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 Phase VE Team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설계VE팀의 역량평가 체크리스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y Evaluation Checklist of Design Phase VE Team)

  • 서하나;이학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154-162
    • /
    • 2008
  • 건설교통부에서는 2006년부터 "설계의경제성등검토"를 총공사비 100억원 이상으로 확대 시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설공사의 예산낭비와 비효율적인 요인을 사전제거함에 따라 설계VE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제도적 뒷받침이나 기술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설계VE는 수행과정에서 다수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어 설계VE도입에 대한효과가 극대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팀을 구성하여 설계VE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설계VE팀의 역량을 강화 할 수 있는 역량평가 체크리스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계VE팀의 특성에 따른 29개의 역량인자를 도출하였으며 팀 지식, 팀워크 스킬, 팀 태도로 구분하였다. 중요도에 따라 설계VE팀의 역량평가 항목으로 도출하고, 각평가항목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를 정량화하여 설계VE팀의 역량평가에 객관적 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역량평가 방안 제시하였다.

설계VE팀의 역량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y Evaluation Item of Design Phase VE Team)

  • 서하나;이학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97-800
    • /
    • 2007
  • 건설 프로젝트에서의 VE는 예산낭비와 비효율적 요인을 서전제거하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06년부터 건설교통부에서는 "설계의경제성등검토"를 총공사비 100억원 이상으로 확대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적 뒷받침이나 기술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설계VE는 수행과정에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어 효과가 극대화되지 못하고 있다. 효과적인 설계VE팀 구성으로 설계VE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설계VE팀의 역량평가에 대한 체크리스트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계VE팀의 역량평가 체크리스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역량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가중치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계VE팀의 특성에 따른 역량인자를 도출하여 팀 지식, 팀워크스킬, 팀 태도로 구별하여 구성하였다. 도출된 역량인자의 중요도에 대해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그 결과로 도출된 제 1, 2, 3계층의 역량 평가항목에 대하여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기법을 활용한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 PDF

ASIT 기법을 활용한 설계VE 아이디어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for Idea from the design VE using ASIT)

  • 이건;고성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23-1028
    • /
    • 2007
  • 건설 분야에 있어서 설계VE의 아이디어 발상 단계는 전체적인 VE의 수행성과의 수준을 가늠하는 중요한 단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서 활�E되고 있는 브레인스토밍, 델파이 등을 비롯한 기법들은 대부분 아이디어 창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우수한 아이디어를 제안하는데 비효율적인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고,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각각의 전문분야를 뛰어넘지 못하는 일종의 자기분야의 고정관념을 고수하고 있어, 기술적인 해결책보다는 팀원의 경험이나 직관에 의존하여 대안이 제시되는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현행 설계VE 아이디어 창출 진행상의 문제점 및 개선요구사항에 대해 분석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체계적인 사고기법을 유지시켜 효율적인 아이디어 도출에 매우 유리한 구조를 갖고 있는 ASIT기법 적용에 따른 효율적인 설계VE 아이디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VET/CM 주도형 시공VE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for Building VET/CM Leading Construction VE Process)

  • 송현장;차용운;이현종;현창택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33-234
    • /
    • 2016
  • Design phase VE that is mandatory conducted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 more than 10 billion won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has been activated in domestic application case of Value Engineering. But construction VE has been applied in specific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duce problems of poor performed construction VE through review of precedent researches and depth interviews of expert group. As one of the improvements this study suggest that a building plan which is VE process leading VET/CM.

  • PDF

VE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모바일 기반의 설계VE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Mobile-Based Design Value Engineering(VE) Supporting System for VE Process Improvement)

  • 송창영;양병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33-443
    • /
    • 2021
  • 설계VE는 정확한 기능분석 및 대안창출을 통해 최상의 가치를 창출하는 조직적 노력으로써, 설계VE 수행절차에 따라 해당분야 전문가집단이 모여 VE워크샵을 반드시 특정 장소에서 일정기간 내에 수행해야 한다. 설계 VE는 준비단계, 분석단계, 실행단계로 구성하고, 각 단계별로 다양한 운용기법과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기능평가, 성능평가, 아이디어평가 등을 정량적인 협의를 통해 이끌어낸다. VE팀원들은 약 3일~5일간 실시되는 워크샵 기간을 정하고 특정 장소를 지정하여 VE검토대상에 대한 가치창출의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VE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최상의 가치를 창출해야 하는 모든 과정을 특정한 일정 이내에 한정된 장소에서 해결하는 것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 VE 워크샵의 경우 설계VE 필요성을 간과하여 워크샵을 단기간 내에 진행하고 있어서, VE팀원은 제한된 시간 내에 모든 설계VE 프로세스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설계VE 지원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VE팀원의 효율적인 설계VE 업무를 지원하도록 모바일 환경기반의 설계VE 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설계VE 지원 체계는 VE 워크샵 이전부터 설계도서 및 VE관련 자료를 선검토 하고, 설계VE 워크샵 일정에서 결정한 기능평가 또는 아이디어 평가결과를 워크샵 이후에도 편리하게 재수정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통합 기능계통도와 계층적 컨셉모듈을 활용한 기능분석단계와 창조단계의 연계성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ollaboration of the Function Analysis and Idea Creation Phase with Function Integration FAST(FI FAST) and Hierarchical Value Engineering Concept Modules(HVECM))

  • 인치성;남궁인일;현창택;구교진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55-360
    • /
    • 2006
  • 기능분석과 아이디어 창조과정수행은 동일한 VE job Plan을 적용하여 제조분야에서 단위 부위 및 요소별로 실시하고 있으며 건설 분야에서는 프로젝트의 프로세스, 규모, 공간, 위치, 단위요소, 요구성능 등 복합적이며 종합적인 기능을 가진 구조물에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능분석단계와 후속단계인 창조단계와의 비연속성 등의 문제가 있으나 이를 대체할 방법론이 아직 명확히 개발되어 있지 않아 건설에서 적용할 수 있는 고유의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VE워크샵 실무과정에서의 기능분석의 부적절한 적용 및 수행 VE적용의 부적합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통합 기능계동도(FI FAST)와 계층적 컨셉모듈(HVECM)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선정된 1, 2차의 기능정의 Champion을 바탕으로 아이디어 창출이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기 수행되었던 사례에 대하여 본 모델에 의한 방법을 적용 ${\cdot}$ 검증함으로써 건설 분야에서 기능분석과 창조과정에서의 통합적이며 특정적인VE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 동안 국내에 적용된 VE수행 자료를 동해 기능분석과 아이디어 창조과정에서의 연계성을 검증하고, 기능분석단계에서의 복합기능분석과 HVECM의 활용모델에 대한 적합성 및 신뢰성을 검증, 성공적인 건설VE적용의 수행을 위한 발판이 되고자 한다.

  • PDF

설계VE Idea 연계를 위한 성능기반 건물 부위별 기능분류체계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 Breakdown Structure of Building Element based on Performance for Idea Connection in Design VE)

  • 이인재;현창택;손명진;김대현;김윤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12-22
    • /
    • 2011
  • 건설 분야의 환경변화에 따라 다수의 건설 프로젝트에서 설계경제성 등 검토(설계VE)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수행되었던 VE 기능분석의 경우 체계적인 가능분석 방법론을 통한 아이디어 창출이라기보다는 VE 팀원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시설물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경향이 있다. 그 원인으로는 기존에 수행된 가능분석 자료의 재인용, 시설특성별 구체성이 결여된 포괄적인 기능분석과 추상적인 기능분석 등이 있다. 특히 가능에 요구되는 성능을 명확히 분석 및 정의하지 않음에 따라 건물 부위별로 요구되는 성능과 기능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설계VE 워크숍 제안사례를 토대로 가능과 아이디어 연계현황 및 부위별 아이디어 분류현황 등을 분석하고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VE 활동의 가장 핵심단계인 기능분석단계 중 기능정의/분류 가능정리 과정에서, 시설물 부위별 기능과 함께 요구성능을 반영하여, 기능과 아이디어의 논리적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성능기반 건물 부위별 기능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설계 전 단계에서의 CM 적용 사례 - 영주 신 제조창 CM 사례를 중심으로 - (The Case of CM as Applied to the Pre Design Phase - Focused on the Case of YongJu New Tobacco Manufacturing Plant -)

  • 박용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19-26
    • /
    • 2003
  • 담배 제조공장의 노후화에 직면하여 경쟁력 확보, 현대화, 합리화, 환경친화 둥을 실현하고자 신제조창 사업이 구상되었으며, 이러한 목표 실현을 위해 사업 초기단계의 적절한 계획 및 검토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초기단계에 CM을 도입하게 되었다. 건물, 대지 등에 대한 타당성 검토, 공장건설 기본계획 수립 및 제조시설의 선정, 건설공사 발주용 입찰안내서 작성 등의 설계 전 업무부터 준공 후 유지관리까지 사업 전반에 걸쳐 CM업무를 수행하였다. 영주 신 제조창 CM은 다른 턴키프로젝트와는 달리 기본설계 이전에 분야별 전문성이 확보된 CM단이 조직되어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례프로젝트의 설계 전 단계에서 실제 수행된 CM업무들을 분석${\cdot}$평가한다. 이를 통해 설계 전 단계 CM업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향후 CM 투입 시점이 설계 전 단계로 변화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 PDF

공공부문 시공책임형 CM 사업의 시공이전단계 성과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Pre-Construction Phase of CM at Risk Project in Public Sector)

  • 박보성;김옥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97-105
    • /
    • 2021
  • 발주제도 혁신을 통한 국내 건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시작된 시공책임형 CM 사업이 공공부문에서 시범사업의 형태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정식 발주제도로 나아가기 위한 관련 법령 제정까지는 시간이 필요해 보이며, 사업에 대한 성과분석도 아직까지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4개의 시범사업의 사업이전단계사업관리(Pre-Construction Service)에 대한 성과분석을 통해 사업의 효과와 신뢰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Team Building, 설계도서 정합성, 공기검토, VE, BIM 활용 등 총 5개의 분야에 대해 성과분석을 진행했으며, 참여자 면담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이루어질 발주제도 법제화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