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th of ICT usag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가족적 맥락에서의 ICT 이용에 관한 국가 간 비교 연구 (A Study of Cross-Country Comparison of ICT Usage in Family Context)

  • ;이보한;나종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277-29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국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가족적 맥락에서의 ICT 이용을 비교함으로써 국가 문화적 맥락이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 중국 미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가족을 위한 ICT 이용에 대한 국가별 소비자의 태도를 확인하고, 가족적 차원에서 이를 얼마나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각국의 소비자가 가족생활에서의 ICT 이용 행태에 따라 어떻게 유형화될 수 있는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 SPSS 22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요인분석,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중국 미국 소비자의 ICT 보유 현황은 전 세계적 흐름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는 반면, 세부 항목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가족과 관련한 이용 역시 서로 유사한 측면이 발견되었으나, 국가에 따라 그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유형화 결과, 세 국가에서 동일한 유형이 발견되었지만 그 구성 비율에 있어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가별 ICT 소비자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 사회 문화적 맥락의 중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ICT 활용과 서비스산업 일자리창출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CT Usage and Job Creation in Service Industries)

  • 김현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1-5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eation and ICT usage in service industries. This research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job creation i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for the country. With technology innovation and system integration, manufacturing industries do not create enough employment, therefore, the society relies on service industries for creating job opportunities. Until now, due to limitations, analysis of job creation in service industries through ICT usage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depth. Thus, development of an effective ICT support policy was impossible. In this research, we used seven methods to investigat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ICT usage level and job creation. A rule of large numbers has been applied to reach con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the government can focus its investment on service industries where job creation rate is the highest. We can expect both reinforcement in competitiveness of our service industry and continuous creation in employment, eventually leading to a virtuous cycle.

In-depth Understanding of STEM Information Needs using FGI

  • Park, Min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280-284
    • /
    • 2020
  • In the rapidly changing science and technology environmen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users of STEM information is an essential factor in designing a user-centered information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in-depth the behaviors and needs of users who use STEM information. In this study, the needs of users for STEM information and STEM information sites are dealt with in depth using the FGI qualitative method. In addition, it includes the analysis results of grouping of similar sites according to various aspects of use of STEM information sites. As a result of grouping similar sites based on awareness and level of use,, they were grouped by domestic-international, paid-free, integrated-specific fields. As a result of grouping similar sit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they were grouped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pers, research reports, and patents. As a result of grouping similar sites according to usage attributes, they were grouped by diversity, reliability, and specialization. As for the positions of similar sites perceived by users, Science Direct and PubMed showed high specialization and high quality, Google Scholar showed integration and popularity, and RISS showed four attributes evenly. Suggestions for information system design are discussed.

스마트폰 사용행태 분석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및 사용의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 and Intention of the Health Care Application in the Analysis of Smartphone Usage Behavior)

  • 양재민;현병환;옥준우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4호
    • /
    • pp.303-315
    • /
    • 2020
  • ICT의 발전으로 모바일과 헬스케어의 융합을 통해 건강 관리와 관리 효율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가 확산되고 있으나 소비자의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수용과 불균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소비자 행동과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과 수용의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미흡한상황이다.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스마트폰 사용시 바른자세를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자각 여부와 그로인한 위험성 인지와 해결하고 있는 방법들을 알아보고,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수용의도 및 기능과 가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BIO 2018 in Boston' 전시회에 참가 및 참관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5일간 1:1심층 설문 작성한 자료를 실제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표본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스피어만 상관분석, 카이제곱검정, 일원분산분석, 정확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바르지 못한 자세를 자각 할수록 위험성 인지와 문제해결 행동의 의지도 높다. 둘째, 헬스케어 앱의 기능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과 함께 건강관리와 헬스케어 앱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사용자 행동변화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 또는 기능구현에 포커스를 맞춰야한다. 넷째, 시각적으로 동기부여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고 기능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향후 효율적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제공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팬데믹 전후 공공자전거의 마이크로 모빌리티 패턴 비교: 서울시 사례 연구 (Comparison of Micro Mobility Patterns of Public Bicycles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A Case Study in Seoul)

  • 조재희;백가은;서일정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35-244
    • /
    • 2022
  •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현상이 사람들의 이동성에 어떤 변화를 일으켰는지 살펴보기 위해 서울시 공공자전거 대여이력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2019년과 2021년 데이터를 코로나 이전과 이후로 구분해 비교·분석하였다. 공공데이터 포털사이트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데이터마트를 만들었다. 주행방향유형 차원과 대여소유형 차원을 추가하였고, 파생변수(대당 회전율과 이용속도)를 생성하여 두 기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코로나 이전과 이후 평균 이용시간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평균 이용거리와 평균 이용속도는 감소하였다. 생활 리듬이 다소 느려진 현상이 따릉이 이동성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평일의 경우 코로나 이전에도 출·퇴근 시간대에 가장 많은 임대가 일어났으나, 코로나 이후에 급증하였다. 감염을 염려하기 시작한 사람들이 마이크로 모빌리티 수단으로 마을버스보다 따릉이를 선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제안된 데이터마트 기반 시각화 및 분석 결과는 공공자전거 운영과 정책 개발에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트위터,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 데이터와 공공자전거 데이터를 병합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자전거를 이용한 사람이 여러 장소에서 보인 행동 패턴 등을 다양하게 살펴본다면, 관련 연구의 가치가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