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nthus superbus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관리조방적 옥상녹화에 적합한 자생초화류와 식재토양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Native Plants and Planting Soil for Extensive Rooftop Greening)

  • 강규이;이은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3-31
    • /
    • 2005
  • Green spaces in cities were insufficient and decreased as artificial structures increase. Accordingly, greening rooftop space contributed to urban ecosystems as green space. Especially, since 2002 Seoul supported rooftop greening and introduced 'Ecology-area rates'. Thus rooftop greening had the potentiality of extension. This prepared the extensive rooftop greenings within planting-base for extensive management rooftop greening system to be easily popularized. The extensive rooftop greening conducted from 1997-2005 reported that soil depth was 8cm and soil mixtures were 5 types. And plant were Crysanthemum zawaskii var. latilobum, Aster hayatae, Crysanthemum zawaskii herb. ssp. coreanum, Sedum sarmentosum, Sedum rotundifolium, Sedum oryzifolium, Sedum takemensis, Sedum middendorffianum, Sedum telerium var. purpureum, Sedum spectabile, Carypteris incana, Dianthus superbus, Hosta minor. As a result, for nine years after the modular type rooftop greening established, survival plants were Sedum takemensis, Sedum sarmentosum, Sedum spectabile, Sedum middendorffianum, Carypteris incana, Crysanthemum zawaskii var. latilobum, Sedum telerium var. purpureum, Sedum rotundifolium, Dianthus superbus. Also effect of greening was possibled soil depth 8cm. And growth of plants from 1997 to 2005 were fine on two soil mixtures of 'perlite+peatmoss+vermicompost+moisturizer' and 'perlite+moisturizer+bark(mulching)'. Invasive plants are Ixeris dentata Nakai, Ixeris chinensis var. strigosa, Youngia sonchifolia, Eragrostis ferruginea, Aster pilosus Willd., Ixeris japonica Nakai, Valpia myuros, and Setaria viridis. In conclusion, selection of suitable native plants was possible extensive management rooftop greening with effect of continuous greening. The extensive rooftop greening were lightweight and simple preparation without management and can popularize readily.

다양한 잡초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의 탐색 (Screening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various weeds)

  • 강병화;유인자;박동진;이현선;김영호;유익동;김창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5호
    • /
    • pp.409-413
    • /
    • 1996
  • 다양한 잡초로부터 유용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하고자 46종 잡초의 methanol 추출액을 대상으로 $50{\sim}100\;{\mu}g/ml$ 농도로 실험한 결과, 항균 활성에 있어서는 파리풀, 까실쑥부쟁이, 중머리대가리, 큰엉겅퀴, 부처꽃 등이 antobleb 활성에 있어서는 낙지다리, 밭뚝외풀, 까실쑥부쟁이, 술패랭이꽃 등이 항암활성에 있어서는 파리풀, 골풀, 밭뚝외풀, 까실쑥부쟁이, 술패랭이꽃, 겨우살이 등이 항산화활성에 있어서는 골풀, 물레나물, 청비녀골풀, 금불초, 방울고랭이, 좀고추나물 등이 비교적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술패랭이에서 화학돌연변이물질 처리에 따른 돌연변이 유기 및 변이 분석 (Variations in Mutant Plants by chemical mutagen treatments of Dianthus superbus L.)

  • 이광회;임정대;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34-341
    • /
    • 2000
  • 술패랭이에서 식물체의 개발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화학돌연변이원을 처리하여 변이체를 유기하고 RAPD 분석을 통해 유기된 돌연변이체에 대한 분자유전학적인 변이를 조사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술패랭이의 종자를 이용하여 변이 식물체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화학 돌연변이원인 sodium azide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적정농도는 0.2mM 정도이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발아하지 않아 술패랭이에서 Sodium azide$(NaN_3)$는 매우 toxic한 돌연변이원으로 추정 할 수 있었다. 2. Sodium azide $(NaN_3)$처리시에는 자엽이 펼쳐지지 않았고 생장에 있어서도 초장과 엽장이 control 식물체보다 짧은 형태를 나타내었다. Sodium azide$(NaN_3)$ 0.1mM 처리한 종자로부터 자란 식물체 중에서 잎이 색깔발현에 있어서 키메라인 식물체가 형성되었다. 3. EMS를 처리한 경우 0.05%에서 급격한 발아저하를 보였으며 발아시 배축이 나선형으로 한번 꼬여서 신장하였고 Colchicine의 경우 모든 농도에서 발아율은 양호하였지만 정상식물체로 자라나지 못했고 뿌리의 말단부가 비후하여 끝 쪽에서부터 갈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MNU처리 시에는 뿌리가 매우 길게 신장하고 두껍게 나타났으며 MNU의 경우 0.2mM의 처리부터 발아저해를 보여 1mM이상이 되면 발아하지 않았다. 4. Sodium azide처리에 의해 유도된 엽록소결핍 돌연변이에서 잎의 색깔의 차이에 따른 RAPD분석을 수행한 결과 4개의 Primer에서 총 12개의 변이 band가 나타났으며 엽록소 결핍 변이에 관계된 band의 수도는 2개로 나타나 DNA수준에서 변이가 확인 되었다. 5. 변이 band 중 무처리 식물체와 같은 녹색을 나타내는 부분에서는 band가 관찰되는 반면 잎에 횐색 또는 노란색의 줄무되가 있는 부분과 백화된 부분에서는 band가 관찰되지 않거나 이러한 엽록소 변이가 형태적으로 나타나는 부분에서 새롭게 형성되는 band를 확인함으로서 이러한 band가 잎의 녹색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옥상녹화용 인공배합토에서 토심 및 관수주기에 따른 몇몇 자생식물의 생육특성 (Effects of Soil Depth and Irrigation Period on Some of the Native Plants in and Artificial Substrate of Roof Garden)

  • 방광자;주진희;김선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75-83
    • /
    • 2004
  • 본 연구는 경량형 옥상조경 소재로 도입가능성이 높은 자생식물을 중심으로 인공배합토에서 토심과 관수주기에 따른 식물의 생육반응을 검증함으로써 경량이면서 저관리형의 옥상조경을 실현하고 자생식물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심과 관수주기에 상관없이 생육이 양호하였던 수종은 애기기린초(Sedum middendorffianum Maxim)와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로 고사율 0%로 나타나 토심 5cm의 무관수의 조건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에 적용 가능한 소재라 판단된다. 또한 두메부추는 토심 5cm에서 건물률이 높아 충실한 생장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엽록소 측정을 통한 관상가치에서는 토심 10cm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관상가치를 고려한다면 토심 10cm 이상의 옥상녹화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2. 한라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Herb. Subsp. Coreanum (Nakai) Y. Lee Stat.)와 술패랭이(Diauthus superbus L. var. longicalycinus (Maxim) Williams)는 토심 5cm에서 고사율이 높았으며 생육이 저조하였다. 관수는 토심이 5cm인 경우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심 10cm에서는 무관수에서도 양호한 생장을 하였다. 따라서 무관수의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최소 10cm 이상의 토심을 조성하여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3. 목본류인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Celak)은 토심 5cm에서 무관수이거나 3주간의 관수주기에서 90% 이상 고사하였으며 최소 1주간격으로 관수하였을 경우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특히 토심 10cm에서는 무관수일 경우에도 생육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심 10cm에서 저관리 옥상녹화의 조성에 도입 가능한 수종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험한 수종은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에 도입할 경우 최소 토심 10cm가 적정하며 5cm 이하의 토심에서는 최소 2주일에 1회 이상의 관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심 5cm에서도 애기기린초(Sedium middendorffianum)나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와 같은 수종을 도입하였을 경우에는 초경량 저관리의 옥상녹화 조성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생초화류을 중심으로 토심과 관수와의 관계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한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에 앞으로 다양한 토양과 수종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인공배지에서의 적정시비량과 저토심에서의 목본류에 대한 실험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자생초화류의 고속도로 조경식물 활용성 연구 (Utilization of Native Plants for Highway Landscaping)

  • 전기성;정태건;소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74-8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utilization of native plants for highway landscape. The field and nurse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from January of 1996 to December of 1998 on the Chonju Arboretum and Honam highway in Korea Highway Corporation. We have investigated thirty species of native plants and came to a conclusion that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Aster koraiensis, Iris nertschinskia, Fennisetum alopecuroides, Viola kapsanensis are very suitable for highway landscaping. And, if the problems raised during this investigation are resolved, it is clear that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jlorum, Belamcanda chinensis, Allium thunbergii, Ophiopogon japonicus,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Disporum sessile, Lilium tigrinum, Caryopteris incana,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Pulsatilla koreana, Aster spathulifolius etc. can be useful plants at highway landscaping.

  • PDF

자생화훼식물의 광도차에 따른 생육반응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Growth and Flowering of Several Korean Native Wild Flower Plants)

  • 이종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2-56
    • /
    • 2001
  • 우리나라의 산야에 자생하고 있는 자생식물 중에서 조경용으로 자주 이용되고 있는 술패랭이꽃을 비롯하여 섬기린초, 원추리, 꽃창포, 매발톱꽃에 있어서 양지와 반음지 및 음지 등의 광도조건이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 식재시 알맞는 광조조건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술패랭이꽃을 비롯한 섬기린초, 원추리, 꽃창포, 매발톱꽃 등은 10만 lux 정도가 되는 양지조건에서 포기당 꽃대의 수와 착화수가 월등하게 증가되었고 광도가 감소될수록 그 수도 감소되었는데 이들은 양지쪽에 식재해야 많은 꽃을 피울 수 있어서 조경적 가치가 증진되었다. 그러나 섬기린초를 제외한 술패랭이꽃, 원추리, 꽃창포, 매발톱꽃 등의 엽면적과 초장은 양지나 음지조건보다 22,000lux 정도되는 반음지조건에서 증가되었다. 특히 원추리의 경우에는 신초의 발생수나 잎의 크기가 음지나 반음지조건에서도 양지와 비슷하여서 광도에 대한 적응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강원도 내 가로수와 가로녹지대 초화류의 식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lanting Characteristics of Street Trees and Herbaceous Plants in Gangwon-do)

  • 정진형;이기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5호통권112호
    • /
    • pp.57-68
    • /
    • 2005
  • This study surveyed planting areas along streets in Gangwon-do to find out how to improve the planting and use of street trees and herbaceous plants. There were 301,491 trees of 41 species on the streets of Gangwon-do in 2004. The predominant species of street trees were Ginkgo biloba ($40\%$), Prunus spp. (Prunus yedoensis and Prunus sargentii) ($25\%$), Platanus occidentalis ($5\%$), followed by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Zelkova serrata, Prunus armeniaca var. ansu, Acer palmatum, and Pinus thunbergii. Eighty-four herbaceous plant species were found in the Youngseo district (the southern area of Gangwon-do); the ratio of native species to exotic was 51:33. The predominant species were Cosmos bipinnatus, Petunia hybrida, Tagetes spp., Aster koraiensis, and Fagopyrum esculentum. Eighty-nine herbaceous plant species were found in the Youngdong district (the eastern area of Gangwon-do); the ratio of native species to exotic was 55:33. The predominant herbaceous plants were Aster koraiensis, Tagetes spp., Petunia hybrida, Rudbeckia bicolor, Cosmos bipinnatus, Salvia splendens, Brassica oleraceae var. acephala,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Coreopsis drummondii, Viola tricolor, and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Appropriate pruning adds to the aesthetic value of trees and prolongs their useful life; it also maintains good health and thereby reduces the need to control insects and diseases. Street trees had not been properly pruned due to the presence of power lines and a shortage of pruning information. The pruning was controlled by Korea Electric Power Company, which has no pruning information. Pruning must be maintained by a professional landscape company in order to maintain good shape, such as that which is done for bonsai. In order to improve the planting, use and maintenance of landscape plants in Gangwon-do,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street tree species should be diversified, suitable street trees should be selected for each space, native species should generally be used, trees should be appropriately pruned and properly fertilized, pests and diseases should be controlled, plantings should be done in multiple layers, spatial arrangements should be improved, larger trees should be planted, and drainage and underground electric wires should be considered when planting.

술패랭이꽃과 층꽃나무 종자에 대한 감마선 조사가 발아, 생육 및 변이유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Germination Growth and Variation Induction in Gamma Rays Irradiated seeds of Lilac Pink and Nursery Spiraea)

  • 박재옥;정병준;박문영;강시용;곽수년;박윤점;허북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9-24
    • /
    • 2010
  • 종자에 감마선 조사(0, 10, 15, 20, 25, 30 G y)를 실시한 후 768립과 972립의 종자를 각각 파종한 후 종자발아, 생장, 생존율 및 변이체 유발에 미치는 방사선량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술패랭이꽃은 90 Gy, 층꽃나무는 80 Gy 이상의 선량에서는 조사량이 증가될수록 발아가 지연되고 발아율도 저하되었다. 반치사선량은 술패랭이꽃 150 Gy, 층꽃나무는 100 Gy 수준이었다. 술패랭이꽃과 층꽃나무의 생장은 120 Gy 이상의 조사량에서 현저하게 억제 되었다. 술패랭이꽃은 $M_1$ 세대에서 17개의 변이체가 나타났으며, $M_2$ 세대에서 4개의 유망 변이체를 선발하였다. 층꽃나무는 $M_1$ 세대에서 7개의 변이체가 나타났으며, $M_2$ 세대에서 8개의 유망 변이체를 선발하였다.

녹화용 다공질 식재 블럭의 개발 (Development in Planting Porous Block for Revegetation)

  • 안영희;최경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9
    • /
    • 2002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make the environmentally affinitive porous planting block for revegetation and to make a effective program for greening plans. The summary is shown below. 1. In order to get stronger intensity and distribute proper porosity in the block for planting, the cements mixed with fine soil were used and the finer in soil grains gives the stronger in intensity of the cements. Use of the furnace slag cements instead of the portland cements showed relatively stronger in intensity of the block. The intensity of the block became stronger when the mixed ratio of the cements to soil is 5 : 1, but the pore space ratio was lower. The percolate pH of the portland cements after one month of treatment was 13.1 but the percolate pH of the furnace slag cements was shown lower. To mold proper porous planting blocks, the proper combination of additives such as the dehydrating agent, elastic agent and adhesives into the mixture of cements and soil gives better effectives. 2. After molding the porous planting blocks, it gave a better result when the grains of the filler made of peat moss, upland soil and compound fertilizer were smaller than 2 mm in size. Shaking of the filling materials also gave the better result, but it took more time and cost much more. Therefore, it was better when the filling materials were mixed with water first then flew down for stuffing. 3. It was necessary to cover with soil after seeding or planting on the porous planting blocks. The proper thickness of the soil to help root development and keep moisture is about 3~5 cm. 4. The plants for planting on the porous planting block were required stronger in the growth condition of their roots and their environmental adaptability. The average germination percentage and rate of Platycodon grandiflorum on the porous planting block were 88.8% and 85% accordingly and their rate is very uniform. The germination rates of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and Taraxacum officinale were more than 50%. These grass species,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Lysimachia mauritiana and Scabiosa mansenensis were the suggested biennial grasses in the planting area where exchanging of the seedling or nursery plants was not necessary because their germination rates were 59.3, 45.6 and 40.3% accordingly. Viola kapsanensis, Chrysanthemum sp., Taraxacum sp. and Iris ensata var. spontanea are the grass species that could be used by seeding for greening. However, the germination rate of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Aster scaber and Lythrum anceps were lower than 10%. The coverage ratio of Ixeris stolonifera is more than 80% after 60 days seeding and the root length of most of species are more than 10 cm except Iris ensata var. spontane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because their root developed thicker than other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