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Carousel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1초

미디어 객체 공유를 위한 디지털 캐로절 시스템에서의 오류 제어 (An Error Control running on Digital Carousel System for Media Object Sharing)

  • 고응남;강희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79-83
    • /
    • 2005
  • 디지털 캐로절은 사용자들에게 미디어 동기화 메카니즘을 통하여 미디어 객체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본 시스템은 공동 작업에 참여한 사용자들이 다른 참여자들에게 같은 뷰로써 공유된 미디어 또는 오류 객체들을 참조할 수 있도록 구축하였다. 본 논문은 EC_DCS의 설계와 구축을 설명한다. EC_DCS는 멀티미디어 협동 작업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오류를 감지, 공유, 복구하기에 적합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에 의해서 오류를 공유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의 관점에서 오류 공유는 협동 작업에 참가하는 참가자에게 상호작용적으로 오류를 공유한다.

  • PDF

홈 네트워크에서 디지털 캐로절 시스템을 위한 오류 복구 시스템 (Error Recovery System for Digital Carousel System running on Home Network)

  • 고응남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785-790
    • /
    • 2008
  • 디지털 캐로절은 사용자들에게 미디어 동기화 메카니즘을 통하여 미디어 객체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본 시스템은 공동 작업에 참여한 사용자들이 다른 참여자들에게 같은 뷰로써 공유된 미디어 또는 오류 객체들을 참조할 수 있도록 구축한다. 본 논문에서는 결함 허용을 통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ER은 분산 멀티미디어에서 하나의 소프트웨어 오류를 자동적으로 복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은 규칙-기반 DEVS(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하면서 분산 멀티미디어 상에서의 오류 복구 시스템의 성능 분석을 설명한다. DEVS에서 하나의 시스템은 시간, 입력, 상태, 출력 및 함수들을 가지고 있다.

  • PDF

N-스크린 환경을 위한 CoAP 기반 디지털 캐로절 시스템 (A Digital Carousel System based on CoAP for N-Screen Environment)

  • 고응남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59-6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N 스크린 서버와 클라이언트 시스템 환경을 통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모델에 대해서 기술한다. 디지털 캐로절은 사용자들에게 미디어 동기화 메카니즘을 통하여 미디어 객체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본 시스템은 공동 작업에 참여한 사용자들이 다른 참여자들에게 같은 뷰로써 공유된 미디어 객체들을 참조할 수 있도록 N 스크린 환경을 위한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기반 디지털 캐로절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에 의해서 응용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N 스크린의 기술과 CoAP 기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에서 실행되는 기능에 대한 시스템의 기능 비교도 하였다.

홈 네트워크의 디지털 캐로절 시스템에서 오류분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Error Classification running on Digital Carousel System of Home Network)

  • 고응남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87-592
    • /
    • 2007
  • 본 논문은 EC_NH의 설계와 구축을 설명한다. EC_NH는 멀티미디어 협동 작업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오류를 감지, 공유, 복구하기에 적합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에 의해서 오류를 공유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의 관점에서 오류 공유는 협동 작업에 참가하는 참가자에게 상호작용적으로 오류를 공유한다. 디지털 캐로절은 사용자들에게 미디어 동기화 메카니즘을 통하여 미디어 객체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본 시스템은 공동 작업에 참여한 사용자들이 다른 참여자들에게 같은 뷰로써 공유된 미디어 또는 오류 객체들을 참조할 수 있도록 구축하였다.

  • PDF

캐러셀 디자인의 UX 연구 (A Study on Carousel Design UX)

  • 이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571-576
    • /
    • 2020
  • 사용자가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특정 사이트를 방문 했을 때 스크롤 없이 볼 수 있는 메인 영역에 위치 하고 있는 히어로 이미지는 다중의 슬라이드를 포함하면서 다양한 캐러셀 탐색 패턴을 가지게 되었다. 캐러셀 디자인은 숨겨진 슬라이드로 인해 사용자의 선택을 받지 못한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있는 반면, 사용자가 방문한 사이트의 사용 목적 및 사용자의 컨텍스트에 따라 그 유용성이 달라 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캐러셀 디자인의 탐색 패턴은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좌우 화살표 탐색 패턴, 하단 페이지네이션 탐색 패턴, 아코디언 형태 탐색 패턴, 썸네일 형태 탐색 패턴, 분할된 슬라이드 형태 탐색 패턴, 그리고 마지막으로 좌우 슬라이드 탐색 패턴의 여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양방향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위한 캐러셀 관리자 설계 (Design of a Carousel Manager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s)

  • 강민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78-84
    • /
    • 2005
  • 기존의 아날로그 TV 방송 환경과 달리 디지털 방송에서는 상향채널(return channel)을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서비스를 통하여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서는 기존의 오디오/비디오 방송 프로그램 이외에 방송과 관련된 데이터 또는 방송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순수한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 방송 프로토콜인 데이터/객체 캐러셀(Carousel) 규격을 이용한 데이터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관리자의 구조를 제안하고, 설계함으로서 DTV용 컨텐츠 제작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DTV용 컨텐츠 응용기술은 PID(패킷 ID)를 이용한 MPEG2-TS 데이터 방송에서 데이터 관리자를 이용해서 구현할 수 있다.

  • PDF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에서 클라이언트 요구 기반의 데이터 캐러셀 스케줄링 (Data carousel scheduling based on user-request statistics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MB))

  • 최수정;박익현;강상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2B호
    • /
    • pp.129-136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DMB에서의 주문형 데이터 방송을 위한 새로운 데이터 캐러셀 스케줄링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클라이언트로부터 리궤스트를 받으면 서버는 그 리궤스트에 대한 통계치를 이용하여 아이템을 두 집합으로 나눈다. hot 아이템을 한 캐러셀 내에서 여러 번 반복하여 방송하도록 하여 그 아이템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대기시간을 줄이도록 하였으며, hot 아이템의 방송회수에 상한선을 두어 cold 아이템의 방송 기회를 늘이도록 하여 클라이언트의 리퀘스트에 대한 응답 성공률을 높이도록 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캐러셀 기반의 다른 알고리듬과 비교하였을 때 원하는 결과를 얻어낼 수 있었다.

데이터 캐루셀을 위한 효율적인 파싱 및 캐슁 기법 (Efficient Parsing and Caching Mechanism for Data Carousels)

  • 전제민;원재훈;김세창;고상원;김정선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635-638
    • /
    • 2008
  • 기존의 아날로그 TV 방송 환경과 달리 디지털 방송에서는 데이터 방송서비스를 통하여 다양한 부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서는 기존의 오디오 비디오 방송 프로그램 이외에도 방송과 관련된 데이터 또는 방송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순수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캐루셀의 효율적인 파싱 기법과 캐슁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효율적인 파싱을 위해 메시지 풀을 구성하여 PMT에서 분류되어진 DSM-CC 메시지 패킷의 elementary_pid syntax를 저장한 후 저장된 패킷만 골라서 섹션으로 구성하여 데이터 캐루셀의 중복을 없애는 방법을 사용한다.

  • PDF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방송 데이터 처리를 위한 메시지 캐슁 기반의 데이터 캐루셀 매니저 (Data Carousel Manager based Message Caching for Broadcasting Data Process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 원재훈;김세창;고상원;전제민;김정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 (D)
    • /
    • pp.431-434
    • /
    • 2007
  • 국내외 방송환경이 디지털로 급속히 변화함에 따라서 지상파, 케이블, 위성 등의 기존 방송망을 이용하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자가 요청 할 때 전송하는 데이터 방송은 기존의 비디오, 오디오 방송 프로그램 이외에 방송과 관련된 데이터 또는 방송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순수한 데이터를 제공하게 되었다. 데이터 방송 표준 단체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에서는 데이터 방송 시 데이터 전송 기법으로 데이터 스트리밍(Data Streaming), 데이터 파이핑(Data Piping), 데이터 캐루셀(Data Carousel), 멀티프로토콜 인캡슐레이션(Multiprotocol Encapsulation), 객체 캐루셀(Object Carousel)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방송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메시지 캐슁과 모듈 캐슁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캐루셀 매니저 설계와 구현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