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supplements

검색결과 484건 처리시간 0.02초

경남 남해지역 장수노인의 식습관 및 건강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od Habit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Gyeongnam Namhae Area)

  • 최희정;김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47-1152
    • /
    • 2003
  • 본 연구는 경남 남해군 서면과 설천면에 거주하는 85세 이상의 고령 노인 중에서 거동에 불편함이 없고 특별한 질환이 없는 대체로 건강한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식습관 및 건강관련 요인들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수준은 무학이 95.0%로서 남자는 83.3%, 여자는 98.7%를 나타내었고 가족형태는 아들과 함께 사는 경우가 63.0%로 가장 많았으며 딸과 함께 사는 경우가 1.3%로 가장 적었다. 월 평균 용돈은 5만원 이하가 51.7%로 가장 많았고 81.0%의 노인들이 자녀에게 용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님의 사망연령은 아버지가 평균 67.3$\pm$15.9세, 어머니가 평균 58.1$\pm$16.6세로 거의 유사하였으나 남자 노인인 경우는 아버지가 여자노인인 경우는 어머니가 더 오래 생존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에 세 끼니를 섭취하는 노인이 평균 84.0%로 가장 많았는데 여자(89.5%)가 남자(66.7%)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으며(p<0.05)남녀 각각 91.7%, 93.4%의 노인이 규칙적인 식습관을 갖고 있었다. 조사 노인의 약 77.1%가 금기식품이 없다고 하였고 약 90.5%가 건강식품이나 보충제를 섭취하지 않고 있었다. 음주는 남자 58.3%, 여자 35.5%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주시작 연령은 남자는 30세 이전이 71.4%로 가장 많았으며 여자는 31∼40세가 33.3%로 가장 많았고 일일 평균 알코올 섭취량은 남자는 11∼30g, 여자는 10g이하가 대부분이었다. 남자 33.3%, 여자 28.9%가 흡연을 하였으며 흡연시작 연령은 남자는 20세 이전, 여자는 31∼40세가 가장 많았고 흡연량에 있어서는 하루 5개비 이하가 남녀 각각 37.5%, 50.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조사 노인들의 평균 수면시간은 6∼8시 간, 활동시간은 4∼5시간이 가장 많았고 남자 91.7% 여자 85.5%가 ‘건강하다’, 남자 58.3% 여자 67.1%가 ‘행복하다’라고 스스로 인식하고 있었다.

Monitoring of the Source of Gelatin in Dietary Supplement Capsules Sold on the Internet

  • Kang, Tae Sun;Kim, Mi-Ra;Hong, Yewon;Lee, Jae-Hwang;Kwon, Kisun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54-261
    • /
    • 2017
  •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젤라틴 캡슐 제품은 소비자의 건강(예: 광우병) 및 종교적 신념에 대한 우려를 야기시킬 수 있다. 젤라틴은 대부분 소, 돼지 등에서 유래한 원료물질을 가공한 것으로서, 가공 후 그 원료 물질을 분석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정부 규제기관의 표시사항 준수여부 모니터링 연구가 주기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에 유통되는 건강기능식품(n = 181)을 대상으로 젤라틴 캡슐의 원료 물질을 종 특이 PCR 방법으로 분석했다. 55개 제품의 경우 표시사항에 젤라틴 캡슐원료 물질에 대한 정보를 명시하였으나(예: bovine-, fish-and plant-derived gelatin), 126개 제품의 경우 사용 원료에 대한 정보 없이 "gelatin"으로 표시하였다. 이 126개 제품의 젤라틴 캡슐 분석 결과 51개 제품은 소 유래의 젤라틴을, 31개 제품은 돼지 유래의 젤라틴을, 그리고 44개 제품은 소와 돼지의 원료를 혼합하여 제작한 블렌딩 젤라틴을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소비자의 알 권리, 종교적 신념 및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젤라틴 캡슐에 사용된 원료 물질을 표시사항에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50세 이상 고소득층 성인 및 노인의 고혈압 관련 건강 및 영양 요인에 관한 연구 -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 (Health and Nutritional Factors Related to Hypertension of Subjects Aged Over 50 in High Income Class - Based on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 안소현;손숙미;박진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5권3호
    • /
    • pp.311-327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health and nutritiona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Koreans over the age of 50 in a high-income class (more than twice as much family income as the 2005 Korean minimum cost of living, 668,540 Won). A total of 505 subjects aged over 50 from the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hypertension group (HG) (N=151, Systolic Blood Pressure ${\geq}$140 mmHg or Diastolic Blood Pressure ${\geq}$90 mmHg) and normal group (NG) (N=354). Subjects who took hypertension medicines or underwent diet therapy were excluded. In HG, mean daily alcohol intake and the amount of alcohol consumption per one occa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NG, respectively. A greater number of hypertension subjects answered that they drank alcohol to reduce stress as compared to normal subjects. HG also took fewer dietary supplements than NG. Mean body mass index (BMI), waist circumference, fasting blood sugar level, and 2 hour postprandial blood sugar following a glucose loa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G than in NG, respectively. Also, iron, thiamin, and niacin intakes and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seaweed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HG than in NG, respectively. Finally, obesity (BMI ${\geq}$25 $kg/m^2$), abdominal obesity (waist circumference ${\geq}$90 cm for males, ${\geq}$ 80 cm for females), high blood sugar level 2 hours after an oral glucose load (${\geq}$140~200 mg/dl), and hypertriglyceridemia (serum TG ${\geq}$200 mg/dl) were related to a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hypertension in the subjects (odds ratio: 1.884~3.040). In conclusion, dietary factors such as higher alcohol consumption; lower intakes of iron, thiamin, and niacin; lower consumption frequency of seaweeds; and metabolic syndrome were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the study subjects.

  • PDF

녹차, 메밀 및 포도잎 추출물 첨가식이가 동맥경화유발식이를 급여한 F1B Golden Syrian 햄스터의 지질대사와 대동맥의 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s Included Green Tea, Buckwheat and Grape Leaf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on Regression of Fatty Streak Lesions in F1B Golden Syrian Hamsters Fed the Atherogenic Diet)

  • 김영언;권은경;오세욱;한대석;김인호;이창호;이호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62-969
    • /
    • 2005
  • 7주령의 F1B golden Syrian 햄스터에게 동맥경화 유발식이에 녹차추출물, 메밀추출물 및 포도잎 추출물을 함유한 타블렛 제품을 각각 5%와 10%로 첨가하여 7주간 사육하였을 때 햄스터 체내의 지질성분과 대동맥 내에서의 지방의 축적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녹차, 메밀, 포도잎 추출물을 함유한 타블렛 제품은 동맥경화유발식이를 섭취하는 햄스터의 혈중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치를 감소시켰고, 대동맥궁내에서의 지방의 축적을 예방하였고, 간장내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를 첨가한 군보다 10%를 첨가한 군에서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어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녹차, 메밀 및 포도잎 추출물 분말을 이용하여 식이 보조제의 형태로 개발한 타블렛 제품이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식품으로써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천연 생약 복합 추출물이 Streutozotocin 유발 당뇨성 흰쥐의 혈당 및 인슐린, 혈청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Natural Medicinal Multi-plant Extract on Blood Glucose, Insulin Levels, and Serum Malondialdehyde Concentration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형래;조정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5-212
    • /
    • 200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 natural medicinal multi-plants extract (BG515), which consisted of multi extracts of Mori folium,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Dioscorea japonica, Lycii fructus, and Astragalus radix, on blood glucose, insulin levels, and serum malondialdehyde (MDA) concentration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Streptozotocin (STZ) induces a type 1 diabetes mellitus in rats. Type 1 is usually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islet cell autoantibodies (ICA), autoantibodies to insulin (IAA), and autoantiboides to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 which identify the autoimmune process that leads to $\beta-cell$ destruction. Thirty-five male Sprague-Dawley (SD) rats weighing $150\sim170g$ each (6 weeks old) were randomly divided into one control (Group A) and 4 STZ-induced diabetic groups, and were subjected to one of the following treatment for 12 weeks. Groups A and B were fed basal diets and Group C, D, and E received the same diets as groups A and B, but with supplements of 150 mg/kg, 300 mg/kg, and 600 mg/kg of BG515 orally for 12 weeks, respectively. Diabetes was induced in Groups B, C, D, and E by intravenous injection of 45 mg/kg of STZ per body weight in sodium citrate buffer (pH 4.5) via the tail vein. In the BG515 groups, we found increases in serum insulin levels, compared to the STZ-control group, but these data were not significant. In contrast, blood glucose and serum MDA concentrations decreased in the BG515 groups compare to the STZ-control group. At the 5th week, in all the BG515 administered groups, there were decreases in serum blood glucose levels compared to the STZ- control group, and this activity was very strong in the BG515-1 group at the 12th week.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tural bio-complex compounds (BG515) may slightly suppress STZ-induced changes in serum MDA concentration via the maintenance of serum insulin levels, due to the prevention of $\beta-cell$ and glucagon destruction by STZ.

  • PDF

사료내 벤조산 첨가가 이유돼지의 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Benzoic Acid on Beneficial Microflora and Immune Response in the Intestine of Weaning Pigs)

  • 오희경;최영환;김영해;김유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07-13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이유자돈 사료에 벤조산 첨가가 위장 내 소화물과 방광 내 뇨의 pH, 장내 유익 미생물 균총수 및 장 조직 내 염증성 싸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돈기 5주 동안 이유자돈 사료 내 벤조산 0.3%과 0.5% 첨가는 자돈 위 내 pH는 감소시키지는 않았으나, 방광 내 뇨의 pH 수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casei 수는 맹장부위에서 벤조산 0.5% 첨가구와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actobacillus plantarum 수는 맹장부위에서 벤조산 0.5%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장부위에서 L.plantarum 수는 대조구를 제외하고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Bacillus subtillis 수는 맹장부위에서 벤조산0.5% 첨가구와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장부위에서는 벤조산0.3%와 0.5%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IL-$1{\beta}$ mRNA 유전자 발현 수준은 소장 상단에서는 벤조산 0.5%와 항생제 처리구에서, 소장중부에서는 벤조산 0.3%와 0.5% 처리구에서, 말단부위에서는 벤조산 0.3%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IL-6 mRNA 유전자 발현 수준은 소장중부에서는 벤조산 0.5%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TNF-${\alpha}$ mRNA 유전자 발현 수준은 소장 중단에서 벤조산 0.5%와 항생제 처리구에서 대조구 보다 낮게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하여, 자돈 사료 내 benzoic acid 0.5% 첨가는 뇨의 pH 감소와 장내 유익 미생물 균총 수 조절 및 소장 내 면역체계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자돈 건강을 향상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스트렙토조토신으로 유도한 당뇨마우스에서 Sodium Butyrate의 혈당, 혈청 지질 성상 및 염증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dium Butyrate on Blood Glucose, Serum Lipid Profile and Inflamma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 윤정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1-177
    • /
    • 2015
  • 본 동물실험은 STZ로 유도한 C57BL/6에게 5% sodium butyrate를 급여했을 때 항당뇨 및 항염증 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STZ로 당뇨를 유발한 마우스에게 5% sodium butyrate를 급여했을 때 체중과 식이섭취량에서는 크게 유의적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p<0.05). STZ에 의한 당뇨 쥐는 인슐린의 분비가 감소되면서 당대사의 불균형을 초래하며 간 등이 비대해진다고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간의 장기 무게에서는 크게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또한 비장과 흉선의 무게는 0.5% sodium butyrate 첨가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p<0.05). 당뇨병은 염증 상태로서 고혈당으로 인하여 monocyte에서는 여러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분비가 활성화된다. TNF-${\alpha}$, IL-6 등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서 혈관염증의 중요한 마커로 인식되고 있고, 당뇨병 환자들은 이러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높은 수준으로 활성화 된다. STZ 처리 시 마우스 혈청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및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5% sodium butyrate를 급여했을 때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및 발현이 저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sodium butyrate 보충은 당뇨병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혈청지질 농도 및 혈당 조절, 염증 상태를 개선에 다소간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당뇨병과 같은 만성적인 대사질환 개선에 sodium butyrate가 효과적인 식이인자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앞으로 더 명확한 효능을 탐색하기 위해서 시료 첨가수준의 다각화 및 여러 가지 보완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COVID-19 팬데믹 전후 한국 성인 남녀의 건강 및 식생활행태 비교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2019-2021년도) 자료 활용 (Comparative study on the health and dietary habits of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before and after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utilizing data from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2021))

  • 김채민;김은정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5-80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changes in physical factors, health behaviors,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intake among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over a period of three years (2019-2021)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Methods: This study utilized raw data from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2021).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6,235 individuals in 2019, 5,865 individuals in 2020, and 5,635 individuals in 2021. Individuals whose daily energy intake was less than 500 kcal or exceeded 5,000 kcal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Results: In comparison to 2019, overweight/obesity rates, weight, waist circumference, weekend sleep hours, and resistance exercise days/week increased in both male and femal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Regarding eating habits, the proportions of people skipping breakfast, not eating out, consuming health supplements, and recognizing nutritional labels increased in 2020 and 2021, whereas the rate of skipping dinner decreased. Total energy intake has continued to decrease for the two years since 2019. A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per 1,000 kcal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revealed that intake of nutrients, including protein, phosphorus, iron, vitamin A, riboflavin, and niacin increased, while folic acid intake decreased. In male, calcium, phosphorus, riboflavin, and niacin intakes increased, whereas iron, vitamin C, and folic acid intakes decreased. In female, phosphorus, iron, vitamin A, and riboflavin intake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protein and niacin intake de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s: After COVID-19, the obesity rate, breakfast skipping rate, health supplement intake, and nutritional label use increased, while the frequency of eating out, dinner skipping rate, and total energy intake decreased. These environmental changes and social factors highlight the need for nutritional education and management to ensure proper nutritional intake and reduce obesity rates in the post-COVID-19 era.

HPLC 및 ESI-tandom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인터넷에서 판매되는 기능성표방식품 중 부정유해물질 모니터링 (Monitoring of Forbidden Medicines as Adulterants in Dietary Supplements Marketed Online by HPLC and ESI-tandom Mass Spectrometry)

  • 이용철;김복순;윤은선;김성단;장민수;박영애;신영;정선옥;이재인;채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48-154
    • /
    • 2012
  • 인터넷에서 판매되는 건강기능성표방식품 51개를 구매하여 발기부전치료제 5종과 그 유사물질 29종, 이카린, 요힘빈, 시부트라민 그리고 시부트라민 유사물질인 데스메틸시부트라민, 디데스메틸시부트라민 총 39종의 부정유해물질을 3개의 혼합표준용액으로 만든 후 HPLC를 이용하여 총 50분 동안 이동상 용액 A(5 mM sodium hexanesulfonate와 0.1% phosphoric acid을 함유한 물), B(95% acetonitrile) 두 가지를 기울기 용매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검출된 화합물의 확인을 위하여 LC-ESI-tandom MS의 MRM 조건을 최적화하고 정성분석 한 결과 1개의 홍삼제품과 영양보충용제품 2건에서 실데나필과 슈도바데나필, 디메틸티오실데나필성분이 1회 복용량당 1.3-82.1 mg 검출되었으며, 2개의 기타가공품에서 부작용이 우려되어 사용이 금지된 시부트라민의 유사물질인 디데스메틸시부트라민이 각각 1회 복용량 당 2.2, 1.7 mg이 검출되었다. 시중에 판매되는 비아그라의 실데나필 1회 최소복용량은 25 mg으로 시료에서의 검출량은 이보다 높은 수준으로 함유되었으며, 의사의 처방 없이 식품 중에 불법적으로 함유된 이들 물질 혹은 이들의 유사물질은 소비자들의 건강상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시중에 유통되는, 더욱이 온라인 상에서 음성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건강관련식품에 대한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다이어트 보조식품에 대한 부정물질 및 중금속 실태 조사 (A study on Illegal Compounds and Heavy Metals in Dietary Supplements)

  • 이유나;김명길;김재관;서미영;임경숙;구은정;채선영;장혜림;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81-586
    • /
    • 2020
  • 본 연구는 현재 유통 중인 다이어트 제품 62건에 대한 부정유해물질의 실태조사를 위하여 비만치료제 및 그 유사물질 6종(오르리스타트, 시부트라민, 데스메틸시부트라민, 디데스메틸시부트라민, 클로로시부트라민, 클로로시펜트라민)과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 함량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다이어트 제품 62건에 대하여 비만치료제 및 그 유사물질 6종은 검출되지 않았다. 중금속은 납, 카드뮴, 비소 각각 다류의 경우 ND-0.177 mg/kg, 0.002-0.233 mg/kg, 0.001-0.188 mg/kg, 캔디류의 경우 ND-0.370 mg/kg, 0.003-0.057 mg/kg, 0.007-0.120 mg/kg, 체중조절용조제식품의 경우 ND-0.055 mg/kg, 0.012-0.045 mg/kg, 0.010-0.163 mg/kg의 함량을 나타냈다. 기준 규격이 설정되어있지 않은 기타가공식품의 경우 납, 카드뮴, 비소 각각 ND-2.324 mg/kg, 0.004-0.936 mg/kg, 0.003-21.247 mg/kg의 함량을 보였으며, 비소의 경우 2건이 PTWI 기준치 이상의 수치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식품군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향후 기준 규격이 없는 기타가공식품 유형에 대한 적절한 기준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