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in Adhesive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5초

Push-out bond strength of a self-adhesive resin cement used as endodontic sealer

  • Gurgel-Filho, Eduardo Diogo;Lima, Felipe Coelho;Saboia, Vicente De Paula Aragao;Coutinho-Filho, Tauby De Souza;Neves, Aline De Almeida;da Silva, Emmanuel Joao Nogueira Leal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9권4호
    • /
    • pp.282-287
    • /
    • 2014
  •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ond strength of RelyX Unicem (3M) to root canal dentin when used as an endodontic sealer. Materials and Methods: Samples of 24 single-rooted teeth were prepared with Gates Glidden drills and K3 files. After that, the roo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experimental groups (n = 8) according to the filling material, (1) AH Plus (Dentsply De Trey GmbH)/Gutta-Percha cone; (2) Epiphany SE (Pentron)/Resilon cone; (3) RelyX Unicem/Gutta-Percha cone. All roots were filled using a single cone technique associated to vertical condensation. After the filling procedures, each tooth was prepared for a push-out bond strenght test by cutting 1 mm-thick root slices. Loading was performed on a universal testing machine at a speed of 0.5 mm/min.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ukey test for multiple comparisons were used to compare the result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s: Epiphany SE/Resilon showed significantly lower push-out bond strength than both AH Plus/Gutta-Percha and RelyX Unicem/Gutta-Percha (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d strength between AH Plus/Gutta-Percha and RelyX Unicem/Gutta-Percha (p > 0.05). Conclusions: Under the present in vitro conditions, bond strength to root dentin promoted by RelyX Unicem was similar to AH Plus. Epiphany SE/Resilon resulted in lower bond strength values when compared to both materials.

Epigallocatechin-3-gallate prior to composite resin in abfraction lesions: a split-mouth randomized clinical trial

  • Luisa Valente Gotardo Lara Alves;Lisiane Martins Fracasso;Thiago Vinicius Cortez;Aline Evangelista Souza-Gabriel;Silmara Aparecida Milori Coron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8권2호
    • /
    • pp.13.1-13.11
    • /
    • 2023
  • Objectives: Natural extracts have been investigated as a biomimetic strategy to mechanically strengthen the collagen network and control the biodegrad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on abfraction lesions prior to the composite resin. Materials and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30 patients (aged between 28 and 60 years) with abfraction lesions located in 2 homologous premolars. The teeth were randomly assigned according to dentin treatment: 0.02% EGCG solution or distilled water (control). After enamel acid etching, the solutions were applied immediately for 1 minute. The teeth were restored with Universal Adhesive (3M) and Filtek Z350 XT (3M). Analyzes were done by 2 independent examiners using modified USPHS (retention, secondary caries, marginal adaptation, and postoperative sensitivity) and photographic (color, marginal pigmentation, and anatomical form) criteria at baseline (7 days) and final (18 months). The data analysis used Friedman and Wilcoxon signed-rank tests (α = 0.05). Results: At baseline, all restorations were evaluated as alpha for all criteria. After 18 months, restorations were evaluated as alpha for secondary caries, color, and marginal pigment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aseline and 18 months (p = 0.009) for marginal adaptation and postoperative sensitivity (p = 0.029),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verified between treatments (p = 0.433). The EGCG group had a restoration retention rate of 93.3%, while the control group had 96.7%. Conclusions: The application of EGCG solution on abfraction lesion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urvival of the restorations based on clinical and photographic criteria.

상아질 접착제에 포함된 활성제의 사용 유무가 자가중합 복합레진의 상아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tivators contained in adhesives on dentin bond strengths)

  • 강혜경;신주희;서규원;류재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11-519
    • /
    • 2008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가중합 또는 이중중합을 위한 활성제가 포함된 상아질 접착제에서 활성제의 사용 유무가 자가중합 복합레진과 상아질 접착제간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실험을 위하여 우식 및 충전물이 없는 건전한 대구치 50개를 주문제작한 아크릴릭 레진블록에 포매한 후, 모델 트리머로 연마하여 평활한 상아질면을 만든 후, 600grit 실리콘 카바이드 페이퍼로 연마하고 증류수에 보관하였다. 50개의 시편을 10개씩 5개 군으로 나눈 후, 상아질 접착제를 제조사의 지시대로 도포한 후, 플라스틱 주형을 이용하여 자가중합 복합레진 (Luxacore)을 접착시켰다. 상아질 접착제는 One-Step (OS군), Prime&Bond NT, AdheSE를 이용하였는데 Prime&Bond NT와 AdheSE는 단독으로 사용한 군 (PB군, AS군)과 활성제를 같이 사용한 군 (PBA군, ASA군)으로 다시 나누었다. 증류수에 24시간 보관 후, 인스트론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시편에 1 mm/min의 전단속도로 하중을 가하여 시편이 분리되는 최대 하중을 측정한 뒤, 단위 면적 당 결합강도 (MPa)로 환산하여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고 5% 유의수준에서 Tukey HSD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각 군의 전단결합강도의 평균을 보면, OS군이 18.6 MPa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PBA군 (10.3 MPa)과 ASA군 (10.2 MPa)이었고, PB군과 AS군이 각각 5.9 MPa, 6.0 MPa로 가장 낮은 전단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실험을 통해 Prime&Bond NT와 AdheSE에서 활성제를 같이 사용한 경우, 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전단결합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지만, 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One-Step보다는 낮은 수치였다.

치질접착에서 접착강도와 변연누출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IN RESIN BONDING TO TOOTH STRUCTURE)

  • 김진희;박정원;박진훈;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4호
    • /
    • pp.570-577
    • /
    • 1999
  • 치질에 대한 접착수복은 건전한 치질을 보존하면서 유지력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치질과 수복물 계면에서의 미세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임상에서 그 사용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복합레진충전후 중합과정에서의 수축현상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로 남아 있으며 이로 인한 변연누출은 술후 지각과민, 변연변색이나 이차우식과 아울러 치수병변의 유발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치질과 레진수복물간의 접착강도를 강화시킴으로써 변연부위의 누출현상을 극복할 수 있다는 인식 하에 많은 종류의 상아질 접착제에 대한 접착강도 검사와 미세누출 검사가 행해졌으나 접착강도와 변연누출간의 관계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치를 이용한 동일시편에서 접착강도와 미세누출의 정도를 측정 후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의 하악 전치를 이용하여 법랑질 또는 상아질 시편을 각 군마다 30개씩 준비하였다. 32% 인산으로 15초 처리 및 20초 수세 후 치질처리 방법에 따라 법랑질/완전 건조시킨 군, 법랑질/습윤상태의 군, 상아질/완전 건조시킨 군, 상아질/습윤상태의 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의 시편을 One-Step$^{TM}$ adhesive를 적용 후 Charisma 복합레진으로 충전하였다. 그 후 2% methylene blue에 1주일 간 침잠시킨 후 24시간 흐르는 물에 수세한 뒤 인장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장 접착 강도 측정 후 컴퓨터 프로그램 상에서 색소의 침투 면적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법랑질 및 상아질 군 공히, 접착강도와 미세누출을 비교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접착강도가 높을수록 미세변연누출은 적게 나타내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r=-0.50, p<0.05). 2 법랑질 군 및 상아질 군 공히, 습윤상태의 시편이 완전히 건조된 시편에 비해 높은 집착강도를 나타내었다 (p<0.05). 3. 상아질에서는 습윤상태의 군이 건조시킨 군 사이에 유의하게 적은 미세변연 누출을 나타낸 반면(p<0.05), 법랑질에서는 습윤상태의 군과 건조시킨 군 사이에 미세변연 누출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0.05).

  • PDF

$Carisolv^{TM}$ 에 의한 우식제거후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 OF DENTIN TREATED BY $CARISOLV^{TM}$)

  • 백병주;권병우;김재곤;전철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89-396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전형적인 우식제거(bur)와 기계화학적으로 제거된 상아질($Carisolv^{TM}$)의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를 비교하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결합 system이 사용되었다; AB: All Bond 2(3M, USA), PB: Prime & Bond 2.1(Dentsply, DE), AQ: AQ Bond(sun medical, Japan). 교합면 우식증을 가지고 있는 42개의 사람 대구치를 6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그룹은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Carisolv^{TM}$를 적용한 그룹 A, B, C와 bur를 사용한 그룹 D, E, F, A와 D 그룹에서는 AB가 상아질 결합제로 사용하였고, 그룹 B, E는 PB를 그룹 C, F는 AQ를 사용하였다. 그 후 와동은 복합레진(Z-100)으로 충전하였다. 각각의 시편을 0.7 mm 두께로 자르고 0.7 mm의 넓이로 다시 잘랐다.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 test는 $0.5\;mm/min^{-1}$의 crosshead에서 시행하여 파절면을 scanning electron microscope(JSM-6400, Jeol, Japan)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arisolv^{TM}$로 우식을 제거했을 때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는 bur를 사용한 것에 비해서 75.8-80%로 감소하였다(p<0.05). 2. $Carisolv^{TM}$로 우식을 제거했을 때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가 감소된 정도는 상아질 결합제의 종류에 따라 각 군별로 차이가 없었다(p<0.05). 3. $Carisolv^{TM}$로 우식을 제거했을 때 All bonds는 32.6 MPa, Prime & bond는 30.1 Mpa, AQ bond는 21.2 Mpa이었다. 4. Bur와 $Carisolv^{TM}$로 우식제거시 AQ bond는 All bond와 Prime & bond 2.1보다 유의하게 낮은 결합강도를 가졌다(p<0.01).

  • PDF

포스트 접착 시멘트의 종류와 적용 방법에 따른 접착 효율 비교 (Comparison of the post cementation efficacy using different cements and methods)

  • 조옥인;이상진;박정길;허복;김현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9호
    • /
    • pp.680-68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ost cementation efficacy according to the different adhesive systems and cement delivery methods. A total of 40 extracted human single-rooted premolar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two luting agents of Unicem applicap (3M ESPE, St. Paul, MN, USA) or Variolink II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 and cement delivery methods of direct cement application or lentulo spiral application. After restoration using glass?fiber posts, the samples were embedded in acrylic resin. Three sections of 2 mm thickness were prepared from each specimen, and the post in each section was subjected to a push-out test. The data were analysed statistically at significant level of 95%. The Unicem had significantly higher push-out bond strength than Variolink and the lentulo spiral application made higher bond strength (p<0.05). Adhesive failure between cement and dentin was predominant in all groups. The Unicem of self-etch system and cement delivery using lentulo spiral showed clinically acceptable and comparable bonding strength for the fiber post.

Influence of cement thickness on resin-zirconia microtensile bond strength

  • Lee, Tae-Hoon;Ahn, Jin-Soo;Shim, June-Sung;Han, Chong-Hyun;Kim, Sun-Jai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3권3호
    • /
    • pp.119-125
    • /
    • 201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resin cement thickness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between zirconium-oxide ceramic and resin cement.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freshly extracted molars were transversely sectioned at the deep dentin level and bonded to air-abraded zirconium oxide ceramic disks. Th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8 groups based o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cement type: Rely X UniCem or Panavia F 2.0, cement thickness: 40 or 160 ${\mu}m$, storage: thermocycled or not). They were cut into microbeams and stored in $37^{\circ}C$ distilled water for 24 h. Microbeams of non-thermocycled specimens were submitted to a microtensile test, whereas those of thermocycled groups were thermally cycled for 18,000 times immediately before the microtensile test. Three-way ANOVA and Sheffe's post hoc test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lpha}$=95%). RESULTS. All failures occurred at the resin-zirconia interface. Thermocycled groups showed lower microtensile bond strength than non-thermocycled groups (P<.001). Differences in cement thickness did not influence the resin-zirconia microtensile bond strength given the same resin cement or storage conditions (P>.05). The number of adhesive failures increased after thermocycling in all experimental conditions. No cohesive failure was observed in any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When resin cements of adhesive monomers are applied over air-abraded zirconia restorations, the degree of fit does not influence the resin-zirconia microtensile bond strength.

37% 인산 부식제에 의해 발생한 안면피부의 화학 화상 (IATROGENIC CHEMICAL BURN ON FACIAL SKIN BY 37% PHOSPHORIC ACID ETCHANT)

  • 박종현;신혜진;박세희;김진우;조경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1호
    • /
    • pp.38-41
    • /
    • 2009
  • 복합레진 수복을 위해 상아질에 total-etch adhesive system을 적용할 경우, 37% 인산 산부식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37% 인산은 매우 강력한 부식제로 구강점막이나 안면피부와 접촉되었을 때 심각한 해로운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이 증례 보고에서는 복합레진 수복과정에서 사용된 인산 산부식제에 의해 안면피부에 발생된 의원성 화학적 화상을 보고하고자 한다. 산부식제에 의한 화학적 화상은 산부식제를 부주의하고 부적절하게 사용함으로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의원성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산부식과 수세과정 후 산부식제가 완전히 제거되었는지를 확인하여야하며, 복합레진 수복 시 러버댐이나 적절한 격리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화상이 발생하였다면, 적절한 응급처치 후 피부과로 의뢰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클로르헥시딘이 접착성 수복재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CHLORHEXIDINE ON THE BOND STRENGTH OF ADHESIVE RESTORATION)

  • 염혜웅;김종수;권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0-37
    • /
    • 2002
  • 치아 수복 후 나타날 수 있는 술 후 동통과 치수 병변의 주원인은 수복재 자체의 독성보다는 박테리아의 침투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와동내 항균제 처리는 잔존 박테리아를 제거하여 제 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상아질면이나 상아 세관에 잔유물을 남겨 상아질 결합제와 치질간의 긴밀한 결합을 방해하여, 미세누출을 증가시키고, 결합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2% 클로르헥시던 도포가 접착성 수복물과 치질과의 결합강도 및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건전한 소의 전치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와동을 형성한 후, 클로르헥시딘을 도포하고 복합레진, 컴포머 그리고 글라스아이오노머를 각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각각 충전하고, 1000회 열순환 처리 후 전단 결합 강도와 미세누출 양상을 비교 평가하였다. 상아질 전단 결합 강도와 수복재 변연 미세누출 양상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최근 소개된 상아질 접착제의 전단 접착 강도 비교 (An Evaluation of Shear Bond Strength of New Dentin Bonding Agents)

  • 신지선;황은지;김종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58-364
    • /
    • 2017
  • 소아치과 영역에서 수복 치료에 널리 쓰이는 레진 치료의 술식 민감성 및 시간 감소에 대한 꾸준한 노력으로 새로운 접착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최근 출시된 접착제와 기존에 널리 쓰이는 두 단계 접착제와 비교 분석하여 임상적으로 적용하기에 어떠할지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78개의 건전한 소구치를 3군으로 나누어 순면 법랑질에 새로 개발된 $Tetric^{(R)}$ N-Bond Universal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과 $GC^{(R)}$ G-Premio BOND (GC Co., Japan)를 실험군으로 하고 기존의 5세대 $3M^{TM}$ Single Bond2 (3M ESPE, USA)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동일하게 $Filtek^{TM}$ Z-350 (3M ESPE, USA)복합 레진을 접착시킨 후 접착제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산부식 과정을 따로 적용하지 않은 두 실험군에서 각각의 전단접착강도가 산부식 과정을 포함한 대조군의 결과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새로 개발된 두 접착제간 비교에서는 $Tetric^{(R)}$ N-Bond Universal 제품이 $GC^{(R)}$ G-Premio BOND 제품보다 전단 접착 강도가 유의성 있게 큰 것으로 나타나 임상에서 제품을 선택할 때 참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