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gnostic Tool

검색결과 1,002건 처리시간 0.029초

FDG-PET/CT as prognostic factor and surveillance tool for postoperative radiation recurrence in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 Kim, Gi-Won;Kim, Yeon-Sil;Han, Eun-Ji;Yoo, Ie-Ryung;Song, Jin-Ho;Lee, Sang-Nam;Lee, Jong-Hoon;Choi, Byung-Oak;Jang, Hong-Seok;Yoon, Sei-Chul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9권4호
    • /
    • pp.243-251
    • /
    • 2011
  • Purpose: To evaluate the prognostic value of metabolic tumor volume (MTV) and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max) on initial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and investigate the clinical value of SUVmax for early detection of locoregional recurrent disease after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0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HNSCC received primary tumor excision and neck dissection followed by adjuvant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chemotherapy. The MTV and SUVmax were measured from primary sites and neck nodes. The prognostic value of MTV and SUVmax were assessed using initial staging PET/CT (study A). Follow-up PET/CT scan available after postope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or radiotherapy were evaluated for the SUVmax value and correlated with locoregional recurrence (study B).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was used to define a threshold value of SUVmax with the highest accuracy for recurrent disease assessment. Results: High MTV (>41 mL) is negative prognostic factor for disease free survival (p = 0.041). Postradiation SUVmax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ocoregional recurrence (hazard ratio, 1.812; 95% confidence interval, 1.361 to 2.413; P < 0.001). A cutoff value of 5.38 from follow-up PET/CT was identified as having maximal accuracy for detecting locoregional recurrence by ROC analysis. Conclusion: MTV at staging work-u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ease free survival. The SUVmax value from follow-up PET/CT showed high diagnostic accuracy for the detection of locoregional recurrence in postoperatively irradiated HNSCC.

Clinical analysis and review of literature on pilomatrixoma in pediatric patients

  • Hu, Ju Long;Yoo, Hyokyung;Kwon, Sung Tack;Kim, Sukwha;Chung, Jee Hyeok;Kim, Hyeonwoo;Kim, Jinhyun;Yu, Na Hee;Kim, Byung Jun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88-293
    • /
    • 2020
  • Background: Pilomatrixoma is a benign tumor that originates from the hair follicle matrix. It usually presents as a hard, slow growing, solitary mass that can be easily misdiagnosed as other skin mass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inically analyze a case series of pilomatrixoma in pediatric patients from Korea. Methods: A total of 165 pediatric patients from 2011 to 2018 with a histological diagnosis of pilomatrixoma were included.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us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including patient demographics, number and location of the mass, clinical and imaging presentation, and postoperative outcomes. Results: There were 61 male and 104 female patients with 152 solitary and 13 multiple pilomatrixomas. Among solitary pilomatrixomas, the lesion commonly occurred in the head and neck (84.2%), followed by upper limbs (11.2%), lower limbs (3.3%), and trunk (1.3%). The pilomatrixoma lesion presented as the following types based on our clinical classification: mass (56.02%), pigmentation (25.31%), mixed (12.65%), ulceration (4.82%), and keloid-like (1.2%). Ultrasonography showed a high positive predictive value (95.56%). There were no specific complications observed except for two cases of recurrence. Conclusion: Pilomatrixoma has various clinical feature presentations and commonly occurs in the head and neck. Ultrasonography is a helpful diagnostic tool. Surgical removal of the lesion is the main treatment method with a low recurrence rate.

EIS(Electro Interstitial Scan) 방법의 임상적 유효성 연구 (Evaluation of Clinical Usefulness of EIS(Electro Interstitial Scan))

  • 김수찬;배장한;전민호;김재욱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2호
    • /
    • pp.124-133
    • /
    • 2015
  • 전기체간스캔법(EIS, electro interstitial scan)은 미세 직류전류를 인체의 사지말단 또는 국소적 인가를 통해 인체의 전류 반응을 기준으로 인체의 질병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비침습적인 질병 스크리닝 방법으로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프랑스에서 개발된 DDFAO는 다채널 EIS로 다양한 질병, 특히 당뇨와 같은 내분비 기관의 진단에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RC 팬텀 모델을 이용하여 DDFAO의 측정의 반복성과 민감도를 확인하고, 정상군과 당뇨 질환군을 대상으로 임상적 유용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팬텀을 이용할 경우, 반복 측정시 값의 변화가 없고 팬텀 특성이 변화될 때 DDFAO의 측정 결과도 변화되었다. 그러나 임상 측정에 있어서 6개의 표면 전극을 이용하여 비침습적 방법으로 정상인과 당뇨병 환자의 구별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반복성과 정확성도 우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측정 방법의 편리성과 간편성으로 인해 국소적인 영역보다 인체 전반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스크린 장비로써의 개발 가능성은 여전히 보이고 있기에 EIS에 대한 다양한 기반 연구가 필요하다.

치과용 cone beam CT를 이용한 한국인 소아 및 청소년의 매복 정중과잉치에 대한 3차원적 분석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Impacted Mesiodens Using Dental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 김상덕;이상호;이난영;전상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49-158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치과용 3차원 Come-beam CT 영상을 이용하여 정중과잉치의 형태와 매복 양상 및 연관된 합병증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다.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정중과잉치를 주소로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280명의 환아의 cone-beam CT 영상을 평가하였다. 매복된 정중과잉치는 여아보다 남아에서 더 빈번했고, 약 3.3 : 1의 비율을 보였으며 6~8세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환자당 정중과잉치의 개수는 1.38개였다. 대부분의 정중과잉치는 원추형(79.5%)이었으며, 역위방향(48.6%)으로 위치하고 있었다. 근원심적 위치로는 정중부(81.8%)가 가장 흔했고, 수직적으로는 치경부 근처(60.3%)에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순구개측 위치로는 구개측(73.8%)에 가장 많이 위치였다. 정중과잉치의 47.5%에서 합병증이 관찰되었고 인접치 변위와 맹출 지연이 가장 흔했다. 과잉치의 형태와 수직적 위치, 그리고 순구개측 위치가 합병증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Cone-beam CT는 매복된 정중과잉치에 대한 3차원적 위치 정보와 정확한 영상을 제공하였다.

경골 고평부 골절의 반월상 연골 파열 양상 (Characteristics of Meniscus Tear in Tibial Plateau Fractures)

  • 이동훈;김병국;김재화;정주환;이인성;이준구;이순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6
    • /
    • 2012
  • 목적: 경골 고평부 골절은 슬관절에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는 관절경하 경골 고평부 골절에서 반월상 연골 손상 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3월부터 2010년 3월까지 경골 고평부 골절을 진단 받은 39명의 환자 중 33명 환자를 대상으로 골절 고정 시내 관절경을 시행하였다. Schatzker 분류에 따르면 1명의 I형(3.3%), 19명의 II형(53.3%), 4명의 III형(13.3%), 2명의 IV형(6.6%), 2명의 V형(6.6%), 5명의 VI형(20%) 소견을 보였다. 결과: 25명의 환자(75.8%)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파열 소견을 보였다. Schatzker II형 환자 19명 중 18명의 환자(94.7%)가, Schatzker III형 환자 4명 중 3명의 환자(75%)가, Schatzker VI형 환자 5명 중 4명의 환자(80%)가 반월상 연골 파열 소견을 보였다. 반월상 연골 중 가장 많이 손상된 부분은 외측 연골의 전각부분이다(22/25). 25명의 반월상 연골 파열 환자 중, 한 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변연부 수직 종파열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도할 수 있었다. 결론: 경골 고평부 골절에 있어 관절경하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파악 및 치료에 유용하며, 경골 고평부 골절환자에서 관절경을 권한다.

  • PDF

Facial 'Phi' Mask를 사용한 골격성 부정교합 환자의 안모 분석 (Facial Analysis of Patients with Skeletal Malocclusion Using a Facial 'Phi' Mask)

  • 김홍석;허영민;홍종락;김창수;팽준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26-33
    • /
    • 2012
  • Purpose: The golden ratio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to objectify and quantify 'beauty'. Dr. Marqurardt claims that the golden ratio can be applied in the maxillofacial field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significance of using a facial 'phi' mask for analyzing Korean faces with characteristics of Class I, II, and III malocclusion. Methods: We studied twenty five Korean celebrities' frontal facial photos (10 males, 15 females) and 90 malocclusion patients' frontal facial photos (30 patients in each malocclusion classification: Class I, Class II, and Class III). Patients who received orthodontic treatment at Samsung Medical Center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fter superimposition of the selected facial photo and facial 'phi' mask using Adobe Photoshop CS3, the ratio of the entire facial area, mid facial area, lower facial area and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were measured. Results: The facial ratio in photos of Korean faces showed larger vertical and horizontal ratios than the facial 'phi' mask with golden ratio, regardless of skeletal malocclusion (entire face: 115%, lower face: 125% larger than the mask). The results of the frontal photos of Class I, II, and III malocclusion patients using facial 'phi' mask showed that the vertical length and frontal face area was mo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area of the lower face than the midface. This means that the lower face has larger proportions in the facial areas. Conclusion: The ratio of facial 'phi' mask is matched with the ideal facial appearance that the contemporary Korean general public is seeking. Thus, the facial 'phi' mask may be a convenient tool for esthetic analysis of Korean faces. Reducing the area of the lower face is esthetically more desirable for almost all Korean people when planning orthognathic surgery.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한 임플란트 주변골 흡수 분석 (Marginal Bone Resorption Analysis of Dental Implant Patients by Applying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 정민기;김성민;김명주;이종호;명훈;김명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167-173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ries of panoramic radiograph of implant patients using the system to measure peri-implant crestal bone loss according to the elapsed time from fixture installation time to more than three years. Methods: Choose 10 patients having 45 implant fixtures installed, which have series of panoramic radiograph in the period to be analyzed by the system. Then, calculated the crestal bone depth and statistics and selected the implant in concerned by clicking the implant of image shown on the monitor by the implemented pattern recognition system. Then, the system recognized the x, y coordination of the implant and peri-implant alveolar crest, and calculated the distance between the approximated line of implant fixture and alveolar crest. By applying pattern recognition to periodic panoramic radiographs, we attained the results and made a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preceded articles concerning peri-implant marginal bone loss. Analyzing peri-implant crestal bone loss in a regression analysis periodic filmed panoramic radiograph, logarithmic approximation had highest $R^2$ value, and the equation is as shown below. $y=0.245Logx{\pm}0.42$, $R^2=0.53$, unit: month (x), mm (y) Results: Panoramic radiograph is a more wide-scoped view compared with the periapical radiograph in the same resolution. Therefore, there was not enough information in the radiograph in local area. Anterior portion of many radiographs was out of the focal trough and blurred precluding the accurate recognition by the system, and many implants were overlapped with the adjacent structures, in which the alveolar crest was impossible to find. Conclusion: Considering the earlier objective and error, we expect better results from an analysis of periapical radiograph than panoramic radiograph. Implementing additional function, we expect high extensibility of pattern recognition system as a diagnostic tool to evaluate implant-bone integration, calculate length from fixture to inferior alveolar nerve, and from fixture to base of the maxillary sinus.

Cone beam형 전산화단층영상을 이용한 영구치 치근과 근관의 형태 평가 (Evaluation of imaging reformation for root and pulp canal shapes of permanent teeth using a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 홍종현;김규태;최용석;황의환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7권3호
    • /
    • pp.165-170
    • /
    • 2007
  • Purpose: To estimate the shape of root and pulp canal using a dental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n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imaging reformation. Materials and Methods: CBCT images were obtained with incisors, premolars, and molars as the destination by using PSR $9000N^{TM}$ Dental CT system (Asahi Roentgen Ind. Co., Ltd, Kyoto, Japan) and i-CAT (Imaging Sciences International, Inc, USA) cone beam CT unit that have different kind of detector and field of view, and compared these with the shape and the size of actual root and root canal. Results: When the measuring value of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oncerning to each root's bucco-lingual diameter and mesio-distal diameter was compared with the value of the actual root, it reveals an error range $-0.49{\sim}+0.63$ mm at PSR900N and $-0.97{\sim}+1.14$ mm at i-CAT (P>0.05). It was possible to identify and measure PSR$9000N^{TM}$ Dental CT system to the limit $0.48{\pm}0.06mm$ (P>0.05) and i-CAT CBCT to the limit $0.86{\pm}0.09mm$ (P<0.05) on estimating the size and the shape of root canal. Two kinds of CBCT images revealed the useful reproducibility to estimate the shape of root, but there was the difference to estimate the shape of root according to apparatus. The reproducibility of root shape in the image of three-dimensions at PSR 900N is low such as 0.65 mm in a case of minute root canal. Conclusions: CBCT images revealed higher accuracy of the imaging reformation for root and pulp and clinically CBCT is a useful diagnostic tool for the assessment of root and canal. However, there are different qualities of imaging reformation according to CBCT apparatus and limitation of reproducibility for minute root canals.

  • PDF

인체 노로바이러스의 한국분리주 Hu/NLV/Gunpo/2006/KO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Korean Isolate of Human Norovirus, the Hu/NLV/Gunpo/2006/KO Strain)

  • 정아용;윤상임;지영미;강윤성;이영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05-111
    • /
    • 2009
  • 노로바이러스는 급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Caliciviridae 과(family)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유전자형이 매우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노로바이러스 국내분리주의 게놈 RNA로부터 3개의 open reading frame (ORF) 모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유전학적 계통분석을 통하여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노로바이러스(Hu/NLV/Gunpo/2006/KO)는 바이러스성 식중독, 장염 증세를 보이는 2세 여아 가검물로부터 분리되었다. 역전사반응과 PCR 증폭을 통해서 바이러스의 게놈 RNA를 3개의 중첩되는 cDNA 단편으로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cDNA를 염기서열 분석에 직접 사용하였다. 시퀀싱 결과 Hu/NLV/Gunpo/2006/KO는 3개의 ORF (ORF1, 5,100 bp; ORF2, 1,647 bp; ORF3, 765 bp)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5개의 노로바이러스 국외 분리주와 비교한 결과, ORF1은 ORF2 또는 ORF3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염기의 변이율이 낮았으며, 특히 ORF2와 ORF3의 C-말단 부위에서 높은 변이율을 관찰하였다. 유전학적 계통도를 분석한 결과, Hu/NLV/Gunpo/2006/KO는 genogroup II 에 속하며, Saitama U1, Gifu'96, Mc37, Vietnam 026과 같은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로바이러스 Hu/NLV/Gunpo/2006/KO의 3개의 ORF 염기서열을 모두 밝힘으로써, 앞으로 노로바이러스의 검출법 개발과 유전학적 상관관계뿐 아니라, 유전자의 기능 분석과 관련된 기초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네팔 직업기술교육훈련 교사들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요구조사 (Measur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for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taff in Nepal: A Look at Teachers' Perceptions)

  • 임진호;김동욱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63-176
    • /
    • 2020
  • 개발도상국에서 직업기술교육훈련이 각광받고 있는 이유는 일반교육보다 직업기술교육훈련이 상대적으로 사회적 유용도가 높고 일자리와 생산성 그리고 경제성장과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 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교육 분야에서는 교사나 교원교육에 대한 주제와 관련된 연구들이 폭넓게 진행되고 있는데 반해, 직업기술교육훈련 분야에서는 일반이론이나 모형개발에 필요한 사례연구 등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아직 제한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네팔의 직업기술교육훈련 교사들이 교직을 수행해 나가는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훈련 과목(training module)에 대해 훈련생 본인들이 스스로 인식하는 '현재 상태'와 '기대수준(중요도)'을 각각 측정하였다. 이어 해당 지표 간의 격차를 바탕으로 훈련 프로그램 우선순위를 구분함으로써 향후 직업기술교육훈련 교사의 훈련 또는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정책을 설계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를 통해, 총 29개의 훈련 과목에 대한 보리치(Borich)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7. NCS 기반의 교육과정 개발(4.82)'의 요구도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5. NCS 기반 TVET 교육 프로그램 평가(4.79)', '6. 교육 요구분석 및 교육과정 개발(4.56)', '11. TVET 정책 및 인사 관리(4.56)', '12. TVET 훈련교사 리더십 역량 개발(4.38)' 과목들이 뒤를 이었다. 더불어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해 우선순위 항목들로 지목된 교육과목들을 재검정한 결과, '6. 교육 요구분석 및 교육과정 개발', '7. NCS 기반의 교육과정 개발', 그리고 '1. TVET 훈련교사의 직업 특성 (역할, 직업 윤리 등)' 등이 이상적 수준의 우선순위 훈련 과목으로 최종 분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