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ice ID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41초

SAW ID리더 플랫폼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SAW ID Reader Platform)

  • 유호준;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766-771
    • /
    • 2008
  • SAW Device는 필터이외에도 각종 물리 센서나 화학센서 혹은 ID Tag로 다양한 분야로 활용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다양한 SAW Device를 사용하기 위한 플랫폼이 요구된다. 현재 SAW ID나 Sensor는 많은 발전을 해왔지 만 SAW Sensor를 활용 할 수 있는 플랫폼의 발전은 미흡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ID Tag 나 Sensor를 비롯한 여러 SAW Sensor를 보다 편리 하게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플랫폼은 SAW Device를 인식 할 수 있는 RF 모듈과 SAW Device의 응답신호를 처리 할 수 있도록 고성능 프로세서를 이용한 매인 모듈로 구성하였다. 매인 모듈에서는 고성능 프로세서를 이용함으로서 GUI 환경 기반의 플랫폼을 구현하여 사용자들이 SAW Device에서 수집된 정보를 보다 편리하고 알아보기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플랫폼은 ARM9 코어의 프로세서를 기반의 플랫폼으로 Windows Embedded CE 6.0 OS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개발자들에게는 센서를 활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바일 결제의 신뢰성 향상 방안 (A Reliability Enhancement Technique of Mobile Payment)

  • 김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319-325
    • /
    • 2016
  • 핀테크의 활성화로 모바일 결제를 위한 다양한 기반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각종 결제 방식이 개발되고, 결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증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시, 전화번호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지므로 누출 가능성이 있어 보안이 취약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화번호 기반의 인증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고유한 식별자인 디바이스 ID를 활용하여 인증 과정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핵심 연구 내용은 모바일 디바이스 ID를 기반으로 모바일 결제 인증을 위한 아키텍쳐와 인증 프로세스이다. 모바일 결제 아키텍쳐는 모바일 디바이스, 인증 서비스, 그리고 모바일 결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ID와 전화번호로 구성하며, 인증 서버는 인증 모듈과 암호화 모듈로 구성된다.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사전 인증 모듈과 복호화 모듈로 구성된다.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프로세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인증 서버, 그리고 모바일 결제 어플리케이션 간에 암호화된 인증 정보(디바이스 ID, 전화번호, 인증 번호)에 의해 처리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전화번호와 디바이스 ID를 인증 서버로 전달하며, 인증 서버는 인증 과정과 암호화 과정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한다. 모바일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전달받은 인증 번호에 대해 복호화를 통해 사전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본 논문의 인증 서버의 인증 과정과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사전 인증 과정을 통해 기존 결제 서비스의 인증 번호 누출에 의한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차별성을 제공할 것이다.

CAN 통신과 Smart Device를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System (Car Theft Protection System using CAN Communication and Smart Devicenment)

  • 김재경;황만태;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136-2142
    • /
    • 2011
  • 현재 도난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Key를 이용한 방법, 원격 도어락과 차량 경보를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 이 방법들은 차량의 Key를 분실할 경우 차량의 도난을 방지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Smart Device 와 CAN 통신을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한다. CAN의 차량 식별자 고유ID를 Head Unit에 보내고, Smart Phone을 통해 수신된 식별자 ID를 비교하여 동일한 ID 일 때 차량의 ACC(Accessory)를 on/off 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다.

클라이언트 확인을 위한 Machine ID 선택 (Choice of Machine ID for Client Certification)

  • 유현범;이문호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2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149-15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하드웨어의 Serail Number를 사용하여 보다 대중성 있고, 이동성이 있는 인증방법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서론에서는 컴퓨터 내부와 외부에 연결되는 Device ID들과 관련하여 각각의 선택에 대한 장단점을 알아보았고, 다음으로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중화된 Device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말하였고, 대중화된 Device들을 사용하여 어떻게 적용을 시키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이후로 연구되어야하는 부분에 대해 알아보았다. Wolfram Research에서 만들어진 Mathematica라는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Machine ID에 대하여 먼저 알아보았고, Machine ID를 사용하여 일반 유지들이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뱅킹 등에 사용되는 인증서를 보다 안전하고 이동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인증서가 확인이 된 후, 서버에서 다시 클라이언트로 갱신된 인증서를 보내어, 사용자는 갱신된 인증서에서만 다음 번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LED-ID 시스템에서 LED의 온도 특성에 따른 선택적 변조 및 부호화를 통한 QoS 향상 기법 연구 (Improving the QoS using the Modulation and Coding Selection scheme by temperature characteristic of LED in the LED-ID system)

  • 이규진;서효덕;한두희;이계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66-7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Light Emitting Diode-Identification(LED-ID) 통신 시스템에서 LED의 온도 특성에 따른 성능저하를 보상하여 QoS를 만족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LED-ID 통신 기술은 기존 조명의 기능을 수행하는 LED를 사용하여 통신의 기능까지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기술은 LED의 RGB(Red Green Blue)광원을 통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RGB의 혼합 비율에 따라서 조명의 색을 결정하고, 각 RGB신호의 BER성능이 결정된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LED를 사용할 경우에 발생하는 발열 특성으로 인해 각 소자의 온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소자의 발열 온도 증가로 인한 시스템의 성능 저하가 발생 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 논문에서는 LED의 지속적 사용에 따른 발열 온도 및 이로 인한 시스템의 성능저하를 분석하고, 발열 온도 특성에 따른 선택적 변조 및 부호화 기법을 적용하여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 향상과 QoS를 만족하는 기법을 연구하였다.

FPGA를 이용한 SAW Device Reader Platform 구현 (SAW Device Reader Platform Using FPGA Implementation)

  • 정용현;손영태;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2805-2810
    • /
    • 2010
  • SAW Device 라는 Passive 소자는 ID Tag 나 소형센서들을 대체할 수 있는 MEMS 기술의 초소형 Device 다. 이 SAW Device 를 이용하면 독립된 공간이나 전원이 필요한 센서 제어 등을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활용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다양한 SAW Device 를 사용하기 위한 플랫폼이 요구된다. 하지만 현재 SAW Sensor는 많은 발전을 해왔지만 SAW Sensor 를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의 발전은 미흡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SAW Device 의 측정이 가능한 SAW Reader를 FPGA를 이용하여 좀 더 간단하고 효율적인 Reader platform 을 구현해 보고자 한다.

디바이스 ID 기반의 하이브리드 PKI 공인 인증 보안 기법 (Hybrid PKI Public Certificate Security Method Based on Device ID)

  • 손영환;최운수;김기현;최한나;이대윤;오충식;조용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13-12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사용자 인증의 초석인 인증서의 원천지 무결성 보장과 함께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써, PKI 인증서 인증기법에 디바이스 ID에 기반한 하이브리드 공인 인증 기법을 제안하여 기존 하이브리드 PKI 공인인증서 인증기법에서의 사용자 편의성과 보안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의 특징은 크게 다섯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사용자 스스로 각각의 인증 상황 및 보안 수준에 맞는 정책을 선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둘째, 정책별 디바이스 ID의 해시 값인 DLDI Key(Device Location Dependence ID Key)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 인증서의 원천지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셋째, EOTP Key(Event of One Time Password Key)를 통해서 인증서를 암호화, 복호화 하는 키의 값을 매 인증 시도마다 변경시킴으로써 보안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넷째, 인증서에 Index 값을 추가시켜 멀티 디바이스에 인증서의 저장이 가능하다. 다섯째, 보안 카드 등 인증서의 원천지 무결성 보장을 위한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치 않아, 인증 처리 시간의 지연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인증 서버의 연산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지하철 시스템에 대한 RF-ID의 적용 (Application of RF-ID in Subway System)

  • 이용제;김도훈;김용상;임상욱;김양모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402-404
    • /
    • 2003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s an automatic data capture (ADC) technology that comprises small data-carrying device(is called Tag) and fixed or mobile device(is called reader). Tags are attached or deattached device. Readers may be installed at locations where data capture is required, and may also be in the form of portable readers. In this paper, we are proposing an application for the subway station using the RF-ID system and a system for the gateless fare collection passing through the booth in only carrying the card. In this system that RF-ID system and Bluetooth are applied. We designed two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One is the 125kHz communication channel by FSK and PSK for power supplying on the card and identification and the other is 2.4GHz channel for the collection.

  • PDF

Cortex-A9을 이용한 주파수 영역 샘플링 방식의 실시간 표면 탄성파 리더 플랫폼 구현 (Real-time surface acoustic wave reader platform implementation in the frequency domain sampling method using a Cortex-A9)

  • 윤상훈;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3-345
    • /
    • 2015
  • 현재 SAW Device는 좁은 대역폭으로 원하는 주파수만 통과 시키는 특성을 이용한 주파수 필터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무전원으로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로 활동 분야가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SAW Device를 이용한 센서 태그는 많은 연구가 이뤄졌지만, 아직 Reader Platform에 대한 개발이 미비한 상태이다. SAW Device를 이용한 ID Tag의 값을 읽는 방법에는 시간 영역 샘플링(TDS) 방식과 주파수 영역 샘플링(FDS) 방식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의 샘플링을 요구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느린 샘플링 속도로 고속의 프로세싱을 요구하는 FDS 방식을 사용한다. 기존의 FDS 방식의 Reader Platform은 PC를 통하여 ID를 검출하는 방식이었으나 Cortex-A9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하여 저가, 소형, 실시간의 임베디드 Reader Platform을 구현한다.

  • PDF

USIM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안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ing USIM Information)

  • 이진우;김선주;조인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571-578
    • /
    • 2017
  •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 및 개인 PC를 통해 정보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정당한 사용자임을 증명해야한다. 이때 사용되는 사용자 인증 기술에는 ID/PW 기반 인증기술, OTP(One-Time-Password), 인증서, 보안카드, 지문인식 등 다양하다. 그 중에서 ID/PW 기반 인증기술은 사용자에게 익숙하지만 무작위 대입공격, 키로깅, 사전공격 등의 패스워드 공격에 취약하며 이러한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자는 복잡한 패스워드 조합 규정에 따라 주기적으로 패스워드를 변경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ID/PW 기반 인증 기술보다 보안성을 높이면서 패스워드를 사용하지 않고 스마트폰의 USIM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