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ypes and Determinants of Young Farmers: Focusing on Young Farmers in Muan-gun, Jeollanam-do

청년농업인 유형화 및 결정요인 분석: 전남 무안군 청년농업인 중심으로

  • Hyangmi Yi ;
  • Jongha Kim
  • 이향미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 김종하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Received : 2024.03.05
  • Accepted : 2024.05.23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Based on Muan-gun, Jeollanam-do, this study explores how to mitigate the disappearance of rual areas. The study surveyed 95 young farmers in Muan-gun to assess their farming practices and the challenges they face. We further employ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classify young farmers in Muan-gun, facilitating the identification of tailored policies or initiatives aimed at fostering and supporting young farme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an County does not have any ordinances or original projects specifically designed to support young farmers. Second, the succession rate of farmland among young farmers in Muan County is 41.1%, which is comparable to the national rate of 43.7%. This indicates that approximately 40% of young farmers in Korea have inherited farmland, a critical foundation for agricultural activities. Third, despite accumulating farming experience, young farmers have not seen any improvement in local living conditions, and rather their difficulties have intensified. Fourth, this study conducted a factor analysis using 21 variables, resulting in the selection of seven common factors for cluster analysis. Consequently, young farmers in Muan County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The multinomial logit analysis revealed that the typology of young farmers is influenced by indicators such as cultivated area, farming experience, demand for smart farms, farm income, and farming type (rice cultivation or other). Therefore, to attract young farmers and prevent the decline of rural areas, policy efforts should focus on minimizing entry barriers to farming infrastructure, such as access to farmland, and improving local settlement conditions.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소멸 대응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전남 무안군을 연구 표집지역으로 선정하고, 무안군 청년농업인 95명을 대상으로 영농실태와 애로사항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역 맞춤형 청년농업인 육성 및 지원 정책 또는 사업을 발굴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해 무안군 청년농업인을 유형화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직까지 무안군의 청년농업인 지원 관련한 조례(법), 독창적인 사업은 없다. 둘째, 무안군 청년농업인의 농지 승계 비율은 41.1%로 전국 청년농업인 43.7%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청년농업인의 약 40% 정도는 가장 중요한 영농기반인 농지를 승계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셋째, 영농경력이 쌓인 청년농업인에게 지역생활 여건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어려움이 강화되고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총 21개의 변수를 활용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통인자 7개가 선정되었고, 이를 활용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무안군 청년농업인은 총 3개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그리고 다항로짓 분석결과, 청년농업인 유형화를 위한 지표로는 경작 면적, 영농경력, 스마트팜 수요, 농가소득, 영농형태(쌀 재배 여부) 등을 고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청년농업인의 유입을 유도하고 농촌지역 소멸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역의 정주여건과 함께 농지 등의 영농기반에 대한 진입장벽을 최소화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정(2007), "다변량 분석방법을 이용한 농가 유형 구분", 「농촌경제」, 29(5): 29~43.
  2. 김기흥(2021), "청년 농업인 육성을 위한 실천농장의 특성", 「농촌사회」, 31(1): 363~396.
  3. 마상진(2018), "귀농.귀촌 동기 유형과 관련 변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0(1): 53~72.
  4. 박용규.최정신.최윤지.손주리(2023). "청년농업인의 진로의사결정 특성과 직업선택동기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34(1): 129~144.
  5. 배균기.조원지.이병훈(2021), 「청년창업농 영농실태와 정착지원 개선방안 연구」, 전북: 전북연구원.
  6. 석다솜.이상래.김윤호(2022), "청년농업인 지원정책의 개선방안",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3(5):515~521.
  7. 신동철.강두현(2023), 「경상남도 청년농업인 실태 연구」, 경남: 경남연구원.
  8. 안다섬.장동헌.문수희(2022), "청년농업인의 스트레스가 영농만족과 이농의향에 미치는 영향", 「농촌계획」, 28(2): 1~9.
  9. 엄진영.마상진.황윤재.허정회(2022), 「후계.청년농업인 육성 기본계획 수립」, 전남: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이향미(2019a), "청년농업인의 영농다각화 활동 선택 결정요인 분석", 「농촌계획」, 25(2): 75~87.
  11. 이향미(2019b), "청년창업농의 영농규모 확대 의향과 농업진흥지역 이외 농지 수요 결정요인 분석", 「농업경제연구」, 60(3): 1~25.
  12. 이향미(2023), 「청년 농업정책 개발 및 미래농업의 발전방안」, 경기: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13. 이향미.윤석환.이미선.김윤식.김태영(2021), 「농지시장 변화 모니터링 체계 구축과 농지은행 성과분석」, 경기: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14. 이향미.이미선.윤상헌(2022), 「저활용 농지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청년농업인 농지수요 연구」, 경기: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15. 이향미.최봉문.김종하(2023), "인구감소지역의 인구유입을 위한 정책 수요에 관한 연구", 「LHI Journal」, 14(2): 73~82.
  16. 이향미.홍상원.임청룡.유찬주(2018), 「청년창업농농촌정착을 위한 효율적인 농지지원 방안」, 경기: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17. 이현정(2020), "세대 간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거주 특성 차이 분석", 「LHI Journal」, 11(4): 1~13.
  18. 임소영.마상진(2021), "청년, 지속가능한 농업의 핵심", 「24회 농업전망」, 전남: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림축산식품부.
  19. 장영희(2010), "이산적 선택모형을 적용한 방송 플랫폼 및 채널 선호도 연구",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0. 전봉걸.조범준(2014), "취업자 특성에 대한 공급 측면에서의 분석", 「시장경제연구」, 43(2): 67~99.
  21. 정세정.김태완.김문길.정해식.김기태.주유선.강예은.최준영.송아영.김용한(2020), 「청년층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2. 정용경.황정임.최윤지.최정신(2019), "청년농업인의 농업경영 특성과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6(3): 143~151.
  23. 정재원.이원석.이진홍.허재욱.염하정.이은숙.이인숙.김연진.박장순(2020), 「경기도 청년농업인의 영농현황 실태조사 분석 및 지원방안」, 경기 : 경기도농업기술원.
  24. 정하나(2022), "청년농업인의 농촌사회 정착의 어려움과 부모의 사회자본 영향에 관한 질적연구", 「농촌사회」, 32(1): 67-108.
  25. 최정신.황정음.최윤지.한송희(2018), "농촌지역 청년층의 이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지역산업연구」, 41(4): 195-211.
  26. Greene, W. H. (2018), Econometric Analysis, 8th ed. New York: Pear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