생 및 동문들의 스킬, 지식, 역량 등을 활용하여 진로교육 및 상담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결론으로 비도시지역의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동기 유발과 지속적인 관심유발을 제고할 수 있는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의 편익을 강조하는 것으로 마무리하고자 한다.

금속 도재 하부구조물 제작 시 침적법의 타당도 실험 (Validity experiment of dipping method in the manufacture of metal-ceramic substructure)

  • 이완선;임수현;김욱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1호
    • /
    • pp.26-32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상악 중절치(#11) 금속 도재 하부구조물(metal-ceramic substructure) 제작 시 반복첨가법(addition method)과 침적법(dipping method)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작업의 효율성의 차이를 평가하여 침적법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주 모형과 경석고 복제모형을 제작하여 반복첨가법과 침적법으로 코핑을 각 10개씩 20개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코핑은 경석고 지대치 모형에 고정시키고 에폭시 마운팅 컵(epoxy mounting cup)에 매몰하였다. 시편은 경화 후 절단기를 사용하여 순,설방향으로 절단하여 사포 후 디지털 현미경을 이용하여 4지점을 측정하였다. 결과: t-test를 이용하여 제작된 지대치 substructure의 측정값 평균을 비교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P < 0.05).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금속 도재 하부구조물 제작 시 반복첨가법과 침적법의 유의적 차이가 없으므로 활용 방안으로써 제시 될 수 있다.

Impact of surface roughness of gypsum materials on adaptation of zirconia cores

  • Kim, Ki-Baek;Kim, Jae-Hong;Kim, Sa-Hak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7권3호
    • /
    • pp.199-206
    • /
    • 2015
  • PURPOS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various gypsum materials on the precision of fit of CAD/CAM-fabricated prostheses and analyzed their correlation with surface roughness. MATERIALS AND METHODS. The master model of the mandibular right first molar was replicated, and four experimental groups based on two types of Type IV stone (GC Fujirock EP, Die keen) and two types of scannable stone (Aesthetic-Basegold, Everest Rock) were created to include a total of 40 specimens, 10 in each group.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working models for the respective experimental groups was measured. Once the zirconia cores had been fabricated,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s were measured with a digital microscope using the silicone replica techniqu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ective points of measurement were computed and analyzed through the one-way ANOVA and Tukey's HSD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surface roughness and the precision of fit of the zirconia core was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lpha}$=.05). RESULTS. The zirconia cores fabricated from the scannable stone working models exhibited a superior precision of fit as compared to those fabricated from the Type IV stone working models.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a clea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rface roughness and the precision of fit of zirconia cores in all of the experimental groups (P<.05). CONCLUS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surface roughness of dental working models has a decisive influence on the precision of fit of zirconia cores.

Accuracy of provisional crowns made using stereolithography apparatus and subtractive technique

  • Kang, Seen-Young;Park, Jung-Hyun;Kim, Ji-Hwan;Kim, Woong-Chul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0권5호
    • /
    • pp.354-360
    • /
    • 2018
  • PURPOSE. To compare and analyze trueness and precision of provisional crowns made using stereolithography apparatus and subtractive technology. MATERIALS AND METHODS. Digital impressions were made using a master model and an intraoral scanner and the crowns were designed with CAD software; in total, 22 crowns were produced. After superimposing CAD design data and scan data using a 3D progra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obtained for analysis of trueness and precis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normality test combined with Levene test for equal variance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ype 1 error was set at 0.05. RESULTS. Trueness for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SLA crown (SLAC) were $49.6{\pm}9.3{\mu}m$ and $22.5{\pm}5.1{\mu}m$, respectively, and those of the subtractive crown (SUBC) were $31.8{\pm}7.5{\mu}m$ and $14.6{\pm}1.2{\mu}m$, respectively. Precision values for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SLAC were $18.7{\pm}6.2{\mu}m$ and $26.9{\pm}8.5{\mu}m$, and those of the SUBC were $25.4{\pm}3.1{\mu}m$ and $13.8{\pm}0.6{\mu}m$, respectively. Trueness values for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SLAC and SUBC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Precision for the inner surface showed significance (P<.03), whereas that for the outer surface showed no significance (P<.58). CONCLUSION. The study demonstrates that provisional crowns produced by subtractive technology are superior to crowns fabricated by stereolithography in terms of accuracy.

경사진 임플란트에서 임플란트 인상의 정확도 평가를 위한 역공학 기법 (Reverse engineering technique on the evaluation of impression accuracy in angulated implants)

  • 정홍택;이기선;송소연;박진홍;이정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261-270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1) 기존에 존재하던 몇 가지 다른 임플란트 인상의 정확도 평가방법들과 역공학 기술을 비교하고 (2) 역공학 기술로 임플란트 식립 방향 및 임플란트 인상용 코핑의 종류에 따른 인상 채득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임플란트 식립 방향에 따른 세 가지 다른 마스터 모델을 제작하였고, 그 중 임플란트를 평행하게 식립한 마스터 모델에서 두 임플란트 중심점 사이의 거리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디지털 캘리퍼를 이용한 측정 방법(그룹 DC), 광학 사진을 이용한 측정 방법(그룹 OM) 및 역공학 기술을 이용한 측정 방법(그룹 RE)). 세 종류의 마스터 모델 별로 각각 세 가지 유형의 임프레션 코핑을 이용하여 인상을 채득한 후 총 90개의 실험 모델을 제작하였으며 각 실험 모델들과 마스터 모델 간의 각도 및 거리의 오차율(error rate)을 계산하였다. 세 가지 평가 방법 간의 비교에는 One-way ANOVA가 사용되었다 (P < .05). 각 실험 그룹들의 오차율은 two-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 < .05). 결과: 그룹 DC의 오차율과 그룹 RE의 오차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P < .05), 그룹 OM의 오차율을 다른 그룹들과 비교하였을 때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5). 역공학 기술로 측정한 오차율의 표준 편차는 디지털 캘리퍼 및 광학 사진 측정으로 계산한 오차율의 표준 편차보다 상당히 낮았다. 하이브리드 인상용 코핑 그룹은 거리 오차율에서 픽업 인상용 코핑 그룹과 큰 차이가 없었다 (P > .05). 결론: 본 실험을 통해 역공학 기술이 임플란트 인상의 삼차원적인 정확도 평가 기법으로서의 잠재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Comparison of retentive force and wear pattern of Locator® and ADD-TOC attachments combined with CAD-CAM milled bar

  • Chae, Sung-Ki;Cho, Won-Tak;Choi, Jae-Won;Bae, Eun-Bin;Bae, Ji-Hyeon;Bae, Gang-Ho;Huh, Jung-Bo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4권1호
    • /
    • pp.12-21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retention and wear pattern of Locator® and ADD-TOC attachments on a digital milled bar by performing chewing simulation and repeated insertion/removal of prostheses in fully edentulous models. MATERIALS AND METHODS. Locator (Locator®; Zest Anchors Inc., Escondido, CA, USA) was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and ADD-TOC (ADD-TOC; PNUAdd Co., Ltd., Busan, Republic of Korea) as the experimental group. A CAD-CAM milled bar was mounted on a master model and 3 threaded holes for connecting a bar attachment was formed using a tap. Locator and ADD-TOC attachments were then attached to the milled bar. Simulated mastication and repeated insertion/removal were performed over 400,000 cyclic loadings and 1,080 insertions/removals, respectively. Wear patterns on deformed attachment were investigated by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SULTS. For the ADD-TOC attachments, chewing simulation and repeated insertion/removal resulted in a mean initial retentive force of 24.43 ± 4.89 N,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Locator attachment, 34.33 ± 8.25 N (P < .05). Amounts of retention loss relative to baseline for the Locator and ADD-TOC attachments were 21.74 ± 7.07 and 8.98 ± 5.76 N (P < .05). CONCLUSION. CAD-CAM milled bar with the ADD-TOC attachment had a lower initial retentive force than the Locator attachment. However, the ADD-TOC attachment might be suitable for long-term use as it showed less deformation and had a higher retentive force after simulated mastication and insertion/removal repetitions.

신뢰성 있는 전자기록관리기관 감사인증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Process and Methods of Audit and Certification Toolkit for Trustworthy Digital Records Management Agency)

  • 이해영;김익한;임진희;심성보;조윤선;김효진;우현민
    • 기록학연구
    • /
    • 제25호
    • /
    • pp.3-46
    • /
    • 2010
  • 전자기록관리는 수많은 사회적 기술적 요소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시스템이다. 신뢰받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전자기록관리기관은 감사와 인증의 정규적인 수행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따라 개별 전자기록관리기관에서는 스스로의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평가해보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고 스스로의 환경과 시스템을 자체 평가하여 부족한 부분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도구의 필요성이 생겼다. 본 연구의 목적은 OAIS 참조모형(ISO 14721)과 영국 UKDA와 TNA의 자가진단보고서, TRAC 및 DRAMBORA 등 4개 표준과 국제모범사례를 분석하고, MoReq2와 현행 국내 법령 및 표준 등을 종합, 분석하여 자체인증도구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인증도구의 개발과정과 전체적인 틀을 기술함으로써, 타 기관에서도 기관의 특성에 따라 이러한 도구를 개발하고 자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발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 결과, (기관) 운영관리, 분류체계 및 기준정보 관리, 입수, 등록 기술, 저장 보존, 처분, 서비스, 검색도구 제공, 시스템 관리, 접근통제 보안, 모니터링 감사증적 통계, 위험관리 등 총 12개 영역으로 진단영역이 확정되었다. 설정된 12개 영역 각각에 대해 각 영역별로 프로세스 맵 또는 기능차트 등을 만들고 업무기능을 분석한 후, 영역별 주요 업무기능 단위를 중심으로 구성된 54개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다. 각 평가지표 별로 실제 자가진단을 시행할 수 있는 측정 가능하고 증빙이 가능하도록 작성한 208개의 '평가세부지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로 생성된 이 지표는 전자기록관리기관의 감사인증도구로 사용될 수 있어, 기관 스스로 정기적으로 자가진단을 실행하는 데에 활용함으로써, 발견된 미비점을 보완하고 향후 기관의 발전 전략에 반영할 수 있다.

유착성 관절낭염에 대한 침 및 신경차단술 처치의 임상적 관찰 (Clinical Observation of Acupuncture and Nerve Block Treatment for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 남동우;임사비나;김종인;김건식;이두익;이재동;이윤호;최도영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143-155
    • /
    • 2007
  • Objectives: To observe the effect of acupuncture and nerve block combination treatment on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Methods : 59 voluntary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cupuncture treatment group(E group, n=22), nerve block treatment group(W group, n=17) and acupuncture and nerve block combination treatment group(EW group, n=20). The E group received acupuncture treatment on LI15, $TE_{14}$, $GB_{21}$ and Master Dong's acupuncture points, Shin-gwan and Gyun-joong, twice a week for 4 weeks. The W group received suprascapular nerve block, subacromial injection and trigger point injection, twice a week for 4 weeks. The EW group received the same treatment as the W group and after 5minutes of rest, successively received the treatment identical to that of E group. All three groups were instructed to practice groups were instructed to practice self exercise during their daily lives. Evaluations were made before treatment and after 1, 2, 3 and 4week treatment. Constant Shoulder Assessment(CSA),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SPADI), Range of Motion(ROM), the patient's treatment satisfaction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VAS) and 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DITI) were used as assessment tools.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sults : The 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p<0.05) on CSA, SPADI, VAS and DITI. As for ROM, Adduction and Extension improved significantly(p<0.05). The W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p<0.05) on CSA, SPADI, VAS and DITI. As for ROM, Abduction and Extension improved significantly. The EW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p<0.05) on CSA, SPADI and VAS. As for ROM, Adduction, Abduction, Extension and Flexion improved significantly. The improvement of CSA, VAS and Abduction ROM in the EW group was significantly(p<0.05) superior compared to the groups treated with single type of treatment. Conclusion : It is suggested that acupuncture and nerve block combination treatment for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is more effective than the two single treatments. Through further studies, the acupuncture and nerve block combination treatment model may be developed into East-West Collaboration Model in treating adhesive capsulit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