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plaque

검색결과 576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성인의 주관적 구취 자각증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ubjective Symptoms of a Oral Malodor in Korean Adults)

  • 윤미숙;윤혜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23-129
    • /
    • 2008
  •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구취 인식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7년 6월부터 8월까지 약 3개월에 걸쳐 주관적 설문 방법을 통하여 275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취에 대한 자각자율을 보았을 때 현재와 평상시 구취를 느낀다고 응답한 성인은 각각 68.4%와 79.3 %이었으며,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한 성인은 각각 31.6%(현재), 20.7%(평상시)로 나타났다. 2. 하루 중 구취를 가장 심하게 느끼는 시기는 자고 일어난 직후가 83.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요 구취부위는 혀가 51.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구취의 유형에서 음식섭취 후의 음식 냄새가 37.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공복 시의 단 냄새가 22.5%로 나타났다. 4. 구취가 날 경우의 치료희망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자 중 66.9%의 응답자가 구취치료에 대해 긍정적 반응을 보였고, 특히 7.3%의 응답자는 치료 요구도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식사시기에 따라서 현재 느껴지는 구취의 정도에서 식사한지 1시간 이내의 경우 44.7%가 구취가 안 난다고 응답하였고, 1-2시간은 37.6%, 2-3시간은 16.3%, 3-4시간은 14.8%, 4시간 이상은 23.7%가 구취가 안 난다고 응답하여 식사시기에 따라 구취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일반인들의 구취의 인지여부와 구취의 주요 원인 부위, 또는 문헌을 통한 혓솔질의 중요성과 실시 방법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에 향후 객관적인 구취 측정치를 근거로 구취유발요인과의 관련성을 다각적으로 조사하여 구취인지 유무를 연구, 비교할 필요가 있으며, 앞으로 더 나아가 구취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소아치과의원의 개량형 Dentocult-SM검사를 이용한 계속관리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of C pediatric clinic using a Dentocult-SM test)

  • 우희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9-51
    • /
    • 2008
  •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100 child patients selected by random sampling, which got a Dentocult-SM test in the first visit and then was being continuously managed, out of child patients of a pediatric clinic located in Gyeonggi-do. The period of there search is one year from June 2007 to May 2008, Using Dentocult-SM test,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ribution of dental plaque, a streptococcus mutans in saliva and condition of dental caries cavity in the teeth of child patients, then we measured the distribution of a streptococcusmutans. According to SM score, we applied incremental oral heath care for child patients to clinical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In terms of the age of child patients in research, the number of 3 years old patients was 29(lst ranked), the number of 2 years old patients was 28(2nd ranked). 2. The result of SM score showed that female child patients(52.0%) was higher than male ones in negative, male child patients(52.0%) was higher than female ones in mild, female child patients(68.2%) was higher than male ones in moderate, male child patients(57.1%) was higher than female ones in severe. 3. At the first visit, the SM score showed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dt and dmft. We can also confirm the average of severe is the highest. 4. At the second visit, the SM score showed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 among dt, ft, and dmft index We can also confirm the average of severe is the highest. 5. At the third visit, The SM score showed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 among dt, ft, and dmft index We can also confirm the average of severe is the highest. 6. The comparison of dmft index differences to SM score showed statistically no remarkable difference in incremental oral heath care for negative and mild, In addition to that, we can confirm that the incremental oral heath care makes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s in moderate and severe. 7. The comparison of dt index differences to SM score showed statistically no remarkable difference in incremental oral heath care for negative, mild, and moderate, In addition to that, we can con firm that the incremental oral heath care makes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s in severe. 8. The comparison of mt index differences to SM score showed statistically no remarkable difference in incremental oral heath care for mild and moderate, In addition to that, we can confirm that the incremental oral heath care makes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s m severe. 9. The comparison of ft index differences to SM score showed statistically no remarkable difference in incremental oral heath care for mild, In addition to that, we can confirm that the incremental oral heath care makes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s in negative, moderate, and severe. 1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dmft index to the age, the 4 years old patients showed the highest number(5.50 in the first visit and 6,08 in the second one). In the third visit, the 6 years old patients showed the highest number(7.00). By the above results, we can find that the incremental oral heath care by SM score makes the results of oral care better. Therefore, the improvement or maintenance in oral health of child patients needs continuing personal oral health management and regular systematic management focused on prevention by the specialist.

  • PDF

세신 추출물의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성장, 산생성, 부착 및 비수용성 글루칸 합성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arum sieboldii Extracts on the Growth, Acid Production, Adhesion, and Insoluble Glucan Synthesis of Streptococcus mutans)

  • 유현희;서세정;김연환;이흥수;김강주;전병훈;유용욱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66-671
    • /
    • 2003
  • 치아우식 예방제를 개발하기 위해 천연물인 세신을 메탄올, 물로 추출하여 S. mutans의 성장과 산 생성 억제, S-HA에 부착 억제, 비수용성 글루칸 합성 효과를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 mutans의 성장억제율이 세신 추출물은 넣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10, 100, 1,000, 2,000 μg/ml 농도에서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9%, 14%, 34%, 53%, 물추출물은 4%, 8%, 17%, 21%를 나타내어, 100 μg/ml이상 농도에서 S. mutans의 성장억제 효과가 유의적으로 있었고(p<0.01), S. mutans의 산 생성량은 대조군에 pH는 3.76, 메탄올 추출물은 10, 100, 1,000, 2,000 μg/ml 농도에서 각각 3.91, 4.21, 4.74, 5.36, 물 추출물은 3.75, 3.97, 4.66, 5.15를 나타내어, 100μg/ml 이상 농도에서 S. mutans의 산 생성억제 효과가 유의적으로 있었다(p<0.05). 또 S-HA에 S. mutans 부착 억제율이 대조군에 비해 메탄올 추출물은 10, 100, 1,000, 2,000 μg/ml 농도에서 각각 56%, 61%, 63%, 96%, 물 추출물은 51%, 74%, 81%, 98%로 부착억제 효과가 유의적으로 있었으며(p<0.05), 10μg/ml 농도에서도 50% 이상의 S. mutans의 hydroxyapatite bead 부착억제 효과가 있었고, GTFase에 의한 비수용성 글루칸 정량 실험을 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메탄올 추출물은 10, 100, 1,000, 2,000 g/ml 농도에서 각각 4%, 18%, 75%, 99%, 물 추출물은 8%, 32%, 73%, 99%의 합성억제 효과가 있었고(p<0.05), 2,000 μg/ml 농도에서는 비수용성 글루칸 합성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볼 때, 세신은 S. mutans의 살균 작용과 유기산의 생성 억제 보다는, S. mutans의 치아표면에의 부착과 비수용성 글루칸 합성 억제에 관여하여, 항치아우식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치과 보철 재료 표면에서 MnO2-diatom microbubbler의 세균막 제거 효과 연구: In vitro study (The biofilm removal effect of MnO2-diatom microbubbler from the dental prosthetic surfaces: In vitro study)

  • 이은혁;서용범;권호범;임영준;공현준;김명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4-22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철 재료 표면에서 MnO2-diatom microbubbler (DM)의 세균막 제거 효과를 기존에 치과 임상에 구강세정제로 사용되고 있는 성분들과 비교하여 이 재료가 구강세정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이산화망간 나노 시트가 도핑된 DM을 만들었고,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형태에 대한 관찰 및 도핑된 MnO2의 성분 분석을 시행하였다. 3% 과산화수소수에서 DM의 반응을 시간에 따라 관찰하기 위해 실체 현미경을 이용하였다. 보철 재료 표면의 세균막 제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비귀금속 합금, 지르코니아, 레진 시편을 제작하였고 치아우식의 원인균이며 호기성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와 치주질환의 원인균이며 혐기성 세균인 Porphyromonas gingivalis 세균막을 각각 형성하였다. 형성된 세균막에 3% 과산화수소수와 DM을 처리하였을 때 세균막 제거 효과를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와 3% 과산화수소수의 경우와 crystal violet 염색 실험을 통해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속이 빈 원통 형태의 규조류에 이산화망간 성분이 발견되었고, 3% 과산화수소수에서 기체를 만들어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에 이용된 모든 재료에서 DM을 처리한 군이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나 3% 과산화수소수 단독으로 사용한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세균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다. 결론: MnO2-diatom microbubbler는 보철 재료 표면의 세균막을 기존의 구강세정제 성분에 비해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대학신입생들의 구강보건 인식도와 구강위생상태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Health Status and their Knowledge of the Freshman of Colleges in Taegu City)

  • 윤희숙;이희경;이성국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1권1호
    • /
    • pp.75-84
    • /
    • 1996
  • 대학 신입생들의 구강위생상태와 구강보건 인식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구시내 모대학 신입생 남자 216명, 여자 205명 총 421명을 대상으로 1993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구강검사를 실시하여 구강위생상태를 평가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치주질환 인식도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조사대상자들의 구강위생 상태는 421명 중 34.7%가 양호, 59.1%가 보통, 6.2%가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성별 분포에서 여자의 구강위생상태는 41.9%가 양호, 4.4%가 불량하였고 남자의 경우는 27.8%가 양호, 7.8%가 불량하여 여자의 구강위생상태가 유의하게 양호하였다(p=0.006). 프라그 인식도에서 구강위 생상태가 양호한 군에서 52.1%, 불량한 군에서 15.4%가 치과질환 원인 세균막이라고 응답했으며, 치주질환 예방 인식도에 있어서 구강위생상태가 양호한 군에서는 91.8%가, 불량한 군에서는 15.4%가 치주질환은 예방가능한 것이라고 응답해 구강위생상태가 양보할 수록 치주질환 인식도는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스케일링 경험도는 구강위생상태가 양호한 군에서는 30.1%, 불량한 에서는 7.7%가 스케일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구강위생상태가 양호할수록 스케일링 경험도는 유의하게 높았다(p=0.023). 또한 스케일링이 치주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강위생상태가 양호한 군에서 68.5%, 불량한 군에서 23.1%가 스케일링은 치주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어서 구강위생상태가 양호할 수록 인식도는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잇솔질 교육을 받은 경험은 구강위생상태가 양호한 군에서 86.2%이었고 불량한 군에서는 7.6%이었다. 또한 구강위생상태가 양호한 군에서의 잇솔질 빈도는 3회 이상이 53.4%로 가장 많았고, 구강위생상태가 양호한 군에서의 매 식후 잇솔질 빈도는 41.8%로 잇솔질 빈도와 잇솔질 시기는 구강위생상태와 유의하게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p=0.001). 구강위생지수와 관련성이 있으리라고 예상되는 변수를 선정하여 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잇솔질 빈도, 치주질환 예방에 관한 인식, 잇솔질 교육을 받은 경험, 잇솔질 시기가 구강위생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구강위생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올바른 잇솔질과 주기적인 치석제거의 중요성에 대한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두 종류의 CAD/CAM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의 도재 축성 전후의 변연적합도 비교 (Comparison of marginal fit before and after porcelain build-up of two kinds of CAD/CAM zirconia all-ceramic restorations)

  • 신호식;김석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28-534
    • /
    • 2008
  • 연구목적: 변연적합도는 보철수복물의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McLean과 von Fraunhofer등에 의하면 120 ${\mu}m$ 이하를 임상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를 넘는 정확하지 않은 변연은 지각과민을 일으키거나 이차 우식을 일으키고, 치태 축적을 용이하게 하여 보철물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이에 최근에 우리나라에 소개되어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CAD-CAM 전부도재 수복물 중 $LAVA^{(R)}$ 시스템 (3M ESPE, St. Paul, MN)과 $EVEREST^{(R)}$ 시스템 (KaVo Dental GmbH, Biberach, Germany)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전부 도재관들이 도재전장 금속주조 수복물과 비교해 보아 코핑 상태일 때와 도재축성 후 각각 변연적합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재료와 방법: 상악 제1소구치 덴티폼 치아를 high speed diamond bur 로 교합면 2.0 mm, 순설면 1.0 mm, 그리고 변연은 chamfer margin을 6도 측면 경사 절삭 기계로 균일하게 제작해서 이를 인상 채득하여 금속 지대치를 제작하였다. 이를 덴티폼 모형상에 장착한 후 전악인상을 채득하여 $LAVA^{(R)}$ 수복물 코핑, $EVEREST^{(R)}$ 수복물 코핑, 그리고 도재전장 금속주조 수복물 코핑을 각각 8개씩 제작하였다. 이들 코핑을 염색제를 섞은 Fit-checker $II^{(R)}$ (GC Cor.,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금속 지대치에 접합시킨 뒤, $Microhiscope^{(R)}$ system (HIROX KH-1000 ING Plus, Seoul, Korea)을 이용하여 300배율로 관찰하면서 변연 간격을 ${\mu}m$단위로 측정하였다. 도재축성 후에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모든 수복물의 변연간격을 측정하여 통계 처리를 하였다. 결과: 코핑 상태에서의 평균 변연간격 값은 $EVEREST^{(R)}$ 에서 $52.00{\pm}11.94\;{\mu}m$, $LAVA^{(R)}$$ 56.97{\pm}10.00\;{\mu}m$, 그리고 도재 전장 금속 주조 수복물은 $97.38{\pm}18.54\;{\mu}m$를 보였고, 도재축성 후에 평균 변연 간격값은 $EVEREST^{(R)}$$61.69{\pm}19.33\;{\mu}m$, $LAVA^{(R)}$$70.81{\pm}12.99\;{\mu}m$, 그리고 도재 전장 금속 주조 수복물은 $115.25{\pm}23.86\;{\mu}m$를 보였다. 결론: 1. $LAVA^{(R)}$$EVEREST^{(R)}$ 수복물은 도재 전장 금속 주조 수복물과 비교하여 각각 코핑상태일 때와 도재 축성 후 모두 유의성 있는 (P < .05) 차이를 보이는 우수한 변연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2. $LAVA^{(R)}$$EVEREST^{(R)}$ 수복물 간의 평균 변연 간격 비교에서 코핑 상태일 때와 도재 축성 후에 모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P > .05). 3. $LAVA^{(R)}$$EVEREST^{(R)}$ 그리고 PFM 은 각각 코어 상태일 때와 비교하여 도재 축성 후 변연 간격에서 약간 증가되었으나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P > .05).

Periotron을 이용한 소아 치은 상태의 평가 (EVALUATION OF GINGIVAL CONDITION ON CHILDREN USING PERIOTRON)

  • 신정근;김재곤;양연미;김성희;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11-421
    • /
    • 2006
  • 치열이 발육 중에 있는 소아는 치은 및 치주 질환에 매우 흔하게 이환된다. 이 시기의 치은염은 대개 경미하며 가역적인 경우가 많으나, 만성적으로 진행하여 성인기의 치주질환으로 이행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소아의 치은 평가를 위한 방법으로 흔히 임상적인 치은염 평가 지수나 구강 위생 지수를 측정하게 된다. 치은염 측정 지수의 하나로써 치은 열구액은 치주조직과 치은 열구로부터 유래되는 염증성 삼출물로, 세균성 치태의 점진적인 축적에 대한 반응으로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의 치은 상태 평가를 위해 전북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3-14세(평균 $8.5{\pm}3.1$세)의 어린이 50명과 23-33세 (평균 $26.1{\pm}3.3$세)의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육안적 지수인 치은지수와 치태지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치은 열구액을 채취하여 그 부피를 Periotron 8000(Oraflow Inc.,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소아와 성인의 수치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게 되었다. 1. 어린이에서 유치열기와 영구치 맹출기, 맹출 완료기의 각 군 간에 치은 열구액 부피를 비교했을 때, 평균치는 영구치 맹출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 2. 어린이와 성인을 비교하였을 때 치은 열구액 부피는 어린이에서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p<0.001). 3. 어린이와 성인 모두 임상적인 치은지수(GI)와 치태지수(PLI)는 치은 열구액의 부피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GI; r=0.394, p<0.001 PLI; r=0.642, p<0.001). 4. 치은 열구액을 채취한 치아의 교정 치료 유무는 치은 열구액의 부피와 유의성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그러나 레진 치료 유무나 치아 우식의 유무는 관계가 없었다(p>0.05). 5. DMFT치는 유치열기에서 영구치열기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또한 DMFT치와 치은 열구액 부피는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1).

  • PDF

치근면 활택술과 아르곤 레이저 사용에 따른 염증성 치은의 교원질 분해효소 검출 비교 (Detection of Collagenase in Inflammatory Gingiva using Root planning and Argon Laser)

  • 이창곤;임성빈;정진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577-594
    • /
    • 1999
  • The major cause of periodontal disease is microorganism in the dental plaque. Gingival sulcular fluid, which is exudate released from the tissue near crevicular epithelium is related with inflam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rgon laser efficiency between the clinical index and onset of collagenase of gingival sulcular fluid. Material divided 16 patients into 4 groups. The first control was without treatmemt. The second was with just treatment of argon laser, The third was treated by scaling and root planning and the fourth was treated with both scailing and root planning and argon laser. The level of periocheck test, the index of bleeding, and the depth of periodontal pocket were evaluated from for 128 teeth of 64 anterior teeth and 64 posterior tee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score of periocheck test, root planing group(group 3) was significantly reduced more than the group without treatment(group 1) and the argon laser treatment(group 2) for results of 3 days and 7 days. But root planing plus argon laser treatment(group 4) in the 7days after experim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no treatment(group 1) and root planing treatment(group 3)(P<0.05), in the 3 days after experim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root planing(group3)(P<0.05). The score of periocheck test to the root planning group(group 3) were significantly reduced between days1, day3 and day7(P<0.05). Root planning plus argon laser group(group 4) were significantly reduced to 1 or 7days and 3 or 7days(P<0.05). The argon laser group(group 2) didn't show any changes. 2. In the case of sulcus bleeding index, the root planning group(group 3) and root planning plus argon laser group(group 4) were reduced more than without treatment group(group 1)(P<0.05) and sulcus bleeding index in the root planning group(group 3) were reduced more than the argon laser group(group 2)(P<0.05). 3. There wasn't any changes of pocket depth between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 group as with experiment periods also.

  • PDF

Streptococcus sobrinus의 비수용성 글루캔 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INSOLUBLE GLUCAN BY STREPTOCOCCUS SOBRINUS)

  • 정진;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0-97
    • /
    • 2000
  • 치태의 형성은 이온, 효소, 영양물질, 화학물질 등과 같은 구강내 존재하는 다양한 물질들과 이들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치태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강내 연쇄상구균인 Streptococcus sobrinus를 공시균으로, 비수용성 글루캔의 합성과 세균 증식 에 미치는 여러 인자들의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treptococcus sobrinus 배양 배지의 pH가 7.0일 때 비수용성 글루캔이 가장 많이 합성 되었고, pH 5.5와 pH 8.5에서는 그 합성이 감소하였다. 세균 증식도 pH 7.0에서 가장 활발하였다. 2. 효모 추출물은 2.5%일 때 비수용성 글루캔의 합성과 세균증식이 모두 활발하였다. 자당의 경우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수용성 글루캔의 합성은 감소하여 1.25%보다 20%에서 합성이 10배 정도 감소하였으나, 세균의 증식은 20배 정도 증가하였다. 3. 배지의 calcium chloride 농도가 1.0mM, potassium chloride 농도가 40mM, magnesium chloride 농도가 0.1mM 이었을때 비수용성 글루캔의 합성이 가장 활발했으나, 세균의 증식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Sodium bicarbonate 10mM에서 비수용성 글루캔 합성과 세균의 증식 이 모두 활발하였으며 100mM 이상에서는 모두 억제되었다. Tris 10mM에서 비수용성 글루캔 합성과 세균의 증식이 모두 억제되었으며 100mM 이상에서는 모두 증가되었다. 5. Sodium phosphate와 potassium phosphate는 10mM 이상에서 비수용성 글루캔 합성과 세균증식이 모두 억제되었다.

  • PDF

치은 연하 치석 제거와 치근면 활택술시 Gracey curet과 Ultrasonic curet의 치석 제거에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Effectiveness of Gracey Curet and Ultrasonic Curet on Subgingival Scaling and Root Planning)

  • 정석형;정진형;임성빈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1호
    • /
    • pp.257-269
    • /
    • 2001
  • Removal of subgingival calculus is essential for the success in periodontal treatment. Subgingival instrumentation is used for the removal of all bacterial plaque and calculus. In this study, Gracey curet and Ultrasonic curet were used on single rooted teeth to conduct subgingval scaling and root planning. The remaining amount of calculu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ype of instrument, depth of pocket, and tooth surface. 24 teeth were extracted from 14 patients being treated at department Periodontology Seoul Advantist dental hospital were used. Total 96 area(4 surface per teeth) were evaluated. 12 teeth treated with Gracey curet were used as the control group and the other 12 teeth treated with Ultrasonic curet were examined for experimental group. The 4 surface of the teeth(buccal, mesial, lingual or palatal, distal) were observed through the stereomicroscope and the images of the surface were captured and saved in CCD. The images were displayed on the monitor and the amount of calculus remained was evaluated by overlapping $10{\times}10$ grid pixel screen produced by Microsoft power point. The results evaluated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dual calculus and tooth position following scaling and root planning of all group,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sidual calculus, probing depth, instruments and tooth surface. 2.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esidual calculus and probing depth,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dual calculus, tooth surface and tooth position on experimental(Ultrasonic curet) group.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dual calculus according to the pre-treatment pocket depth and tooth position,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ooth surface. The amount of residual calculus increase with mesial, distal, buccal and lingual(or palatal) surface on control(Gracey curet) group. 4. The Gracey showed better results than ultrasonic curet in mesial and distal surface,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ultrasonic curet alone is inadequate for thorough subgingival debridement and suggest that Ultrasonic curet with Gracey curet should be more effectiv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