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elopment Strategy

검색결과 5,974건 처리시간 0.037초

Development of Biosphere Assessment Modeling Strategy for Deep Geological Disposal in Generic Site of the Korean Peninsula

  • Do Hyun Kim;Wontak Lee;Dongki Kim;Jonghyun Kim;Joowan Park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49-164
    • /
    • 2023
  • As part of the safety case development for generic disposal site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develop generic assessment models using various geosphere-biosphere interfaces (GBIs) and potentially exposed groups (PEGs) that reflect the natur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lifestyles of people in Korea. In this study, a unique modeling strategy was developed to systematically construct and select Korean generic biosphere assessment models. The strategy includes three process steps (combination, screening, and experts' scoring) for the biosphere system conditions. First, various conditions, such as climate, topography, GBIs, and PEGs, were combined in the biosphere system. Second, the combined calculation cases were configured into interrelation matrices to screen out some calculation cases that were highly unlikely or less significant in terms of the exposure dose. Finally, the selected calculation cases were prioritized based on expert judgment by scoring the knowledge, probability, and impor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mplemented in the development of biosphere assessment models for Korean generic sites. It is believed that this systematic methodology for selecting the candidate calculation cases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confidence of future site-specific biosphere assessment models.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ultural Concept and Methodology of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 이무용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9-57
    • /
    • 2006
  • 장소마케팅 전략은 도시문화의 발전이냐 혹은 파괴냐를 둘러싼 다양한 의미와 담론 및 실천들이 끊임없이 생성되고, 서로 부딪히며, 교섭하는 문화정치의 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장소마케팅 전략이 지니는 문화적 함의에 대한 명확한 이론적 이해가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논문은 장소마케팅 전략이 도시문화발전 전략으로서 자리매김하는데 필요한 개념과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공간의 문화정치학과 장소마케팅에 대한 문화정치적 관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도시문화발전 전략으로서 장소마케팅의 문화적 의의를 도출하고, 장소마케팅 전략의 개념과 특성을 문화적인 관점에서 재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소마케팅 전략 수립의 과정을 장소 전략과 마케팅 전략의 차원에서 정립하고, 마케팅믹스 요소(O_IPTCR)와 문화정치적 요소(SAUNE 요소)를 도출하여 장소마케팅 전략 수립의 방법론을 체계화하였다.

THE ACTIVITIES OF AMALGAMATED TERRITORIAL COMMUNITIES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 THE EXPERIENCE OF UKRAINE AND THE EU STATES

  • Ridei, Nataliia;Bakhmat, Oleh;Plahtiy, Danylo;Polova, Olena;Holovnia, Yuli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9호
    • /
    • pp.323-331
    • /
    • 2021
  • The relevance of the study implies the need to explain the main determinants of environmental policy, allowing countries to converge on a common working basi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plore ways in which the environmental aspects of EU regions and territories can be shaped to apply to domestic environmental policy. A total of 997 representatives from the Ukrainian UTCs, who are involved in local environmental policy,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ults of the research. A hierarchy of regional environmental policy objectives has been identified. Three key principles of eco-policy development have been distinguished. The means of the innovative approach strategy implementation have been outlined (formation of the regional market of environmental services; organization of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al agencies and market structures;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funds which finance environmental activities; implementation of the "collateral return" system; formation of a system of benefits and loans to enterprises that successfully implement the environmental policy). The means of the prognostic approach implementation strategy to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s environmental policy have been determined (the use of an orderly and successful long-term strategy of economic development of the region; obligatory consideration in the mechanisms strategy aimed at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of the region, interbranch impact of the projects implemented on the region's ecological situ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conomic and geographical peculiarities of the region, the necessary infrastructure, issues of the territorial location of the large enterprises in the region and their impact on the environment). The means of the traditional approach strategy implementation have been outlined (activity programs focused on solution of specific problems, rather than on the implementation of measures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enhancement; nature conservation problems have interbranch, interdepartmental character due to unity of the region's ecosystem; tracking complexity of changing conditions (water basins, woodlands, air-mass transport), regional boundaries generally do not coincide with natural ecosystems boundaries).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providing recommend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certain aspects of Ukrainian UTC's environmental policy.

인천항 크루즈산업 발전을 위한 기본 전략과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asic Strategy and Policy Direction for Incheon Port's Cruise Industry Development)

  • 최종천;허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63-71
    • /
    • 2019
  • 크루즈산업은 관광과 해운을 기반으로 하는 미래형 융합산업으로 글로벌 시장은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 중국을 중심으로 아시아 크루즈 인구의 급증은 글로벌 시장은 물론 우리나라 시장에도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사드(THAAD) 문제로 인해 중국발 크루즈 관광객 입국이 대폭 감소 등의 사태를 겪으면서 시장 다각화의 필요성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인천항은 새로운 크루즈터미널의 개장을 앞두고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발전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국내외 정부계획, 정책보고서 및 연구 자료에 대한 문헌 분석과 함께 선사, 여행사, 관련 기관 등의 전문가들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인천항 크루즈산업의 문제점을 도출한다. 이어 SWOT분석을 통해 발전 기본 전략을 제시하고 정책적 지원 방향을 탐색한다. 향후 중장기 전략과 정책의 보다 폭넓은 연계를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로 연구범위가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브로 서비스(WiBro service) 상용화를 위한 시장개발전략 (A Market Development Strategy for WiBro Service)

  • 김영찬;지경용;김문구;김지연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7권2호
    • /
    • pp.71-92
    • /
    • 2005
  • 성공적인 신제품개발과 이에 따른 시장개발을 위해서는 신제품의 새로운 편익에 대해 소비자가 지각하고 있어야 하며, 이러한 편익이 소비자의 욕구를 해결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시장에 도입되는 신제품의 편익에 대해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할 수 있으나 무엇보다 새로운 가치가 소비자의 입장에서 혜택으로 여겨져야만 성공적으로 시장에 정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기술 중심적으로 설명되고 평가되어 왔던 와이브로 서비스를 소비자의 가치체계를 중심으로 서비스속성을 파악하고, 속성에 대한 부분가치를 추정해 이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부분가치를 기준으로 시장발전단계에 따른 표적고객집단을 선정하고 표적고객의 특징을 규명하는 동시에 적절한 마케팅전략을 제언하고자 한다.

  • PDF

중의학의 발전모형에 대한 연구 -전문화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Development Model of Chinese Traditional Medicin - Centering on the Process of the Professionalization -)

  • 이현지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11-616
    • /
    • 2003
  • Through the whole period of the twentieth century,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has been affected by the political and cultural changes of Chinese society. Before the 1949 Communist Revolution,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was regarded as a dark past which should be cleared off. But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has been reevaluated as a national medicine and spreaded quickly since the 1949 Communist Revolution. Moreover, 'the bare foot doctor' who received short term training appeared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It enhanced the status of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At the same time, it was estimated as a model of the self-reliant development of Third World countries. Bu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was changed again recently. Chinese government has adapted the open-economy policy since the late 1970s. Accordingly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also has been changed. Nowadays it pursues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strategy. This paper inquir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kind of historical changes i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has happened? Second, how much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has accomplished the professionalization? Third, what kind of problems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has met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ization? Finally, why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has adapted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strategy?

마케팅 전략에 따른 리뉴얼 디자인 전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newal design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y)

  • 신홍재;함재룡
    • 디자인학연구
    • /
    • 16호
    • /
    • pp.1-14
    • /
    • 1996
  • 최근 기업에서의 마케팅 전략은 다변화하고 있으며 이런 가운데 신제품 개발 유형이 다양화되고 있다. 그 유형은 신 개념 제품개발, 혁신적 제품개발, 신 브랜드 제품개발, 기존제품 개량, 모델 체인지 개발 등을 들 수 잇다. 여기서 신제품 개발 디자인 프로세스의 과학적 접근방법의 발달로 인해 각 유형별 제품개발에 있어서 디자인 전개방법은 유사하게 진행되지만 유형에 따라 디자인 접근 또는 전략적 측면에서 다각화된 디자인 전개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성숙기에 접어든 기존 상품을 시대적 환경변화에 따라 대처하는 제품개량을 통하여 기존제품에 라이프 사이클을 연장하려면, 기업의 대내외적 환경변화에 부합되는 소비자 요구, 가치관, 기호성향에 대응할 수 있는 개선된 디자인 활용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디자인 전개기법을 활용하여 디자인된 대안이 사용자의 요구, 평가, 검증을 하는데 있어 명확한 디자인을 결정하기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이 문제를 인식하고 시장에서 성공한 기존상품개량에 경영적 마케팅전략을 수용하여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리뉴얼 디자인 전개방법을 제시하고, 대내외부 고객의 요구를 수용하여 디자인 대안의 평가, 검증, 확인을 통한 고객만족을 통해 리뉴얼 디자인 전략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리뉴얼 디자인 전개방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상품의 리뉴얼 디자인 전개과정을 통하여 급변하는 시대적 환경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상품을 개발함과 동시에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는 전략을 수반할 수 있는 리뉴얼 디자인 전개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PDF

특화작목과 기후변화 간 영향 분석을 통한 지역농업 활성화 전략 연구 -과수를 중심으로- (Specialization Strategy for Regional Agricultur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on Specialized Crops and Impact of Climate Change -Focused on Orchard Crops-)

  • 황재희;김현중;이성우
    • 농촌계획
    • /
    • 제18권3호
    • /
    • pp.149-164
    • /
    • 2012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nstruct a rural development strategy from the nexus between spatial changes in specialized crops and suitable cultivation area of the crops. This pape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identify product life cycle of specialized crops in rural areas and estimat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lterations in spatial distribution of the crops. In order to do so, first of all, this study applies multi-level model (Random coefficient model) to estimate the regional coefficient of five orchard crops. It utilizes the data 1995 to 2010 Korea Agricultural Census. Futhermore, it also adopts overlay analysis by ArcGIS to identify the development path of the crops and the relationship with climate change. Based on the results, it suggests a mechanism activating regional agriculture. The findings propose re-searching and relocating specialized regions of the crops. Especially, it proves each rural area can drive the new agricultural strategy to strengthen regional agriculture by estim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of specialized crops and suitable cultivation areas. For instance, shifting specialized crops in particular regions and enriching genetic or species varieties can be primary measures and it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reliable base for income sources in the rural communities. This paper also offers specific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rural development plans in response to crops' life cycle and climate changes.

기업의 해외 도시개발 시장진출을 위한 전략수립에 관한 연구 - IPA 기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stablishing Entry Strategies of Private Engineering Firms in the Overseas Urban Development Market)

  • 송호경;유영수;구본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86-95
    • /
    • 2019
  • 국내 사회간접자본(Social Overhead Capital; SOC)에 대한 예산축소 및 부동산 시장 안정화 정책 등으로 도시개발 경기가 침체되고 있어 국내 건설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건설기업은 해외 도시개발 시장에서 금융조달 및 해외 프로젝트 관리 능력이 우수한 해외 선진 기업들에 비해 열세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국내 기업은 진출 국가의 환경과 수준에 맞는 도시개발 모델을 선정하고, 높은 해외 사업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진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 문헌 분석, FGI를 통해 해외 도시개발 시장 진출 요인을 도출하고, 설문조사 및 IPA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일련의 국내 민간기업 해외 도시개발 시장 진출 전략을 도출하였다.

수출 브랜드 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브랜드 및 도메인 개발 컨설팅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The exploratory study on exporting brand strategy: Focused on the demand survey for brand & domain consulting)

  • 김귀곤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551-560
    • /
    • 2009
  • 최근의 글로벌 경영환경,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 하에서 수출기업들의 브랜드 및 웹 도메인 개발에 관한 의사결정은 매우 중요한 전략적 선택이다. 특히 웹 도메인 개발은 기업의 브랜드 전략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브랜드 개발 시 동시에 개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수출기업의 해외 브랜드 및 웹 도메인 개발 전략에 관한 수요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출브랜드전략의 결정요인을 탐색적으로 고찰하기위하여 실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전략 결정요인으로 수출경쟁력, 시장의 유사성, 환경의 불확실성으로 구분하고 브랜드 전략과의 관계를 회귀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수출기업의 경우에 기대한 바와 같이 수출경쟁력이 높을수록 OEM브랜드 수출비중이 낮고, 환경의 불확실성이 클수록 OEM브랜드 수출비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장의 유사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사브랜드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에도 수출경쟁력이 높은 기업일수록 글로벌브랜드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고 환경의 불확실성이 클 경우에는 로컬브랜드 전략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시장의 유사성은 글로벌브랜드 전략 또는 로컬브랜드 전략과의 유의미한 통계적 관계를 보여주지 못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