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Education Policy

검색결과 1,494건 처리시간 0.024초

디지털교과서 전면도입에 따른 학습격차 심화가능성 탐색 (Exploration to the Possibility of Deepening Educational Gap in using Digital Textbook)

  • 서용희;오경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705-716
    • /
    • 2014
  • This study starts from a question about the expectation that government policy reduces the educational gap by introducing digital textbooks. In addition, we try to figure out how to minimize the problems that will occur when digital textbooks are introduced and fully adop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ing the possibility that suing digital textbook deepens learning gap among students. Researchers are discussed that the gap between 'information' haves' and 'information' have-nots' and between 'the competent user' and 'the incompetent user' increase difference between 'knows' and 'know-nots' on the socio-economic class. These difference are likely to imply that using digital textbook is deepening the educational gap.

The Influence of the Digital Divide in Elderly's Traits

  • Jang, Young E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09-215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digital divid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selected elderly people (${\geq}65$ years old) who used a senior welfare center in Chungcheongbuk-do.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filling survey method for 12 days. Total 289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nder and age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the factors causing the digital divide of the elderly. Second, education level, economic level, Secondly, education level, economic level, health level, and occupation were factors creating the digital divide of the elderly.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중년기 가족의 교육비 문제와 디지털 시대의 해결방안 모색 (Issues of Education Expenses and Policy Implication of On-Line Education Service for the Middle Aged Families)

  • 손상희;정영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1호
    • /
    • pp.49-6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penditure on children's private, after-school education, perceptional need for private education, and budget planning pattern for the expenditure of education applying survey data, and to investigate current situation to Identify solving planning for digital age. taking on-line educational service system and internet financial planning for children's educational expenditure into account. Under the purpose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the condition of on-line educational service system and the merits as well as problems of the system, the need for household financial planning for children's education, and the condition or nature of internet financial planning system, in terms of providing market information and of suggesting policy implications.

소셜트러스트 기반의 소셜미디어 전담기구('소셜미디어위원회') 설립 방안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Social Media Committee' Based on the Social Trust)

  • 문형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7호
    • /
    • pp.41-58
    • /
    • 2012
  • 현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 있어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소셜미디어(social media)를 이해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관련 정부 차원의 현재의 노력 점검을 통하여 소셜미디어의 올바른 활용과 이용자 권익 보호를 위한 정부의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을 위해 소셜미디어 전담기구(가칭 '소셜미디어위원회') 수립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소셜미디어위원회의 소셜미디어 정책(Policy), 교육(Education), 기준(Standard) 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따른 건강역기능 고찰 (A Review of Studies on the Health-adverse effects in using Digital Textbooks)

  • 서문경애;김은영;노원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165-175
    • /
    • 2012
  • 교육과학기술부는 2006년에 학교교육에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방법으로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을 시도하였다. 2007년 이후 일부 초등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를 시범적으로 사용하였다. 이에 교육과학기술부는 가까운 미래에는 초등, 중등, 고등학교에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을 확산하려는 의지를 발표하였다. 그러나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은 건강이라는 측면에서 많은 우려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따른 건강역기능을 확인하고자 국내외의 선행문헌고찰을 통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디지털교과서 관련 건강연구가 처음이므로 컴퓨터를 활용한 유사한 학습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헌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가장 중요한 시사점은 신체적인 요소와 심리적인 요소인데, 신체적인 증상으로는 안증상, 근골격계증상, 전신증상, 피부증상 등이 나타났고, 심리적인 증상으로는 학습스트레스와 학습소진으로 나타났다.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쟁점 분석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 탐색 연구 (Analysis of the Focal Issues on the Digital Textbook Policy and Explor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Policy)

  • 장덕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15-23
    • /
    • 2017
  • 이 연구는 Cooper, Fusarelli, & Randall(2004)의 4차원적 모형을 활용하여 2018년 본격 시행을 앞둔 디지털교과서 정책을 둘러싼 핵심 쟁점을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주로 그동안 축적된 정책문서와 학술논문, 신문기사 등을 활용하여 규범적, 구조적, 구성적, 기술적 차원별로 주요 이슈를 도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서는 규범적 차원에서 실증주의적 인식론에 입각한 교과서관 극복이, 구조적 차원에서는 교육과정기반형 교과서체계로의 전환과 교육부 내 정책추진 조직의 안정화가, 구성적 차원에서는 핵심정책 실행자들 간의 협력과 충분한 역량 발휘를 위한 관심과 지원이, 마지막으로 기술적 차원에서는 디지털교과서을 활용한 수업모형의 개발 및 확산과 교사들의 ICT 역량의 강화가 요청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목표의 명확화, 중장기적 관점에서 학교급별 과목별 우선순위의 설정, 핵심참여자인 교사와 학생의 의견수렴을 위한 장의 마련 등을 향후 연구 및 실천과제로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교사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실질적인 학습성과가 지속적으로 도출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체계의 혁신과 현장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향상을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디지털 격차와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자 복지 정책적 함의 (Digital Divide and Digital Literacy on the Perspective of Audience Welfare)

  • 안정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6권
    • /
    • pp.78-108
    • /
    • 2006
  • 이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주요 이슈인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를 수용자 복지정책의 관점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문제와 함께 고찰하였다. 매체 폭발, 수용자 선택권 무한 확대로 특징지어지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과연 수용자 복지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가라는 문제제기를 기반으로, 수용자 복지의 대척점이라 할 수 있는 디지털 격차에 대한 논의들을 검토하고, 이것이 수용자의 미디어 활용 능력, 즉 디지털 리터러시와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향후 디지털 격차 연구의 방향성 및 수용자 복지의 정책적 방향성을 점검해 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국의 디지털 격차 해소정책은 물리적 접근 확대와 기초 기술 교육에 머물러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디지털 격차는 사회구조적 제반 요인과 개인의 심리적 속성, 디지털 미디어 평가태도 및 활용능력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련된 중층개념으로 분석되어야 한다. 특히 활용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은 디지털 격차의 학술적 연구 및 정책에서 제대로 주목받지 못했다. 이 연구에서는 2단계 과정의 디지털 격차 해소 방안을 제시한다. 1단계에서는 기기보급과 기초기술 교육을, 2단계에서는 정보 추구와 삶의 질 향상을 연계시킬 수 있는 능력 교육으로서의 리터러시 교육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 PDF

현행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맥락에 관한 탐색 연구 : Cooper 등의 4차원 정책분석 모형 적용 (A Study on the Exploration of the School Arts & Culture Education Policy : Application of Cooper's Four Dimension Model)

  • 최현락;장덕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57-67
    • /
    • 2018
  • 본 연구는 Cooper, Fusarelli와 Randall(2004)의 4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둘러싼 핵심 쟁점을 규범적, 구조적, 구성적, 기술적 차원별로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으로서 그동안 축적된 정책문서와 학술논문 등을 근거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 규범적 차원에서는 국가성장 이데올로기 및 과도한 관료적 합리성 추구의 극복이, 구조적 차원에서는 교사수권형 교육과정으로의 개혁을 통한 실질적 형식과 내용의 확보가, 구성적 차원에서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를 통한 구성원 간의 명확한 역할 구분이, 그리고 기술적 차원에서는 확고한 교육학적 기준에 근거한 자원의 합리적 배분이 요청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의 기초학술연구 진흥, 교육당사자의 의견수용, 교원의 문화경험기회 확대, 통합적 문화예술교육 연수체제 구축, 교원양성체제 정비, 예술강사의 교육전문성 강화 등을 향후 연구 및 실천과제로 제시하였다.

문화콘텐츠산업정책에 관한 연구 -정책공동체(policy community) 연계방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and Content Industrial Policies: Networking the policy communities)

  • 류지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3권1호
    • /
    • pp.89-113
    • /
    • 2005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governmental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capacity of the culture technology industries. By reviewing the past relationships between the government and industry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we have arrived at some of the lessons about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The newly revised government and high-technology-based industry relations should be reformed in order to make the industries efficiently operated and competitive especially internationally. We have suggested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relationship by considering the policy community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ies. The policy community is consisted of four dimensions. each of which, we considered were specifically, (1) research institutes for collecting data, market analysis, and gathering informations for the industries, (2) financial institutions, (3) professional groups for advising and sharing the technologies to the industries, and (4) education institutes for providing skilled personnels. Because these policy community does not effectively interrelate each other, we suggested that government should play pivotal roles in connecting these four dimensions of the policy community. The policy networking is necessary for the industries to be more effectively work together. The roles of government then provide some of the ways in which the policy community working interactively. By way of conclusion, we suggest some of the ways in which the government make the industries much more productive and competitive in the world markets.

  • PDF

Console Wrapper를 활용한 C언어 학습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C-Language Learning Tool using Console Wrapper)

  • 황규덕;최숙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3호
    • /
    • pp.113-122
    • /
    • 2009
  • The majority of programming education in the learning place attaches importance more to grammar, memorization of the imperative sentence and explanation of the program language itself than the specific way to use the target language. In addition, it is mainly used to teach theoretical knowledge based on the text. Consequently, current programming education has not interested learners in the programming learning and has not improved their ability in programming problems of the real world. We therefore developed a learning tool of C-language, which is based on the Console Wrapper. The purpose of proposing the learning tool was to make the programming education break from the typical theoretical learning and to let learners be interested in the programming education. By using the dynamic screen instead of the static console screen, the learners could enjoy learning the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know that the programming education using our learning tool is more effective than the typical C language programming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