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Health Management

검색결과 1,325건 처리시간 0.022초

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 운동만족 및 건강증진행동 관계연구 : 헬스센터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health belief, self-efficacy, exercise satisfaction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 focused on the case of health training center)

  • 정영신;윤천성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15-230
    • /
    • 2016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health belief of adult female users of the health training center affect health-promoting behavior through self-efficacy and exercise satisfaction. The proposed model i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of Rosenstock et al.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PLS analysis is performed with the valid 177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Seoul and nearby c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severity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not on exercise satisfaction. Second, perceived susceptibility does not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self-efficacy and exercise satisfaction. Third, perceived barriers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not on exercise satisfaction. Fourth, perceived susceptib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self-efficacy and exercise satisfaction. Fifth,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satisfaction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Sixth, exercise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웰에이징을 위한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 교육요구도 조사 (A Study on the Education Needs for Health Promotion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for Well-Aging)

  • 임효남;김용하;이종형;송현동;황혜정;김광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205-215
    • /
    • 2021
  •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여 웰에이징을 위한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의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안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로 한국갤럽에 등록된 만 19세 이상 성인 33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관적 건강 상태는 3.11점(SD=.72), 건강증진행위는 2.27점(SD=.47), 건강 관련 삶의 질은 0.92점(SD=.10)이었으며,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주관적 건강 상태(r=.472, p<.001), 건강증진행위(r=.122, p<.026)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내용의 우선순위는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부분이 가장 높았고, 생애주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장년기가 청년기보다 지식 정도, 교육의 필요도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참여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웰에이징을 위한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생애주기별에 따라 세분화 된 종합적인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A Study on the Priorities of Enabling Digital Healthcare Platform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sumers and Suppliers

  • Yeon-Kyeong Lee;Min-Jung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131-141
    • /
    • 2024
  • 인구 고령화 추세와 현대인의 생활습관 악화로 인해 우리 사회는 다양한 만성질환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전에 예방관리히는 헬스케어가 부상하고 있는데, 특히 최근 데이터의 중요성 및 활용이 증가하면서 개인의 건강 데이터에 기반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플랫폼)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 디지털헬스케어산업은 아직까진 저조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헬스케어 서비스의 경우 동일한 플랫폼에 대한 수요자와 공급자 양측면에서의 수용성이 중점 고려사항으로 작용하기에 본 논문에서는 계층화분석법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통해 건강관리 서비스 플랫폼 성공요인에 대한 수요자 및 공급자별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AHP는 복잡한 의사결정 문제를 계층적으로 구조화하고 각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여 최적의 결정을 도출하는 기법이다. 연구결과 공급자 집단에서는 데이터 분석 및 플랫폼 설계(1위), 법/제도(2위), 데이터 표준화(3위)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요자 집단에서는 시스템 안정성(1위), 법/제도(2위), 시스템 보안성(3위)로 나타나 집단간 순위 차이를 보였다. 이는 건강관리서비스플랫폼 활성화를 위해 기대격차 최소화를 위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유헬스 시스템의 사용자 수용 요인 연구 - 융합형 양방향 스마트 헬스를 위한 (User Acceptance Factors of u-Health System - For Converged Smart Health)

  • 김민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321-330
    • /
    • 2013
  • 소득 수준의 향상과 사회 가치관 변화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욕구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양방향 스마트 헬스를 위한 유헬스 시스템의 수용요인을 분석하여 사용자들이 이러한 시스템을 수용하는데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헬스 시스템의 사용자 수용 결정에 건강(Health)과 기술(Technology)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분산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모형 검증 및 경로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HPM 요인 중 건강관리경험 요인과 TAM에서 지각된 유익성 요인이 태도를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유익성이 직접 행위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최종 모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수면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적용한 디지털 치료기기의 임상적 유효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대조군분류에 따른 하위 분석 (A Systematic Review on the Clinical Efficacy of Digital Therapeutics for Sleep Disorders: Subgroup Analysis by Control Groups)

  • 전효선;강은지;유수정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21-241
    • /
    • 2023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gital therapeutics for insomnia on sleep disorders and mental health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Methods: Following the guidelines on systematic review(PRISMA, NECA),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through 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 RISS, KISS, and KoreaMed using keywords.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 and Review Manager version 5.3 were used for risk of bias and effect size assessment. Results: Thirty eight RCT met criteria for inclusion. When compared against three control conditions, the digital therapeutics for insomnia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ement sleep disorders and mental health in comparison to waiting list and Patient-directed care with some intervention by medical staff. However, digital therapeutics for insomnia were no more effective than face-to-face CBT-I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efficacy of digital therapeutics for insomnia was evalu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n phase 3 clinical trials for efficacy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the control group has been properly established.

Validation of the mobile wireless digital automatic blood pressure monitor using the cuff pressure oscillometric method, for clinical use and self-management, according to international protocols

  • Yoo, Sooyoung;Baek, Hyunyoung;Doh, Kibbeum;Jeong, Jiyeoun;Ahn, Soyeon;Oh, Il-Young;Kim, Kidong
    • Biomedical Engineering Letters
    • /
    • 제8권4호
    • /
    • pp.399-40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a mobile wireless digital automatic blood pressure monitor for clinical use and mobile health (mHealth). In this study, a manual sphygmomanometer and a digital blood pressure monitor were tested in 100 participants in a repetitive and sequential manner to measure blood pressure. The guidelines for measurement used th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protocol, which reflects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the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ion/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Medical Instrumentation SP 10: 1992 and the British Hypertension Society protocol. Measurements were generally consistent across observers according to the measured mean ${\pm}SD$, which ranged in $0.1{\pm}2.6mmHg$ for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0.5{\pm}2.2mmHg$ for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For the device and the observer, the difference in average blood pressure (mean${\pm}$SD) was $2.3{\pm}4.7mmHg$ for SBP and $2.0{\pm}4.2mmHg$ for DBP. The SBP and DBP measured in this study showed accurate measurements that satisfied all criteria, including an average difference that did not exceed 5 mmHg and a standard deviation that did not exceed 8 mmHg. The mobile wireless digital blood pressure monitor has the potential for clinical use and managing one's own health.

체력관리 수업이 여자 대학생의 신체구성, 혈압 및 건강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tness Management Class on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nd Health-related Fitness in College Women)

  • 김명수;김성희;이신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607-614
    • /
    • 2016
  • 본 연구는 체력관리 수업이 비만도가 각기 다른 여자 대학생들의 신체구성, 혈압 및 건강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본교 2012~2016년 9학기 동안 체력관리 수업을 수강한 여학생 3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룹 구분은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률(%) 기준으로 저체중, 마른 비만, 정상, 정상 비만 그리고 비만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체력관리 수업은 저항성 운동과 유산소 운동의 복합운동으로 일일 75분, 주 2회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본교의 체력관리 수업은 비만 그룹을 제외한 네 그룹의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율, 근육량 그리고 허리둘레를 긍정적으로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혈압(SBP, DBP)과 건강관련 체력에서는 다섯 그룹 모두에서 대부분 긍정적으로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체력관리 수업은 비만 여자 대학생의 신체구성의 개선을 제외하고 여자 대학생들의 신체구성과 혈압의 개선 및 건강관련 체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motional Vocabulary-based Multimedia Contents Management System

  • Park, Kyung-Woo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58-162
    • /
    • 2013
  • In these days,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various digital contents increased because of growing internet users. Now the digital contents production system is producing video which is based on keywords and contents. This paper proposes the sensibility-based contents management system which can analyze and manage contents of video production system. Due to the sensibility-based multimedia contents management system, it is possible to analyze and manage sensibility contents what users want. As a result, by building a database, we can provide intelligent and meaningful services. In addition, contrary to low grade's contents-based production system, we can cope actively with users' demands.

u-Health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폰용 스펙트럼 측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mart Phone Application With Spectrometer for u-Health Service)

  • 김동수;이서준;이태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7호
    • /
    • pp.261-269
    • /
    • 2013
  • u-Health는 최근 기술이며 의료 진단과 건강관리를 위한 새로운 방법론이다. 그러나 이를 실현하려면 몇 가지 기술적 장벽들(이동성, 소형화, 배터리 수명 문제 등)을 넘어서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u-Health 서비스에 적합한 스마트폰용 스펙트럼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솔루션에 비해 무선이면서 크기가 매우 작지만 성능 면(재현성 비교실험에서 Spectrum, Calibration Curve, Prediction)에서 거의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개발된 솔루션은 u-Health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매체 유형에 따른 헬스케어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효과 분석 - 인쇄물과 영상 미디어 중심으로 - (A Study on Effectiveness of Healthcare Campaign According to Types of Media - Focused on Printed Media and Video)

  • 배순한;이지수;최재영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23-132
    • /
    • 2020
  • With increasing social interest in health and health promotion, the government and many organizations are conducting various health campaigns for the public. The public health campaign is aimed at protecting the people from the dangers of disease and contributing to a healthy life and also help establishing a healthy attitude and changing behavior as well. In addition, many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enhance the advertising effect of campaigns aimed at forming preventive attitudes and to verify it by applying many theories. However, as a result,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 regarding 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campaign by media.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health campaign by the type of media which published health campaign advertisements that can affect prevention attitude.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15 print media were to examine the impact of media characteristics and types on participation in campaigns for health campaigns. Through this, we will present the role of the media as an efficient channel to encourage the forma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health attitude of campaign advertisements, and present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e selection of optimal media and the execution of campaign budg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