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 education

검색결과 1,392건 처리시간 0.025초

체중관리 영양교육에 참여한 여대생의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점수와 체중감소와의 상관성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Score is Correlated with Weight Loss in Female College Students on a Weight Management Program)

  • 윤희경;김혜숙;장남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5호
    • /
    • pp.453-463
    • /
    • 2009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weight control progra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The program was composed of diet and behavioral modifications for 8 weeks. A total of 78 participants enrolled the weight control program. Upon completion of the program, 53 participants experienced weight loss and 25 did not. The intakes of carbohydrate and fa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groups. However, the total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scores as well as individual scores such as variety scores for protein source and adequacy scores for vegetable, fiber, calcium and vitamin C and moderation scores for empty calorie food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weight loss group only. In the weight loss group, weight, BMI, body fat, percent body fat and waist-hip ratio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addition, compared to the weight gain group, the weight loss group had higher changes in weight (weight loss group: -2.6% vs weight gain group: 1.5%, p < 0.001), body fat (-6.0% vs 0.0%, p < 0.001), percent body fat (-3.1% vs -0.3%, p < 0.001), waist-hip ratio (-1.0% vs 0.5%, p < 0.001) and BMI (-2.6% vs 1.3%, p < 0.01). There was no difference in blood profil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changes in DQI-I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hanges in body weight (r = -0.239, p < 0.05) and BMI (r = -0.224, p < 0.05), indicating that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could help improve diet quality leading to successful weight management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저항성 운동과 고단백식 혼합처치가 sarcopenic obese 쥐의 골격근 내 단백질 합성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and High Protein Diet on Anabolic Factors of Skeletal Muscle in Sarcopenic Obese Rats)

  • 정수련;김기진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2호
    • /
    • pp.431-43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sarcopenic obese 흰쥐를 대상으로 사다리 등반 운동 또는 고단백식이 처치가 골격근의 단백질 합성과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50주령 SD계 수컷 흰쥐를 이용하여 6주간 고지방식이로 sarcopenic obese 쥐를 유도한 다음 4집단(Chow, HP, Ex, HPEx)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결과 8주간의 사다리 등반 운동은 sarcopenic obese 흰쥐의 인슐린 저항성과 체지방량을 감소시키고, mTOR 활성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하지 근육양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고지방식과 운동을 병행 처치한 경우 체지방과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운동의 효과가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화에 따른 sarcopenic obesity 개선을 위한 고단백식이는 그 양과 조성에 있어서 보다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소아청소년 체중상태에 따른 식사의 질 평가 및 비만과의 연관성 분석 (Assessment of Diet Quality by Weight Status and Its Association with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양시원;이향숙;김지은;김윤명;서영균;박경희;장한별;이혜자;박상익;임현정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3권3호
    • /
    • pp.263-273
    • /
    • 2017
  • Numer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quantifying dietary intake according to the weight statu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owever, studies on differences in quality among diets remain scarce. This study compared diet quality by weight status and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quality of diet and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wo hundred fourteen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between 9 and 18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Normal weight n=104, Obesity n=110). The data related to food intake were investigated by dietary records,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and Nutrition Quotient (NQ) and then compared with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 (KDRIs). In DQI-I, moderation factor (control of unhealthy foods) score was 21.7 in the normal weight group and 19.5 in the obesity group. The normal weight group showed a higher score for moderation factor than the obesity group (P<0.001). Compared with KDRIs, vitamin $B_6$, folate, vitamin C, vitamin E, calcium, potassium, and zinc intakes were insufficient in both group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QI-I moder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obesity (OR=0.77, 95% CI 0.69-0.87) after adjustment for age, gender, income, and total energy intake. Our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require nutritional education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vitamin and mineral consumption. Especially, educ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besity needs to emphasize moderation of nutrient intake that can cause diseases with hyper-ingestion such as sodium and high calorie-low nutrition foods.

Broiler responses to dietary 3,4,5-trihydroxybenzoic acid and oregano extracts under Eimeria challenge conditions

  • Yu, Myunghwan;Jeon, Jong Oh;Cho, Hyun Min;Hong, Jun Seon;Kim, Yu Bin;Nawarathne, Shan Randima;Wickramasuriya, Samiru Sudharaka;Yi, Young-Joo;Lee, Hans;Wan, Vannie;Ng, Noele Kai Jing;Tan, Chuan Hao;Heo, Jung Mi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6호
    • /
    • pp.1362-1375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 combination 3,4,5-trihydroxybenzoic acid (THB) and oregano extracts (i.e., Carvacrol and Thymol) at intake/dietary different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health indicators, immune responses and fecal oocyst shedding in broiler chickens under Eimeria challenged condition. A total of 336 one-day-old broil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six dietary treatments with seven replications per treatment. Dietary treatments were: i) Non-challenged bird without any dietary treatment (NCNT), ii) Challenged bird without any dietary treatment (CNT), iii) Challenged birds fed a THB diet (0.1 g/kg, THB), iv) Challenged birds fed a combination of THB and oregano extracts diet (0.1 g/kg, COM 100), and a gradual increase of combination of THB and oregano extracts likely v) 0.15 g/kg (COM 150), and 0.2 g/kg (COM 200). On day 14, all groups except for NCNT have orally challenged with a 10-fold dose of Livacox® T anticoccidial vaccine to trigger coccidio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imeria-challenged broilers fed COM 100 and COM 200 diets increased (p < 0.05) body weight than CNT diet on day 35. Furthermore, birds fed COM 100 and COM 200 diets increased (p < 0.05) average daily gain compared to those fed CNT diets for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There is no significant (p > 0.05) in average daily feed intake, feed efficiency between NCNT and birds fed with combined THB and oregano extracts for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A combination of THB and oregano extract regardless of concentration levels or THB alone reduced (p < 0.05) lesion score in ileum compared to the CNT diet for 7 days post-infection (dpi). Birds fed COM 100 diet had lower (p < 0.05) intestinal lesion scores in jejunum and caeca on 7 dpi compared to those were in the CNT diet. No (p > 0.05)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oocysts per gram of feces count, intestinal morphology, carcass traits and blood cytokine concentration among the infected treatments. Collectively, we conclude that birds fed with a combination of THB and oregano extracts regardless of the ratios that were used demonstrated better recovery of health after the coccidial challenge than using only THB alone.

직장인 대상 저염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 Salt Reduction Program for Employees)

  • 김현희;신은경;이혜진;이난희;천병렬;안문영;이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4호
    • /
    • pp.350-357
    • /
    • 2009
  • 본 연구는 대구시 8개 병원과 사업체에 근무하는 직장인 251명을 대상으로 교육집단 166명, 비교육집단 85명으로 나누어 5주간 저염화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염화 교육프로그램 실시 결과 교육전 두 집단간의 짠맛에 대한 미각판정치에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 후 교육집단의 경우 미각판정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01). 또 한 교육 후 영양지식, 짜게 먹는 식태도 및 식행동이 비교육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집단에서는 모두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 < 0.001). 2) 교육집단에서 24시간 소변 수집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은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3) 외식 빈도가 잦을수록, 외식비가 높을수록 짜게 먹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각판정치와 짜게 먹는 식행동 및 식태도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짜게 먹는 식태도와 나트륨 섭취량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식태도가 나쁠수록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여 중학생의 체형인식에 따른 외모관리 항동 비교연구 -광주시내 남.여 공학 중학생을중심으로- (A Comparison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middle school boys with girls in relation to the Perception of Body Size -Among girls and boys' middle school in Gwangju-)

  • 위은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9-13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남, 여 중학생의 체형인식에 딱른 외모관리 행동의 실태를 파악하고 비교 분석하여 청소년의 긍정적인 신체이미지 형성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광주소재 남 여 공학 중학교 7곳의 2. 3학년에 재학중인 435명의 남, 여중학생이었다. 결과분석은 SPSS Package 12.0(Kr)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먼저, 남, 여중학생들은 실제체형보다 비만하게 인식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체형보다 수척하게 인식하는 경향도 컸다. 자신의 체형을 제대로 인식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신체인식 요인과 외모관리행동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남, 여 중학생 모두 비만인식에 대해 운동보다는 다이어트로 외모관리를 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것에 대한 적절한 지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자신의 실제체형보다 수척하게 인식하는 수척왜곡 인식집단과 정상집단의 외모관리행동을 살펴보면 남중학생은 운동관리만 하고 여중학생은 운동관리만 하지 알았다. 서로 차별화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넷째 비만왜곡인식집단은 남 여중학생 모두 다이어트관리를 하는 반면 신체보정관리나 운동관리를 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실제적으로 운동관리가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해야할 집단이 다이어트에만 의존하는 경향은 시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우리나라 남 여 중학생의 왜곡된 신체인식과 외모관리행동을 바로 잡기 위해서 정규 교과목인 가정과목을 통해 표준체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자신의 실제체형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Schoolchildren)

  • 유중선;강복수;이경수;김석범;최광해;김미경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2호
    • /
    • pp.397-411
    • /
    • 2000
  •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1년간의 보건교육 interevntion을 제공하고 이에 의한 보건지식, 태도 및 건강증진행위의 변화의 정도를 분석하고, 비만 식이에 대한 지식과 태도, 실천 행위점수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의 변화에 따른 건강수준의 변화정도을 분석하고자 시행하였다. 1999년 4월 경주시 도시지역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3, 4학년 학생과 학부모 각 354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시행한 결과 학생과 학부모 각각 301명이 응답하여 회수율은 85%였다. 301쌍 중에서 1년 후 2000년 4월 추적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학한 학생, 조사 당일 조퇴자, 복부지방 측정 누락자와 추적설문조사에서 학생과 어머니의 설문이 불완전한 대상자를 제외한 231쌍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BMI를 기준으로 비만군과 정상체중군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비만 식이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행위점수와 복부비만율을 intervention 전후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지식 점수의 변화는 정상체중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태도점수는 비만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정상체중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실천행위 점수는 양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복부비만율은 비만군에서는 변동이 없었으나 정상체중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Intervention 전후의 비만 식이에 대한 지식점수 변화는 사전조사 점수를 기준으로 3분위 한 후 1년 후 점수의 변화를 보면 l분위의 경우 intervention 전후의 지식점수변화가 2.4점 증가하였고, 2분위는 0.6점 증가하였고, 3분위는 0.6점 감소하여, 사전지식 점수가 낮을수록 건강증진프로그램에 의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 식이에 대한 실천행위점수는 세 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점수의 변화량은 1분위가 7.0점, 2분위가 4.4점, 3분위가 1.8점으로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대졸 이상군에 속하논 학생의 BMI증가가 고졸 이하군에 속하는 학생의 BMI 증가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고, 어머니의 연령이 30대인 학생군에서 비만 식이에 대한 실천행위점수 변화는 높았다. 어머니의 비만 식이에 대한 지식점수와 태도점수를 3분위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태도점수 수준에 따른 학생의 지식점수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만 식이에 대한 지식점수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학생변수로는 비만에 대한 심각성 인지도와 비만 식이에 대한 사전지식점수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고, 어머니 변수 중에 자녀식습관지도 정도와 교육수준이 유의한 변수였다. 비만 식이에 대한 태도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학생변수로는 BMI 비만 식이에 대한 사전지식 정수와 비만 식이에 대한 사전 태도점수가 유의한 변수였으나, 어머니 변수는 태도점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 식이에 대한 실천행위점수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학생변수로는 BMI와 비만 식이에 대한 사전 태도점수, 비만 식이에 대한 태도점수 변화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만 식이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고, 건강 실천행위정도가 낮은 학생에서 intervention에 의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1년간의 보건교육과 운동 등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통한 intervention에 의해서는 BMI나 복부비만율 등의 건강수준의 변화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장기적인 intervention이나 교육-대조군 연구활 통한 건강증진효과를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동의 비만 식이 태도와 행위 변화에 어머니의 연령과 교육수준 등의 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비만 식이에 대한 태도점수도 영향을 미치므로 어머니도 학생의 비만 식이의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의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

  • PDF

영양교육에 의한 노인 영양증진전략연구 : 효과분석 (Strategies of Improve Elderly Nutrition through Nutrition Education : Evaluation of the Effectivenss of the Program)

  • 임경숙;민영희;이태영;김영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07-218
    • /
    • 1999
  • The increased number of elderly in Korea presents great challenges for community nutrition programs. Strategies to enhance elderly nutrition are needed, as well as dietary advice that are reality-based and tailored to the need of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an elderly nutrition improvement program(ENIP), by assessing changes in nutrition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after program completion. ENIP was conducted in Suwon for 4 months in 1998 at 5 centers for the elderly. The program provided individual nutrition counseling and brief biweekly group education sessions. To stimulate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the elderly in two centers were served free milk packs(200ml) three time a week during the program(milk+education group), and the elderly in 3 other centers were served yoghurt on the program day(education group). Altogether, 102 subjects finished the program(milk+education group 67 ; education group 35). Data about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 records(24 hour recall) and dietary habit was collected before(baseline) and after the program(follow-up). The Drop-out rate for the milk+education group(2.9%)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for the education group(30.0%)(p<.001). The Nutrition Knowledge fo females milk+education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other groups. Over 60% of all the elderly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the healthy eating attitudes. Energy, protein, vitamin A, riboflavin, Calcium and Potassium intakes improved in the male milk+education group. The Vitamin C intake improved in the male education group. Energy and vitamin A intakes improved in the female milk+education group and energy, vitamin A, thiamin, riboflavin, niacin, Ca nad P in the female education group.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ood intake changes on overall nutrient quality. For all elderly, the fish intake explained 12.6% of the variance, followed by candy intake and vegetable intake(model $R^2$=19.6%). Dietary habits such as meal time regularity and salty food reduction were markedly improved in both groups. Sixty-one percent of the milk+education subjects stated their participation was voluntary and active, while 51% of education subjects did. Sixty four percent of the subjects stated their interest on diet increased remarkably through program participation. Considering the results, it is conjectured that ENIP had a great impact on nutrient intake, dietary attitudes and habits. Milk supplement showed no direct effects on elderly nutrition improvement, but it encouraged the program by reducing drop-out rates and inducing voluntary participation. Therefore milk supplement could enhance the community nutrition education program. Moreover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ENIP be expanded to other communities.

  • PDF

5주간의 고지방식이 섭취시 흰쥐의 에너지 대사 기질 이용과 식이지방에너지 평가에 관한 연구 (Effect of 5 Week Long High-Fat Diet on Energy Metabolic Substrate Utilization and Energy Content Evaluation of Dietary Fat)

  • 황혜정;김지수;서혜정;임기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094-1099
    • /
    • 2012
  • 본 연구는 실험쥐 20마리를 사용하여 5주간의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후 CON군과 HF군으로 구분하여 식이조성에 따른 체중과 체구성 그리고 24시간 동안의 에너지 대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지방식이로 인한 체중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주간의 식이섭취량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섭취열량은 약 6% 정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산소섭취량(에너지소비량)은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이산화탄소배출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지방식이군은 24시간 동안 유의하게 높은 지방산화량을 보였고 일반식이군은 탄수화물산화량이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활동기에 두 군의 에너지 이용 기질에 많은 변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군간 소비에너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섭취에너지에 비해 HF군의 복강 내 지방이 약 33% 이상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식이구성에 의하여 에너지이용기질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5주간 섭취한 열량과 소비된 에너지 비를 비교하였을 때 고지방식이군에서 복강내 지방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은 체내에서의 지방의 식이효율이 그동안 알려진 Atwater의 값(9 kcal/g)보다 더 높은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이는 탄수화물과 고지방식이섭취에서 체내에너지 저장량을 분석하였을 때 탄수화물의 열량은 4 kcal/g인데 비해 지방은 약 11.1 kcal/g으로 보고한 기존의 연구보고(21)를 지지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인 및 비만환자와 대사증후군 환자의 체중조절과 개선에 있어서 식이구성과 일일영양권장량의 재검토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전문운동선수들의 체급별 체중조절에 필요한 식단의 재구성 등 스포츠현장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여러 호르몬과 단백질 등의 분석이 이뤄지지 않았고, 에너지대사량과 조직의 중량만을 검토한 결과이므로 추후 체내에서의 지방산화와 관련된 호르몬 및 단백질 등의 측정과 전체 피하조직 및 근육 등에 저장된 지방의 분석을 포함한 추가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Impact of Diet in Shaping Gut Microbiota Revealed by a Comparative Study in Infants During the First Six Months of Life

  • Fan, Wenguang;Huo, Guicheng;Li, Xiaomin;Yang, Lijie;Duan, Cuicu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2호
    • /
    • pp.133-143
    • /
    • 2014
  • The development of the gut is controlled and modulated by different interacting mechanisms, such as genetic endowment, intrinsic biological regulatory functions, environment influences and last but no least, the diet influence. In this work, we compared the fecal microbiota of breast-fed (BF), formula-fed (FF), and mixed-fed (MF) infants from Hebei Province, China. By using high-throughput 16S rDNA sequencing analyses, we found some differences in gut microbiota in the three groups. Firmicutes and Proteobacteria were the dominant bacteria at the phylum level in the three groups, where FF infants showed a significant depletion in Bacteroidetes (p < 0.001) and Actinobacteria (p < 0.05). Enterobacteriaceae was the dominant bacteria at the family level in the three groups, but FF infants showed higher 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than BF and MF infants (p < 0.05); the abundance of the Bifidobacteriaceae was only 8.16% in the feces of BF infants, but higher than in MF and FF infants (p < 0.05). The number of genera detected (abundance >0.01%) in BF, MF, and FF infants was only 15, 16, and 13, respectively. This study could provide more accurate and scientific data for the future study of infant intestinal flo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