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Formation of New Game Generation in Game-Extended Space : Focused on the Experience Game  

Kim, Jae-Young (Dept. of Digital Media, Th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
Sung, Jung-Hwan (Dept. of Digital Media, Th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sequences between game performance, game experience, game generation. Present-day the game has powerful effects to form new human species as game generation. Especially, the experience game is important because it could have one of the most powerful effect by characteristics of own interface. First of all, this paper analyzes a experience of the experience game and researches the game-extended space. Secondly, We create concept of 'new game generation' in order to explain new human species on the experience game. So we can reveal the social meaning of accelerated present state by the experience game through this new analysis.
Keywords
the experience game; game-extended space; new game gener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Max Scheler(조정옥 옮김), 동감의 본질과 형태들, 아카넷, p61, 2006
2 Max Scheler(조정옥 옮김), 동감의 본질과 형태들, 아카넷, p61, 2006
3 Lev Manovich(박해천 옮김), 확장공간의 시학: 프라다의 교훈, 디자인 앤솔러지, 시공아트, p99, 2004
4 http://www.w2pi.com/index/index.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13&Itemid=9
5 http://www.gamemeca.com/news/special_view.html?seq=1523&page=1&search_text=&sort_type=&subpage=1&iem=&send=
6 http://blog.naver.com/noperty?Redirect= Log&logNo=130074471455
7 최유찬, 컴퓨터 게임의 문학적 특성, 국제어문, 제23집, p54, 2001
8 지수미, 체감형 게임의 현장감 증진방안 연구: 교육용게임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정보통신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p4, 2006
9 지수미, 체감형 게임의 현장감 증진방안 연구: 교육용게임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정보통신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p5-8, 2006
10 Max Scheler(조정옥 옮김), 동감의 본질과 형태들, 아카넷, 2006
11 박동숙, 최정윤, 다 사용자 온라인 게임 (MPOG)의 가상현실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p4-13, 2000
12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581&kind=newword&re=y
13 Mark Johnson(노양진 옮김), 도덕적 상상력, 서광사, 2008
14 이인화, 인간의 다섯가지 욕망과 디지털스토리 텔링, 신작평론, p73, 2003
15 Zakia, Richard D.(박성완 옮김), 시지각과 이미지, 안그라픽스, p116, 2007
16 김형효, 원효의 대승철학, 소나무, p59, 2006
17 Max Scheler(조정옥 옮김), 동감의 본질과 형태들, 아카넷, p57-60, 2006
18 이설희, 성용희, 게임에서의 시점과 캐릭터 동일시, 한국콘텐츠학회, Vol.8 No.3, p121-123, 2008   과학기술학회마을
19 http://www.konami.jp/products/loveplus/
20 지수미, 체감형 게임의 현장감 증진방안 연구: 교육용게임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정보통신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p4, 2006
21 이경미, 현대공연예술의 수행성과 그 의미, 한국연극학, Vol31, p138-142, 2007
22 이경미, 현대공연예술의 수행성과 그 의미, 한국연극학, Vol31, p132, 2007
23 Mark Johnson(노양진 옮김), 도덕적 상상력, 서광사, p348-353, 2008
24 Mark Johnson(노양진 옮김), 도덕적 상상력, 서광사, p348-353, 2008
25 최유찬, 컴퓨터 게임의 문학적 특성, 국제어문, 제23집, p56, 2001
26 Mark Johnson(노양진 옮김), 도덕적 상상력, 서광사, p327-334, 2008
27 http://100.naver.com/100.nhn?docid=147188
28 노양진, 체험주의 철학적 전개, 범한철학회, Vol.10, p344, 1995
29 노양진, 다원주의적 문화 해석 : 체험주의적 접근, 대한철학회, Vol.101, p53-54,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