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terioration grade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초

Pleomorphic Xanthoastrocytoma with an Intracystic Hemorrhage :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Lee, Dae-Kyu;Cho, Keun-Tae;Im, So-Hyang;Hong, Seung-Ko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2권5호
    • /
    • pp.410-412
    • /
    • 2007
  • Pleomorphic xanthoastrocytoma (PXA) has been considered as a low grade tumor of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Although this tumor often shows cystic component, the hemorrhage within the cyst is extremely rare. The authors report a rare case of cystic PXA with a hemorrhage within the cyst and the mural nodule in the left frontal lobe. A 64-year-old male presented with a week history of the right side hemiparesis. After gross total resection of the tumor, the patient was fully recovered from neurological deficit. It is suggested that this typically benign tumor could be presented with hemorrhage, causing a rapid neurological deterioration. Prompt surgical intervention, especially total removal of the tumor can provide an excellent functional recovery.

Development of 980MPa Grade Galvannealed Advance High Strength Steel Sheets for Automobile

  • Kim, Byoung-Jin;Kim, Young-Hee;Park, Jun-Young;Lee, Young-Soo;Moon, Man-Been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47-51
    • /
    • 2011
  • Main issues in the automotive industry are the reduction of vehicle body weight for energy savings and improvement of crashworthiness for passenger safety. In order to address both these issues, there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application of galvannealed advance high strength steel (GA AHSS) sheets for automobiles. However, GA AHSS sheets have some surface defects such as coating bare spots due to the addition of solid-solution strengthening elements, which result in the deterioration of the galvannealing reactio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galvannealed manufacturing conditions on surface and mechanical properties, resistance spot weldability on a laboratory scale, and GA 980 MPa steel sheets produced by commercial continuous galvannealing line (CGL) were investigated.

홍성 홍주읍성 성벽의 보존상태 및 축성유형과 안정성 고찰 (Conservation Status, Construction Type and Stability Considerations for Fortress Wall in Hongjuupseong (Town Wall) of Hongseong, Korea)

  • 박준형;이찬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3호
    • /
    • pp.4-31
    • /
    • 2018
  • 홍주읍성의 초축 연대는 명확히 알 수 없으나 문종 1년 축조 이후 수십 차례에 걸친 보수와 정비를 거쳤으며, 일제강점기에 일부 성벽이 훼철되면서 오늘날의 형태를 갖게 되었다. 홍성은 지구조적으로 지진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역사지진 기록이 남아 있으며, 1978년과 1979년에 각각 규모 5.0과 4.0의 지진이 발생하여 성벽 일부가 붕괴된 바가 있다. 2010년에는 집중강우에 의해 성벽이 붕괴되기도 하였다. 홍주읍성 성벽은 구간에 따라 다양한 구성암종, 치석형태, 축조방식, 채움재료 등이 적용되었다. 또한 보수과정에서 기존의 성벽을 훼철하지 않고 재사용 가능한 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시대에 따른 특성이 성벽에 수직적으로 반영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홍주읍성의 유형분류는 성벽의 수직적 분포를 기준으로 나누었으며, 축성유형의 수직적 개수에 따라 유형 I, 유형 II, 유형 III으로 구분하였다. 성벽에 사용된 암석은 주로 조립질화강암이나 성벽유형에 따라 암종의 차이가 명확하다. 성벽 하부는 자연석 내지 할석을 사용하여 다양한 암종이 혼재되어 나타나나, 중앙부의 치석한 암석은 대부분 조립질 화강암이다. 보수석재는 담홍색화강암이나 수구지와 조양문의 구성 암종은 성벽과 상이하다. 홍주읍성의 대표적인 손상유형은 배부름, 성돌의 돌출, 기초부 성돌의 유실, 부재의 이격, 균열 및 단열, 기초불안정 및 구조적 변형이다. 성벽에 발생하는 거동의 양과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동 간이계측 및 광파측정을 수행하였다. 수동계측 결과, 성벽의 구조적 변형이 진행되는 구간을 분류할 수 있다. 광파측정 자료와 비교한 결과, 두 모니터링 방법은 상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적인 보존관리 방안으로 두 계측방법은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홍주읍성의 안정화를 위해 계측시스템은 유지, 관리 및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남문지 일대의 계측결과를 종합할 때, 붕괴된 성벽 또한 강우에 의한 거동변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을 것이다. 오랜 기간 변위가 누적된 상태에서 집중강우에 의해 발생한 이상거동에 따라 임계점을 초과하여 붕괴에 이르렀을 개연성이 충분하다. 홍주읍성 성벽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연구결과를 토대로 0등급부터 5등급까지 총 6단계의 관리등급을 제안하였다. 이 관리등급을 적용한 결과, 1등급 501.9m (61.10%), 2등급 29.5m (3.77%), 3등급 10.4m (1.33%), 4등급 241.2m (30.80%)로 나타났다. 4등급 구간은 홍화문 서쪽과 치성의 동쪽에 밀집된 양상으로 나타나며, 상시 모니터링 수행을 통해 위험상황에 대비해야 한다. 6단계로 분류한 관리등급은 전체적인 안정성 검토를 통해 수리와 보수가 수행된다면 다시 0등급으로 회귀하는 윤회적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서는 주기적인 정밀 모니터링을 통한 관리등급의 평가가 필요하다.

남원 신계리 마애여래좌상의 손상도 평가 및 보존처리 (Conservation Treatment and Deterioration Evaluation of the Namwon Singyeri Maaeyeoraejwasang (Rock-Carved Seated Buddha Statue), Korea)

  • 전유근;이명성;이재만;이재진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1-332
    • /
    • 2013
  • 남원 신계리 마애여래좌상은 엽리상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와 하부의 변성도 및 풍화도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손상도 평가 결과, 상대적으로 변성을 많이 받은 불상의 상부는 하부에 비해 물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손상요인 중 생물에 의한 훼손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생물종에 따른 생물량(Chl. a)을 계산한 결과, 선태류는 $2.3{\mu}g/cm^2$, 엽상지의류는 $1.1{\mu}g/cm^2$, 고착지의류는 $0.2{\mu}g/cm^2$로 측정되어 생물량이 높은 순서대로 보존처리를 실시한다면 효과적일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손상도 평가 결과를 토대로 예비세정, 건식세정, 습식세정 순으로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신계리 마애여래좌상의 장기적인 보존을 위해서는 향후 보존처리시 강화처리와 함께 주변환경 정비를 실시해야 할 것이다.

2년 양생된 Fly Ash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 특성 평가 (Evaluation of Chloride Diffusion Characteristics in Concrete with Fly Ash Cured for 2 Years)

  • 윤용식;황상현;권성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8-15
    • /
    • 2019
  • 콘크리트 구조물이 극심한 열화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열화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열화 현상으로는 염해에 의한 철근부식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수준의 물-결합재 비(0.37, 0.42, 0.47) 및 2가지 수준의 플라이애시 치환율(0%, 30%)을 고려하여 재령 2년 콘크리트 시편을 대상으로 염해 저항 성능을 평가하였다. Tang's method에 준하여 촉진 염화물 확산계수를, ASTM C 1202에 준하여 통과 전하량을, KS F 2405에 준하여 압축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기존의 제안식들과 촉진 염화물 확산계수 결과를 활용하여 각 배합의 시간의존성 확산 특성을 분석하였다. 플라이애시 혼입 배합은 OPC 배합 대비 뛰어난 내구성능을 나타내는데, 통과 전하량 평가기준에 따르면 재령 49일부터 "Moderate" 등급 이하에 포함되는 반면 OPC 배합은 재령 1년에서야 모든 물-결합재 비에서 "Moderate" 등급 이하에 포함되었다. 각 배합의 시간의존성지수를 도출한 결과 모든 배합에서 물-결합 재비가 증가함에 따라 시간의존성지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플라이애시 혼입 배합에서 OPC 배합 대비 1.57배~2.74배의 시간의존성지수가 평가되었다. 이는 시간의존성지수가 확산계수가 감소하는 기울기를 나타내기 때문이며, 플라이애시의 포졸란 반응에 의해 FA 배합에서 OPC 배합 대비 높은 시간의존성지수를 나타내었다.

청신경초종에 대한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 (Gamma-Knife Radiosurgery for Vestibular Schwannoma)

  • 팽성화;김무성;심홍보;정영균;이선일;정용태;김수천;심재홍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1호
    • /
    • pp.1308-1313
    • /
    • 2001
  • Object : The goals of radiosurgery include preservation of neurological function and prevention of tumor growth. We document the results of gamma-knife radio-surgery for vestibular schwannoma. Method & Object : Eighty-two patients underwent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an vestibular schwannoma from October, 1994 to December, 2000. Sixty-five of thes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radiological and clinical evaluation. As pregamma-knife modality, surgical resection were done in 23 patients,and V-P shunt in 2 patients. Initial symptoms were headache(n=45), dizziness(n=16), tinnitus(n=17). While normal facial function(House-Brackmann grade 1) was present in 48 patients(73.8%), other patients showed grade 2 function in 8, grade 3 function in 7,and grade 4 function in 2. The Gardner/Robertson scale was used to code hearing function. Male to female ratio was 1:3. Mean tumor volume was $7.98cm^3$. Mean dose delivered to the tumor margin was 14.2Gy,and mean maximal dose was 28.3Gy. Results : Mean follow-up duration of 19.9 months. Thirty-five showed decrease(53.8%) in size, 19 patients(29.2%) stationary, 3(4.6%) initial decrease follow up increase, 5(7.6%) initial increase follow up decrease,and 59 patients (90.8%) were well controlled. Two patients experienced transient facial neuropathy, one transient trigeminal neuropathy, and one transient hearing deterioration. After gamma-knife radiosurgery, ventriculoperitoneal shunt was done in 4 patients. Conclusions : Gamma-knife radiosurgery can be used to treat postoperative residual tumors as well as in patients with concomitant medical problems in patients with preserved hearing function. Gamma-knife radiosurgery is safe and effective method to treat small, medium sized(less than 3cm in extracanalicular diameter), intracanalicular vestibular schwannoma, associated with low rate of cranial neuropathy.

  • PDF

FA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온도 영향을 고려한 강도 및 염화물 확산성 평가 (Evaluation of Strength and Chloride Diffusion in Concrete with FA Considering Temperature Effect)

  • 양근혁;권성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62-69
    • /
    • 2023
  • UAE 지역에 시공되는 원전구조물의 노출환경에서 대기 중의 높은 황산염 이온 및 해안의 높은 염화물 이온에 의한 열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평균 38 ℃ 이상의 높은 온도에 따른 확산성과 강도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두가지 강도 등급(40 MPa 및 27 MPa) 및 두 가지 양생/확산 온도 조건(20 ℃ 및 50 ℃)을 고려하였다. 초기 양생 온도가 높은 경우, 7일 전 초기재령에서는 압축강도가 고온 양생에서 크게 발현하였으나, 28일 재령에서는 20 ℃ 양생 온도 조건에서 압축강도가 약간 증가하였다. 염화물 확산의 경우, 강도 평가결과와 다르게 28일 재령에서 초기 양생 온도가 높은 경우, 40 MPa 및 27 MPa 에서 모두 확산계수가 감소하였다. 91일 재령의 경우, 온도의 증가에 따른 확산성의 증가와 재령 효과에 의한 확산성의 감소가 동시에 발생하였다. 재령 28일에 20 ℃로 양생 및 확산 실험을 한 결과에 비하여, 재령 91일에 50 ℃로 양생 및 확산 실험을 한 경우, 재령의 증가에 따라 40 MPa에서는 76.2 % 수준으로, 27 MPa 에서는 85.4 % 수준으로 확산계수가 감소하였다.

소백산국립공원 등산로의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in Sobaeksan National Park)

  • 권태호;오구균;이준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8-179
    • /
    • 1993
  • 소백산국립공원 등산로 및 주변환경의 훼손에 대한 이용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3개의 주요 등산로를 대상으로 1992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등산로폭과 나지노출폭은 능선부, 희방, 비로등산로의 순이었으며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었다. 등산로의 물매는 다른 국립 공원 등산로에 비해 가파른 편이었으나 최대깊이는 그리 크지 않았다. 총 11km 105개 조사지점에서 관찰된 훼손형태는 종침식, 암석노출, 분기 등의 비율이 높았고 훼손된 지점의 등산로상태는 건전한 지점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약 4.2km구간의 능선부등산로는 훼손이 심화되고 있으며 환경피해도 4등급 이상의 면적이 10,335$m^2$나 발생하고 있었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주연부의 상층수관의 우점수종은 희방등산로에서 신갈나무, 고로쇠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로, 비로등산로에서 소나무, 신갈나무$\longrightarrow$소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로 바뀌었으며, 이용강도의 차이가 있는 양등산로의 하층수종을 비교할 때 철쭉꽃, 병꽃나무, 호랑버들, 산딸기나무등이 이용영향에 대한 내성이 크고 복분자딸기. 산앵도나무는 내성이 약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능선부 등산로에서는 철쭉꽃, 병꽃나무, 산딸기나무, 노린재나무 등이 경쟁력이 큰 수종으로 나타났다.

  • PDF

서산마애삼존불상의 정밀 손상도 평가와 보존환경 분석 (Detailed Deterioration Evaluation and Analysis of Conservation Environment for the Seosanmaaesamjonbulsang (Rock-carved Triad Buddha in Seosan), Korea)

  • 이선명;이찬희;김지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7-294
    • /
    • 2010
  • 서산마애삼존불상(국보 제84호)을 이루는 암석은 담회색을 띠는 중립질 흑운모 화강암이며 부분적으로 페그마타이트 및 석영 세맥이 관찰된다. 삼존불이 조각된 암반은 전면에 걸쳐 불규칙적인 불연속면의 발달로 크기와 모양이 다양한 암괴를 형성하고 있으며, 암반 사면의 안정성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훼손도 진단 결과, 수직 및 수평 절리가 밀집된 부분을 중심으로 물리적 풍화와 표면변색에 의해 훼손이 가중된 상태를 보인다. 이를 삼존불의 전체 면적대비 훼손율 42.7%에 비교했을 때, 물리적 풍화는 9.6%, 변색은 33.1%로 변색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초음파 측정 결과, 삼존불은 전반적으로 심한 풍화단계(HW)에 있으며 삼존불에 발달하고 있는 불규칙한 절리계를 따라 약 1,000m/s의 저속도대가 분포하여 구성 암석이 약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삼존불 보호각 내외부의 상대습도는 사계절 모두 평균 70% 이상을 기록하며, 95% 이상의 고습도 영역에서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이 고습도 환경은 강수와 함께 암석 표면에 결로를 발생시켜 수분을 공급하며 수분의 침투와 함수율이 높은 균열 및 절리대를 따라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풍화를 진전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삼존불의 과학적 보존을 위해 수분문제를 비롯하여 지속적인 보존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환경제어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갑상선 절제술 후 발생하는 주관적인 음성 기능 저하의 위험 요인에 대한 연구 (Risk Factors of Deteriorated Voice Quality in Patients Who Underwent Thyroidectomy)

  • 이형신;김성원;박찬우;김창회;김서빈;임수진;이강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11
    • /
    • 2016
  • Background and Objectives: Quality of voice may be deteriorated after thyroidectomy without any injury to recurrent laryngeal nerve. While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showing the change of acoustic parameters after thyroidectomy, factors related to deteriorated voice quality have been rarely studies. In this study, we sought to analyze the factors associated to deteriorated voice quality after thyroidectomy. Materials and Methods: We made a retrospective review of 35 patients who underwent thyroidectomy for papillary thyroid carcinoma. Voice analysis including acoustic analysis, voice handicap index 10 (VHI-10), and GRBAS score was conducted before and 3 months after surgery. Pati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crease in VHI-10 after surgery ; group A (${\Delta}VHI<7$) and group B (${\Delta}VHI{\geq}7$). Clinicopathologic factors associated to patients of group B were analyzed and changes of parameters from acoustic analysis in each group were evaluated. Results : Patients of group B were associated with age ${\geq}45$ years (p=0.025) and showed borderline association to total thyroidectomy (p=0.075) and tumor size ${\geq}1cm$ (p=0.086). Multivariat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ose with age ${\geq}45$ years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to deteriorated quality of voice (p=0.014, HR=18.38). Patients of group B were also associated to significant deterioration of high pitch (p<0.001) and Grade score with borderline significance (p=0.054). Conclusion: Patients older than 45 years may have higher risk of deterioration of quality of voice after thyroidectomy based on increase of VHI-10 score (${\Delta}VHI{\geq}7$). Association with deterioration of high pitch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s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