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practice management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8초

일터 영성이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지식, 수행과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Infection Control Knowledge, Performance, and Job Stress of Dental Hygienists in the COVID-19 Pandemic)

  • 김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231-238
    • /
    • 2022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일터 영성이 감염관리 지식과 수행,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해 융복합 연구를 시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2-3월 동안 치과위생사 1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하였다. 일터 영성은 감염관리 수행 팬데믹 상황에서 일터영성은 감염관리 수행력을 높이고 직무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감염관리 지식과 수행이 높은 집단은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2년 이하 경력자는 관계갈등, 3-5년 경력자는 직무 불안정, 조직체계, 보상 부적절, 직장 문화가 높게 조사되었으며 6년 이상 경력자가 직무 자율성 결여 인식이 가장 높았다. 팬데믹 상황에서 일터영성은 감염관리 수행력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어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여 전인적이고 체계적인 조직운영을 위한 의료의 질을 향상안이 요구되었다.

대전시 시민의 치과의료서비스에 관한 만족도 조사연구 (A Study on the Dental Service Statifation of Cityizens in Deajeon)

  • 성보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9-30
    • /
    • 2008
  • This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as a result of carrying out the questionnaire survey of self-descriptions for the satisfaction after the citizens of Daejon uses the dental clinics,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of satisfaction to the medical services of such dental clinics to be utilized in the patient management by dental hygienists, provide the basic data to provide the medical services desired by patients. 1. 43.9% men responded to the facilities and 56.1% women to the atmosphere for the standards of selection of dental clinics by general characteristic, and the college graduates or more to the kindness (38.2%), high-school graduates (43.2%) and middle-school graduates (25.9%) or less to the close distance for the level of educational attainment (p=0.009), which was meant to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2. The execution of reservation system for the dental clinics showed 54.7%, the reserved time was observed upon the execution of such reservation system, the dental clinics where they practice such system were 40.6%, and the confirmation methods was done through the telephone with 62.5%. 3. The experience of fear upon the dental treatment showed 74.6%. The type of fear showed the machine sound (48.7%) for men and cry of others for women (70.8%) at the highest. 70% of those under 30 at the age responded to the sharp instruments at the highest. 83.3% of Yousung-gu showed the highest by responding to the cry of others for the residential are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both the age and residential area (p=0.000). 4. Women showed higher in the distribution of gender for the sterilization of instruments for the external satisfaction of dental clinics(p=0.000) and those under 30 at the age showed the highest with 2.98${\pm}$0.95(p=0.001). Seo-gu (3.48${\pm}$0.77) was the highest for the residential area (p=0.000),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der, age and residential area. 5. Men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women in the clean state a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p=0.000) at the age as the high satisfaction was shown for those under 30 at the age (2.35${\pm}$0.79), those having the income not less than 10 million won and not more than 20 million won (2.43${\pm}$0.78), and Seo-gu (2.63 ${\pm}$0.69) for the residential area. 6. For the internal satisfaction of dental clinic by users for the medical services in the dental clinics, 61.1% women responded to no in the ability of solving the inconvenience in the service process, and showed low ability of solving the inconvenience from 30 at the age (26.2%) and by responding to Dong-gu (22.1%) for the residential area, showing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00). For the re-use of dental clinics, 46.6% men (p=0.043) for the gender, 24.3% under 30 at the age and 22.9% of Dong-gu for the residential area responded to the re-use,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gender and residential area (p=0.000). 7. The dissatisfaction showed a high rate of 69.5% for the satisfaction to the medical services of dental clinics. 46.2% men responded to the pain and women to the feeling of foreign substance for the reason of dissatisfaction while those under 30 at the age showed 55.6% for others, those between 50 and 59 41.7% for the feeling of foreign substance. 86.3% carried out the education for cautions after the treatments and most people turned out that they do not carry out the continuous health management of mouth as 20.5% responded to that they carry out such health management.

  • PDF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대한 치위생과 학생의 윤리적 의사 및 의사결정 (Ethical consciousness and decision-making of dental hygiene students for COVID-19)

  • Lee, Seung-Hun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57-366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치위생학 학생들의 윤리적 의식과 의사결정 수준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COVID-19에 관심이 있는 대학생 2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5점 척도의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자료는 독립 t-검정, ANOVA, 상관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COVID-19에 대한 인식은 3.42점으로 보통 수준이었다. 그리고 남학생, 1학년, 응급구조과 학생, 교육받은 학생, 자가격리 경험이 있는 학생이 더 높았다. 윤리의식 수준은 3.89점으로 보통이었으며, 2학년, 응급구조학과 학생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윤리적 의사결정은 3.44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1학년, 현장실습, 자가격리 경험이 있는 학생에게서 높았다. 인식 수준은 윤리의식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α=0.310, p<0.01). 또한 윤리의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의사결정의 정도도 증가하였다(α=0.539, p<0.01). 결론: COVID-19가 확산되고 있는 위기 상황에서 치과위생사 학생을 대상으로 정확한 정보를 교육하고 이를 실제와 유사하게 체험하여 윤리적 의식과 의사결정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

치과용 인상재의 사용 실태에 대한 융합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n the use of dental impression materials)

  • 장선옥;최은미;강민경;심연수;조윤정;오상환;최유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195-20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치과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치과인상재의 종류 및 채득 방법에 대해 조사해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설문조사는 전국치과병(의)원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기관당 1부씩 자기기입식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상재의 종류별 진료 내용에서는 대부분의 진료에서 부가중합형 인상재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다. 인상채득방법은 점도에 분류에 의한 light body와 heavy body를 사용하는 흐름성이 다른 인상재를 한번에 채득하는 방법을 가장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임플란트 인상채득방법에는 직접법과 간접법 모두 흐름성이 다른 두 가지 고무인상재를 한번에 채득하는 방법이 가장 선호되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주조수복재와 보철물의 인상채득방법에서는 각각 연령과 임상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임상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인상재의 종류를 파악해보고 치과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인상재의 선호도에 따른 이론과 실무에 대한 업무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구강보건 지식과 실천이 우식경험치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Effects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Practices on Decayed, Missing and Filled Teeth Index and Quality of Life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이영수;배성윤;지재훈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2
    • /
    • 2013
  •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구강건강의 관점에서도 구강질환이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구강질환의 예방이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실천 정도, 구강건강상태, 그리고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산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 치과, 치과병원 및 치과의원에 내원한 환자 311명을 대상으로 2010년 3월 16일부터 한달간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및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실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HIP-14)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치과의사 11명이 치경과 탐침으로 사랑니를 제외한 28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우식경험치아수(DMF index)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구강보건지식은 구강보건실천에, 구강보건실천은 우식경험치아수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식경험치아수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구강보건지식은 우식경험치아수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이 아니라, 구강보건실천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는 구강보건실천 수준과 우식경험영구치아수를 적절히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마련이 절실히 요구됨을 말해주고 있다. 즉 우식경험치아수는 구강보건실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변수이므로 단순히 구강건강관련 지식만을 전달하기보다는 태도의 변화와 실천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구강질환의 예방과 조기치료로 이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자기효능감, 통제위 및 구강질병관리신념과의 관련요인 (Related factor of or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self-efficacy and oral disease control and beliefs of nursery teacher)

  • 이향님;심형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7-172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grasp the efficacy, locus of control, oral disease management beliefs, etc and to make a close inquiry the relevance between theses key figures and oral health promotion practice for a teacher and oral care about children an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the teachers of infant nursery. Methods : This study was made from July to September in 2009 to nursery teacher by having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teachers of infant nursery who are performing nursry school tearcher. Total 187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among these, 167 questionnaire excluding 20 questionnaire of incomplete respons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PSS12.0. Results : The efficacy is highly in a married person(p=0.001)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P=0.006), perceived good oral status(p=0.001) according to the oral conditions and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is highly in a married person(p=0.006)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P=0.037) and the marital status and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is the highest(p=0.038) in the age of 40 among teacher's age and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 oral disease management beliefs is the highest in the age of 20 ~ 29(p=0.001), highly in married(p=0.003) and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and perceived good oral status(p=0.045) according to the oral conditions. There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icacy,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the external Lotus of Control, oral disease management beliefs following by the infant oral care after taking medicines and oral care of infants after tooth brushing. Conclusions : Therefore, the or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should be induced by educating the nursery teacher and it needs to spread out the oral care education with the development to operate practically. It is considered in need of the infant oral care which is not burden on to the nursery teacher but helpful to the infant by connecting the subjects of dental hygiene and oral health education training.

강릉시 자활근로사업 참여자 대상 치위생 과정 사례보고 (Dental Hygienist-Led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for Self-Support Program Participants in Gangneung)

  • 유상희;곽선희;이수향;송가인;배수명;신선정;신보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27-339
    • /
    • 2018
  • 본 연구는 강릉시에 소재한 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대상자의 복합적인 위험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치위생 과정을 통해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의 변화 과정 및 결과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치과위생사 주도의 치위생 과정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고 임상 현장 및 지역사회사업에서의 치위생 과정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모집단 80명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44명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 면허를 소지한 교수 3인이 전신질환 여부(당뇨병, 심혈관계질환 등), 치은 상태 및 치석 여부, 구강위생상태 등의 기준으로 구강 내 사정을 실시하였고, 구강건강위험군으로 선발된 21명 중 개인적인 사정과 치과의사 치료 의뢰 등으로 인해 중도 탈락한 13명을 제외하고 치위생계획에 따라 모든 과정을 종료한 8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행자 간 일치도 평가를 거친 치과위생사 4인이 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자 8인을 대상으로 치위생 과정을 수행하였다. 대상자별 전담 치과위생사를 선정하여 대상자 중심의 맞춤형 관리를 제공하였고 모든 치위생 과정 내용은 치위생관리 기록부에 기록하여 치위생 과정 전 후에 따라 회차별로 평가한 임상 지표 및 치위생 중재에 따른 행동 변화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복합적인 건강위험요인을 동반한 취약계층인 자활사업 참여 대상자의 치위생 과정을 분석한 결과, 인간욕구이론에 기반하여 대상자 중심의 목표를 수립하고, 전담 치과위생사와의 지속적인 신뢰관계 형성에 기반하여 행동 변화를 위한 중재를 실시하며, 회차별 대상자의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맞춤형 전문가구강위생관리를 실시함에 따라 긍정적인 행동 변화와 함께 유의미한 임상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범이론 모형에 근거한 행동 변화 중재에 따라 칫솔질 방법 및 빈도의 변화가 나타났고, 치간칫솔을 사용한 치간관리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개인별 치위생 과정에 따른 구강상태를 비교한 결과 치위생 과정을 수행한 후 탐침 시 치은출혈 치아 보유율과 4 mm 이상 치주낭 보유율은 감소하였고, 변형 O'Leary index는 향상되었다. 치위생 과정은 치과의료에서 환자/대상자 중심의 가치를 실현하고 질병의 예방과 구강건강증진을 지향함에 따라 임상 현장 및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치위생 과정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구강건강증진을 통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구강건강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지역 보육교사의 구강건강관련 실천도 및 구강보건교육 인식도·필요도 조사 (Oral Health Practices of Some Local Child Care Teachers Oral Health Education Awareness and Need Survey)

  • 구인영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25-1336
    • /
    • 2019
  • Purpose. Infant oral health care forms the basis of lifelong health, and the role of child care teachers in contributing to the quality level in the formation of correct habits at this time throughout the infant's health care and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of nursery teachers and the necessity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to emphasize that the oral health of teachers is closely related to the oral health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to June 2018 by surveying private nursery teachers in some parts of Gyeongsangbuk-do province by using the self-entry method. The research tools consisted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ral health practice, oral health education awareness, and oral health education needs. We used shceffe as a post hoc test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fter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oral health practice and awareness, and oral health education needs. The statistical level was .05.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oral health related practic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s at the final education level, and the oral health related awareness is age, marital status and oral health education needs.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nal educational attainment and cohabita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oral health related practice and awareness, and oral health education need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ral health practice(β =.329) and oral health education needs (β =.158).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hild care facility can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child care teacher in the oral health care of infants, and th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hild care management program in the future by reflecting the role of the teacher i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 care management program of the child care facility. I want to use as.

근로자의 건강행위실천과 직업특성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Behavior Practice and Jab Characteristics on Periodontal Disease of Employees)

  • 이병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45-15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의 건강행위실천 및 직업적 특성과 치주질환 간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근로자의 구강건강 증진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만 19세 이상 총 1,737명의 근로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근로자의 건강행위실천에 따른 치주질환 위험도는 흡연, 비만,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업특성에 따른 치주질환 위험도에서는 직업의 종류, 근무상태, 정규직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근로자의 치주질환은 건강행위실천과 사회경제적 수준에 영향을 받기에 근로자의 건강행위실천을 위한 사업주들의 적극적인 관리와 저소득층을 위한 구강보건의료정책 개발을 통한 의료서비스 양극화 해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아치과 진정법에 사용되는 약제 (Agents Used for Pediatric Dental Sedation)

  • 김지연;정태성;양연미;유승훈;최성철;신터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09-116
    • /
    • 2016
  • 오늘날 소아치과 진료에 있어서 진정법은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대한소아치과학회는 학회원들의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진정법 시행을 돕기 위해 진정법 위원회를 결성하고 2014년 소아치과 개원의들의 진정법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 한 바 있다. 이 설문조사 결과, 진정법을 시행하는 교육 코스가 만들어 진다면 참여할 의사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86%가 참여의사를 밝혔으며 진정법 교육과정에서 배우고 싶은 내용으로 안전한 약물용량과 가이드라인이 2위를 차지하여 1위인 응급상황 시 대처법 다음으로 교육받고 싶은 내용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약물을 선택하고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하므로 용량을 일률적으로 정하여 지침을 제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고 실제적으로도 그 어떤 진정법 지침에도 약물의 용량을 제시해 놓지는 않았다. 성공적인 진정법을 위해 소아치과의사는 각 과정마다 개별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각 진정제의 고유의 약효뿐 만 아니라 다른 약제들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하여 충분히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종설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해 소아치과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진정제들에 대한 정보를 되새기고 의사용 처방편람(Physicians' Desk Reference: PDR) 및 소아치과 분야의 다양한 교과서의 추천용량을 정리하여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