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opulation Area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17초

쪽방밀집지역의 주거환경과 주민들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GIS 활용 연구 (GIS-based Study on Residential and Neighboring Environment and Residents' Social Exclusion in Slum Area)

  • 김동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209-225
    • /
    • 2017
  • 대전시 쪽방밀집지역의 주거환경 문제점 및 주거환경이 주민들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GIS(지리정보시스템)기반 커뮤니티매핑 및 주민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주민들의 지리정보 및 기타 속성을 지도화한 결과, 여성과 고령자가 중심지역에 밀집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2009년과 2016년의 자료비교를 통해 빈곤밀집지역이 다소 분산되는 경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이 지역의 실내외 모습을 담은 252장의 사진을 대상으로 의미단위별 유목화, 범주화 작업을 실시, 주거환경문제를 미관-위생, 협소-주택기능미비, 안전-사생활노출, 낙인의 4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사진자료를 통한 커뮤니티매핑실시 결과 이 지역이 4곳의 구역으로 구분되며 주택형태, 주거형성의 역사, 비빈곤지역과의 접촉면, 폐쇄와 개방 등의 특징으로 주거문제가 달라진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 주민대상 설문조사를 실시, 구역별로 일자리참가여부, 이웃만족도, 낙인, 사회적 배제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 결과, 주거만족도가 사회적 배제에 가장 큰 요인임이 드러났다. GIS기반의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이 지역에 대한 주거환경 개선에 있어서 구체적 접근과 문제별 대응이 이루어질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우리나라 한계촌락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고흥군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arginal Village : The Case of Goheung-gun in Jeollanamdo)

  • 정원기;안영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15-528
    • /
    • 2016
  •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이촌향도형 인구이동으로 농촌은 큰 변화를 겪었다. 최근 귀농 및 귀촌으로 인하여 일부 농촌 지역의 인구가 부분적으로 증가하고 있기도 하나, 농촌의 인구감소는 지속 되고 있으며, 인구 고령화도 심화되고 있다. 농촌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의 심화는 광범위한 농촌지역에서 인구 과소화는 물론이고 지역 공동체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기도 어려운 '한계촌락'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한걸음 더 나아가 소멸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전라남도 고흥군을 사례로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한계촌락의 구조와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먼저 인구 과소화와 한계촌락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고 한계촌락의 개념을 살펴보고, 인구 자료를 활용하여 전남 시군별 인구 변화와 고령화를 기초로 연구 지역을 선정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는 한계촌락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례지역 농촌 마을의 인구 실태와 고령화, 소득원 및 토지이용, 공동체 활동실태 그리고 주민들의 마을에 대한 인식 등을 고찰하였다.

  • PDF

농촌마을 정주환경분석을 통한 과소마을 임계규모 결정지표 개발 (Development of the Marginal Scale of Rural Over-Depopulated Village by Analysing the Rural Residential Conditions)

  • 배연정;이지민;서교;이정재
    • 농촌계획
    • /
    • 제19권1호
    • /
    • pp.109-122
    • /
    • 2013
  • The rapid rural urban migration and aging has generated an over-depopulation problems in rural areas since the 1980s.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structs the marginal size of rural over-depopulated villag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idential disparities such as farmer's ratio, basic life service accessibility, and levels of social and economic factors for each village community. This marginal scale could support evaluating diverse rural policies, which have been planned to apply to the rural development programs at the village level. The major challenges for over-depopulated villages are the lack of basic facilities, production infrastructures and inactive communities in the village. Therefore,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rural residential disparities according to rural village scale can provide the criteria for rural over-depopulated villages. We utilized Korea Agricultural Survey Data(2010) including specific residential condition of village level. The present study adopt multinomial-logit model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different village scales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to separate the direct effect by the village scale factor from the endowment effects by regional or area characteristics, and residual effect by unknown factors.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 minimum scale of a rural over-depopulated village was 40 and 60 houses for the respective conditions of farmer's ratios less than 50% and greater than 75%. It was conclud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at threshold scale could support evaluating the diverse rural policies, which have been planned to apply to the rural development programs at the village level.

대전광역시 양봉농가의 꿀벌질병 감염률 조사 (Prevalence of honeybee (Apis mellifera) disease in Daejeon)

  • 김영주;김종호;오윤희;이상준;송선경;정은영;이상준;이석주;문병천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53-258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honey bee (Apis mellifera) disease in Daejeon. From May to September in 2014, 63 samples were collected from 63 apiculture farms in the regions and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conducted. A total of 11 infectious pathogens, including 6 virus, 2 bacteria, 2 fungi, and 1 parasite, were investigated in honeybee colonies suffering from symptom of sudden collapse, depopulation or paralysis. The infectious pathogens and infection rates among 63 honeybee colonies detected were as follows: sacbrood virus (12.7%), chronic bee paralysis virus (1.6%), stonebrood (11.1%), American foulbrood (19.0%), European foulbrood (6.3%), respectively. The result indicate that foul-brood was most prevalent disease in apiculture farms in Daejeon area.

사회인구통계 및 상수도시설 특성을 고려한 소블록 단위 물 수요예측 연구 (Water demand forecasting at the DMA level considering sociodemographic and waterworks characteristics)

  • 진샘물;최두용;김경필;구자용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363-373
    • /
    • 2023
  • Numerous studies have established a correlation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water usage, identifying population as a primary independent variable in mid- to long-term demand forecasting. Recent dramatic sociodemographic changes, including urban concentration-rural depopulation, low birth rates-aging population, and the ri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re expected to impact water demand and supply patterns. This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operational and managerial changes in existing water supply systems. Whil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regularly surveyed, the conducted surveys use aggregate units that do not align with the actual system. Consequently, many water demand forecasts have been conducted at the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without adequately considering the water supply system. This study presents an upward water demand forecasting model that accurately reflects real water facilities and consumers. The model comprises three key steps. Firstly, Statistics Korea's SGIS (Statistical Geological Information System) data was reorganized at the DMA level. Secondly, DMAs were classified using the SOM (Self-Organizing Map) algorithm to consider differences in water facilities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Lastly, water demand forecasting employed the PCR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method to address multicollinearity and overfitting issues.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is model was conducted for DMAs classified as rural areas due to the insufficient number of DMAs. The estim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exceeded 0.9, and the MAPE remained within approximately 10% for the test dataset. This method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reorganization plans, such a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existing facilities.

2SFCA를 활용한 노인과 소아청소년에 대한 병원 접근성 분석: 강원도 춘천시를 사례로 (Measuring Spatial Accessibility to the Hospitals for Infants, Children, Adolescents, and Elderly Population Using 2SFCA: A Case Study of Chuncheon-si, Gangwon-do)

  • 정난주;강전영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4권1호
    • /
    • pp.49-61
    • /
    • 2024
  • 현재 우리나라는 전체 인구 감소와 더불어 수도권 집중 현상과 지역개발정책의 불균형으로 인한 지방 소멸이 한국 사회의 주요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인구 피라미드의 형태가 급변하는 데에 반해 주민의 생활이나 도시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물리적 요소인 기반 시설은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종합의료시설은 국민의 생활 편익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지역적으로 유연한 대처와 시설 활용 계획이 요구된다. 사회적 약자인 노인과 소아청소년의 의료 공급 부족 문제는 인구 고령화, 저출산과 맞물려 국가 사회적 차원의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인구감소 지역 중 하나인 강원도의 의료 서비스 공급의 거점이 될 잠재력이 있는 춘천시 내 의료 접근성과 그 격차를 분석하고 의료취약지역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시의 의료 공급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2SFCA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2SFCA는 수요량과 공급량을 위치로서 반영한다는 점에서 환자와 의료진의 공간 접근성을 파악하는 의료연구에 적합하므로 병원의 추가적 배치를 결정하는 과정에 활용할 수 있다. 2SFCA 결과로 국지적 공간 자기상관을 판단할 수 있는 이변량 LISA 분석(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을 통해 환자 수요와 병원 및 전문의 공급을 고려한 춘천시 의료취약지도를 도출하였다. 공간적 불평등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최종적으로는 로렌츠 곡선에 기초한 춘천시 의료 접근성에 대해 지니계수를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와 의료 취약지 선정에 기반하여 춘천 지역에서 공간 입지 접근성을 고려한 노인과 소아청소년에 대한 병원 추가 신설의 구체적 위치와 전문의 추가 배치 지역을 모색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청년농업인 유형화 및 결정요인 분석: 전남 무안군 청년농업인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ypes and Determinants of Young Farmers: Focusing on Young Farmers in Muan-gun, Jeollanam-do)

  • 이향미;김종하
    • 토지주택연구
    • /
    • 제15권2호
    • /
    • pp.107-124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소멸 대응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전남 무안군을 연구 표집지역으로 선정하고, 무안군 청년농업인 95명을 대상으로 영농실태와 애로사항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역 맞춤형 청년농업인 육성 및 지원 정책 또는 사업을 발굴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해 무안군 청년농업인을 유형화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직까지 무안군의 청년농업인 지원 관련한 조례(법), 독창적인 사업은 없다. 둘째, 무안군 청년농업인의 농지 승계 비율은 41.1%로 전국 청년농업인 43.7%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청년농업인의 약 40% 정도는 가장 중요한 영농기반인 농지를 승계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셋째, 영농경력이 쌓인 청년농업인에게 지역생활 여건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어려움이 강화되고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총 21개의 변수를 활용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통인자 7개가 선정되었고, 이를 활용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무안군 청년농업인은 총 3개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그리고 다항로짓 분석결과, 청년농업인 유형화를 위한 지표로는 경작 면적, 영농경력, 스마트팜 수요, 농가소득, 영농형태(쌀 재배 여부) 등을 고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청년농업인의 유입을 유도하고 농촌지역 소멸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역의 정주여건과 함께 농지 등의 영농기반에 대한 진입장벽을 최소화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