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gnosis of Curriculum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8초

미래 대응력 제고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 (Alternatives to Improving the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Enhance Future Responsiveness)

  • 신민혜;김승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447-45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교육에 대비하여 예비 교사의 현장성을 강화하고, 학령기 인구 감소로 인한 교원양성체제의 구조적인 변화 대응 및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미래 지향적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2020년 5주기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항목을 분석하였으며, 2021년 7월 교육부에서 발표한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 시안 및 4차에 걸친 토론회 내용에 근거하여 미래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하여 교원양성기관에서는 다(多) 교과 역량 함양과 미래형 교육과정으로의 개편이 필요하다. 둘째, 교원양성기관의 교원과 예비 교사에 대한 역량 함양을 위해 메타버스의 도입, 일반교수법, ICT 활용 교수법 등을 통한 교수자 역량 강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셋째, 교원양성기관에서는 예비 교사양성을 위해 학교 현장 중심의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실습생 교사 담임제', 선후배 중심 '전담 멘토-멘티', 대학 교수자 주도의 '모니터링 시스템', '수습 교사제' 등의 도입 및 강화이다.

Barriers and Facilitating Factors Perceived in Turkish Women's Behaviors Towards Early Cervical Cancer Detection: A Qualitative Approach

  • Ersin, Fatma;Bahar, Zuha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4977-4982
    • /
    • 2013
  • Backgroun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ived inhibiting and facilitating factors concerning cervical cancer early diagnosis behavior in Turkish women over the age of 40.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carried out by qualitative focus group interview with 35 participating women, in the period between April-June 2010. A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naire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and the Health Promotion Model was used. Content analysis was applied to the study data. Results: Barriers such as lack of knowledge of women as regards to the cervical cancer and early detection, lack of sensitivity-negligence, forgetting, fear, inadequacy of health insurance and transportation, financial problems, inability to get an appointment, lack of female doctors, embarassment, fatalist approach were frequently addressed. As for facilitating factors, these included provision of information, health professionals showing interest and tolerance, free services, provision of transportation means and reminding telephone calls. Conclusion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determining inhibiting and facilitating factors concerning cervical cancer early diagnosis behavior. In line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preparation of structured national and regional education programs and their addition to curriculum programs may be effective in realizing and maintaining positive early detection behavior.

SW 취약점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진단원의 교육 양성 연구 (Research on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Analyzer for Security Enhancement of SW Vulnerability)

  • 김슬기;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945-950
    • /
    • 2017
  •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으로 인하여, 국가의 사이버 인프라와 실물 금융자산 에 대한 해킹 공격이 발생하고 있다. 소프트웨어는 인터넷 정보제공과 사이버 금융결제 및 사이버 인프라를 통제하고 운영하는, 운영체제 및 실행시스템을 구성하는 필수요소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취약점을 분석하고, 보안성을 강화해야 사이버 인프라의 보안성이 강화되고, 실제 국가와 국민의 실제 생활에 보안성이 강화된다.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제도 분석과 소프트 웨어 개발보안 진단 분석 및 소프트웨어 취약점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연구를 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취약점 진단원 양성 및 보수교육을 위한 교재개발과 진단원 시험문제 개발 및 진단원의 파일럿 테스트, 그리고 진단원의 투입인력 비용기준을 연구한다. 본 논문의 연구는 소프트웨어 취약점 진단원을 양성하는 교육과정과 진단가이드를 제시하여, 국가와 국민 생활의 사이버 인프라의 소프트웨어 보안성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존재(存齋) 위백규(魏伯珪)의 교육개혁론(敎育改革論)과 그 도덕교육적(道德敎育的) 함의(含意) (Jonjae Wie Baek-Gyu's Thoughts & Proposals for Educational Reform and the implication of moral education)

  • 박학래
    • 동양고전연구
    • /
    • 제72호
    • /
    • pp.265-298
    • /
    • 2018
  • 본고는 18세기 호남의 대표적인 유학자인 존재(存齋) 위백규(魏伯珪)(1727~1798)의 사회개혁론 가운데 교육개혁론에 대한 내용과 의미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도덕교육적 함의를 제시한 것이다. 영(英) 정조(正祖) 시대를 관통하며 삶을 영위하였던 위백규는 당시 사회의 모순과 문제점의 원인을 도덕의 부재로 진단하고, 사회적 폐단을 극복하는 방안의 중심으로 학교 교육의 개혁을 강조하였다. 위백규가 구상한 교육개혁론은 학교의 체계 개편을 중심으로 아동교육부터 고등교육에 이르는 과정을 체계화하는 것이었으며, 학교 교육을 인재 선발과 연동하여 구체화하는 것이었다. 그의 교육개혁론에서 가장 중심이 두어진 것은 도덕적 자질의 배양이었다. 그는 학교 입학부터 교육과정의 이수 과정에서 무엇보다 도덕적 품성의 배양과 실천을 강조하였으며, 입학 과정에 지역민들의 의사를 반영하는 체계를 제시하여 향촌 교화의 중심으로서 학교가 자리 잡도록 하였다. 도덕 교육을 근간으로 학교의 체계를 구체화하고, 나아가 교화와 인재 등용의 중심으로 학교 체계 및 교육 내용을 체계화한 그의 교육개혁론은 인성 교육을 근간으로 내면의 도덕성 함양과 실천을 강조하는 현행 도덕 교과의 교육과정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위백규의 시대 인식과 사회개혁론의 대체, 그리고 그의 교육개혁론의 근거가 되는 교육 현실에 대한 진단과 개혁론의 구체적인 내용을 정리하고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에 주는 의미를 시론적(試論的)으로 제시하였다.

교수유형 진단에 따른 교수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 연구 : 교육역량 기반의 교수유형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Faculty Training Curriculum based on Diagnosis of Teaching Styles: Focusing on Teaching Styles based on Educational Competencies)

  • 이성아;윤혜진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7권
    • /
    • pp.251-276
    • /
    • 2024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교육 질을 제고하기 위해 교수들의 교육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교수 유형을 설정하고, 해당 유형을 평가할 수 있는 진단 도구를 개발한 후, 유형에 맞는 맞춤형 교육 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이 연구를 위해 문헌 연구와 델파이 기법을 활용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세 가지 새로운 교수 스타일 유형(스타강사형, 학습 멘토형, 디자이너형)을 도출했다. 둘째, 국내외에서 널리 사용되는 Grasha의 티칭 스타일 검사를 수정 및 보완해 유형별로 8문항씩 총 24개 문항으로 진단 도구를 개발했다. 셋째, 교수 유형별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했는데, 모든 유형에서 필요한 공통 과정과 각 유형별 특화 과정으로 구성했다. 넷째, 개발된 모형, 도구, 커리큘럼의 타당성을 10명의 전문가 델파이 방법을 통해 검증하고 확정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를 통해 교수는 자신의 유형을 인식하고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는 개별 교수의 강점과 선호하는 교수법을 강화하고, 교육 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를 시스템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교수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과 참여 교수 간의 정보 공유를 촉진할 방안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다면적 평가를 통한 교육성과 평가도구 개발 및 분석연구 (Practical Measurement on Education Outcome Through Multi-Evaluations)

  • 백란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6호
    • /
    • pp.98-102
    • /
    • 2012
  • This paper diagnose subjects and measures the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based on the goal of developing an assessment tool for education productivity based on multi-aspect evaluation conducted by ICEE at Honam University. Furthermore,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education productivity that provides a motive to bring detailed improvements in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diagnosis. In addition, a method for compensating the issu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subject is suggested to develop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through applying the assessment tool. An integrated operated system of CQI is desired to be built along with quality improvement of education through measuring academic quality by studying the methods for enhancing academic and learning ability achievement from analysis of the curriculum provided in the "ABEEK program". Through this study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productivity is presented through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BEEK program" and who did not participate, and operating a comparison between the student's comprehension on their majors and liberal arts by the multi-aspect evaluation that has been conducted for 2 years.

소프트웨어 취약점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연구 (The Research for Cyber Security Experts)

  • 김슬기;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7-350
    • /
    • 2016
  • 소프트웨어의 취약점분석에 대한 위험이 발생하고 있다.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통해 물질적, 금전적인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보안강화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위험잠재요소가 있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경우 제조한 기업뿐만이 아닌 해당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기업 및 개인까지 손실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진단하고, 진단원을 양성하는 교육과정과 진단가이드를 제시하며, 소프트웨어의 취약점 보안성 강화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 전문성에 관한 10년 주기(2008-2018) 비교 연구 (A Decade of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Perceptions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 맹희주;손연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17-728
    • /
    • 2019
  • 창의융합 인재 양성의 중요성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도 융합과 통합교육을 지향하며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학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더불어 최근 10년간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 교육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이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었던 2008년도의 초·중등 과학교사 359명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었던 2018년도의 초·중등 과학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PCK)에 대하여 10년간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분석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2018년 초·중등 과학교사들은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보통'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과학교육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교사의 전문성 향상, 교수학습 자료의 제공, 학습내용의 축소, 학생 수 감소와 시간표의 융통성 확보, 학생과 학부모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확대의 필요에 대한 인식도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자기진단에 의한 PCK 조사 결과, 교과 내용 지식 확보 능력, 통합과학교육과 관련된 교육과정의 이해와 수업 구성 능력, 통합적 교수 전략 능력, 통합적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환경 조성 능력, 통합과학교육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 등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PCK는 10년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근 융복합 교육의 강조로 현장에서 융복합 수업의 적용 경험이 많아졌으며,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부합하고자 하는 과학교사들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실로 보여졌다.

DACUM 기법에 의한 물리치료사의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Korean Physical Therapists Based on the DACUM Method)

  • 권혜정;송영화;이경희;황룡;이재갑;문제강;김용성;김기원;최영준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9-29
    • /
    • 2011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uties of physical therapists by developing a curriculum( DACUM) method, and to present the frequency,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the main duties and tasks currently conducted in Korea. Methods : The definition of physical therapists and job description was developed based on DACUM. In order to achieve this analysis, a DACUM workshop,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524 Korean physical therapists working in the whole country 84 areas in order to analyze the order of priority for all tasks. Results : This study defined the task of physical therapists and five kinds of duties were identified : diagnosis and evaluation, interven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management and community service. Twenty-six tasks and Sixty-three task elements were classified.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of help for the development in clinical education and university curriculum.

  • PDF

예비교사를 위한 ICT 활용 교육과정 모형 (Model of ICT Utilization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 이철현;신수범;유인환;이태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87-95
    • /
    • 2000
  • 현재까지의 컴퓨터교육은 주로 초 중등 학생의 정보소양 함양에 치중해 왔다. 이에 반해, 학교교육에서 핵심적 변수가 교원임에도 불구하고 교원의 정보통신기술함양 교육에는 소홀한 경향이 짙다. 또한 교원 양성대학에서 예비 교사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을 신장시키려는 노력도 상대적으로 미약했던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 현황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초 중등 컴퓨터교육에서 ICT 활용 교육의 위치를 탐색하였다. 또한, 국가수준에서 교원에게 요구되는 ICT, 교사 업무 영역별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lCT 활용 능력 및 교원양성대학 컴퓨터교육의 방향을 토대로 교육 목표 및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