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igital Game Space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7초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 and presentation of digital game

  • Oh, Hyoun-J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47-54
    • /
    • 2015
  • In this paper, I examines the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change in the environment of the digital platform, and play the game with a focus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 digital game. First, what is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digital games? This section applies to a digital game "theory of Lefebvre", and the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practice space, divided into representational space were explored. Second, how to express dealing Is there space in the genre of adventure gam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game medium through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the adventure game genre that is most striking examples was analyzed whether the expression in any way. Consequentl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game studies of the game as well as think a very large role in the development direction. In addition, this case analysis of the expression is the basis of this digital game that is utilized in many areas, and I am sure many possibilities to find a positive role in the game.

아바타 기획을 위한 디지털 공간의 페르소나 (The Persona of Digital Space for Avatar Design)

  • 이동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3-43
    • /
    • 2009
  • 컴퓨터 기술 발전과 유토피아적 상상력의 교합으로 발생한 디지털 공간은 더 이상 놀이의 공간이 아닌 새로운 가치 창조의 공간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디지털 공간을 유희성이 두드러지는 디지털 게임의 공간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중심이 되는 가상세계 공간으로 나누고, 각각의 공간에서 활동의 주체가 생성과 운용, 그리고 소멸시점에 따라 어떻게 페르소나를 형성하고 유지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디지털 공간의 아바타를 기획하는데 지침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 PDF

디지털 게임의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cial Characteristic features in Digital Game)

  • 황용섭;김주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3호
    • /
    • pp.3-10
    • /
    • 2002
  • Virtual reality is not a new concept but just a new word and also it isnt limited to the reality created by computer-assisted image composition. Furthermore, we have lived within the virtual reality since long time ago, and the newly emerging digital technology has made the limits of the virtual expression vague and the definition of space concept new, The magical experiences we have had within the digital space consisted of Virtual space are the philosophical subject which we can hardly explain as a simple dichotomous definition such as Virtuality or Reality. But its true that our experiences made within virtual space are felt as much newer space considering those of space design, which have been traditionally made in our physical territory. Digital game is the representative space that provides a new space. Therefore, the new concept in space will be not just the territory expansion of space but also the opportunity we can find a new possibility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space. At this point in time that the life territory is expanding as a new space, this research goal is to show the new possibility of the connection of human and digital space through studying the relationship of Human and Space, Space and Digital space and Human and Digital space as well as The peculiarity of the space which is expressed at Digital game, the most representative space providing new experiences.

시뮬라크르로 바라본 게임 공간의 장소성 형성과정 고찰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Placeness of the Game Space from the view of Simularcre)

  • 정지윤;성정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5-38
    • /
    • 2021
  • 본 논문은 현대인의 생활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 디지털 게임 공간에 대해 시뮬라크르 이론에 따라 인간 실존적 의미의 장소(place)로의 발전 가능성과 장소성(placeness) 형성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우선 인간과 관계 맺음 하는 디지털 게임 공간을 플라톤, 장 보드리야르, 질 들뢰즈의 시뮬라크르 이론을 바탕으로, 혼재될 수 있는 세 가지의 시뮬라크르 공간 양상으로 해석했다. 게임 공간에서 장소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앞서 재해석한 시뮬라크르 공간과 장소 이론, 그리고 사용자의 게임 경험을 연결 지어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매체의 진정성 있는 경험을 위한 디지털 게임 공간의 장소 양상을 탐구하는 데 이바지하길 기대한다.

영화 <1917>의 게임적 체험 연구 - 디지털 무빙 롱테이크 쇼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aming Experience of the Movie <1917> - Focused on the Digital Moving Long Take Shot)

  • 유우현;정원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411-420
    • /
    • 2022
  • Entering the digital cinema era, movies and games are remediating each other. The shots of digital movies are being transformed into realistic content through digital Moving long-take shots that transcend time and space and move smoothly. At this time, the digital Moving long take shot that continuously captures the space in all directions without an external screen induces a game experience. In addition, the camera that constantly accompanies the person enhances the sense of immersion in the game in a way similar to the point of view of the game. While various immersive device contents represented by VR, AR and XR are emerging, the advent of <1917> suggest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post-cinema in that it creates a game experience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screen environment and cinematic paradigm.

게임-확장공간에서의 '게임적 신인류'의 형성 : 체감형 게임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New Game Generation in Game-Extended Space : Focused on the Experience Game)

  • 김재영;성정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3-13
    • /
    • 2010
  • 본 논문은 게임적 행위, 게임적 체험, 게임적 인간이라는 일련의 과정에 주목한다. 현대에서의 게임의 강력한 효과는 게임적 인간이라는 새로운 인간형을 생산하고 있다. 특히 체감형 게임의 형태는 그것의 매체적 특질에 의해 가장 강력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논의의 주요한 대상으로 삼는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체감형 게임에서의 체험을 분석하고, 체감형 게임이 담지하고 있는 게임-공간의 확장성을 탐구한다. 그리고 체감형 게임이 생성하고 있는 새로운 게임적 인간을 '게임적 신인류'로 개념화한다. 이러한 논의는 체감형 게임이 가속화시킨 다양한 사회적 현상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반영하여 그것의 사회적 의미를 도출해 보기 위한 시도이다.

디지털 게임 공간의 장소성 (Place of Digital Game Space)

  • 오현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1호
    • /
    • pp.171-172
    • /
    • 2017
  •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현대 디지털 사회에서의 게임의 공간 문제를 장소론적으로 해석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디지털 게임에서의 공간과 장소성은 인류학적으로 보는 관점과는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탐구하여 게임의 비장소의 공간들이 어떻게 구현되고 장소적 특성을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장소론적 입장에서 게임공간을 연구하였다. 디지털 게임공간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는 디지털게임을 이해하는데 있어 기존의 '매체 지향적 논의'들과 '서사중심'의 파편적인 논의를 통합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다양한 방향으로서의 연구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본다.

  • PDF

게임의 가상공간 환경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속성에 따른 재미와 몰입감 차이 (Differences of Fun and Immersion according to Game User Interfaces in the Virtual Space)

  • 김기윤;이주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489-149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장르를 가진 디지털 게임의 영역에서도 1인칭 시점에 머물러있는 가상현실 게임 콘텐츠들의 한계에 대해 선행연구와 사례를 통해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공간 게임에서의 시점(1인칭, 3인칭)과 햅틱 피드백이 가져다주는 게임의 몰입감과 현존감 및 재미의 차이를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게임의 시점은 3인칭일 때보다 1인칭일 때, 햅틱 피드백이 제시될 때 몰입감과 현존감 및 재미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가상공간 환경과 게임 시점 간의 상호작용은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가상공간 게임들은 1인칭을 시점으로 하여 햅틱 피드백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으나 게임 시점과 가상현실 환경이 무관한 점, 1인칭시점 게임보다는 3인칭이 더 인기를 끄는 점 등 을 빌어 가상공간에서의 3인칭시점 게임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게임 기반 도심형 디지털 테마파크의 활성화를 위한 요소 분석 (Factor Analysis for Activating Game Based Digital Urban Theme Park)

  • 라건주;성정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9-30
    • /
    • 2015
  • 기술의 발전과 가상현실의 세계에서 즐기는 디지털 여가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런 디지털 여가 활동의 하나로 도심형 디지털 테마파크가 부상하고 있다. 그에 따라 국내에서 다양한 디지털 테마파크가 제작되었지만, 성공적인 흥행을 이루지 못하며 후발 주자를 이끌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런 현상을 인간의 욕구를 단계에 따라 만족시켜 무아의 경지인 절경경험을 이뤄낸다는 매슬로의 욕구이론과 조셉캠벨의 영웅의 여정단계를 바탕으로 테마파크의 공간 및 게임 요소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게임기반 테마파크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모형은 향후 다양한 도심형 디지털 테마파크 발전의 초석이 될 것이다.

디지털 게임의 카니발리즘 연구 (A Study on Cannibalism in Digital Game)

  • 이동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65-71
    • /
    • 2010
  • 태생적으로 디지털 게임은 플레이어의 관심과 흥미를 끌고 몰입을 유도하기 위해 한 개 이상의 재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재미의 요소로는 경쟁과 퍼즐, 인터랙션과 역할놀이 등 다양하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게임의 재미 요소의 본질을 바흐찐의 카니발리즘 이론으로 해석해보고자 한다. 축제와도 같은 디지털 게임을 즐기는 플레이어들은 장소와 지속성에 의해 일상적인 삶과 게임을 구분한다. 또한 게임을 진행하는 동안 죽음과 부활을 반복하면서 재생되는 생명력을 경험하며, 시시각각 변화하는 캐릭터의 모습이나 인터페이스의 전복으로 인해 일상으로부터의 일탈을 경험하며 웃음을 생산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