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permanent restoration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2초

유구치의 편측치아절제술을 이용한 공간유지장치 (A CASE REPORT ON THE SPACE MAINTAINER USING PRIMARY MOLAR HEMISECTION)

  • 김준현;이제호;김성오;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76-780
    • /
    • 1997
  • Patient with alveolar abscess due to dental caries with severe alveolar bone loss, severe tooth mobility, root resorption need extraction of tooth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arry out pulp treatment and restoration by using conventional method. Early loss of primary molar might cause masticatory interference, extrusion of opposing tooth, problem in maintaining space and interference on eruption of permanent tooth. Especially, early loss of primary second molar before the eruption of permanent first molar might cause space closure by mesially erupted permanent first molar and impaction of second premolar. In such a case, distal shoe space maintainer and removable space regaining appliance was the first choice of treatment. But, distal shoe space maintainer need precise adaptation and might cause chronic inflammation if the oral hygiene is poor. In a case using removable space regaining appliance, patient's cooperation is most important. If the distal root of primary second molar is comparably sound and alveolar abscess with alveolar bone loss is localized at mesial root, hemisection should be carried out for precise guide to eruption of the permanent first molar, restoration of masticatory fuction and solution to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

  • PDF

유치와 영구치의 외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juries in deciduous teeth and permanent teeth)

  • 이미라;지민경;민희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7-136
    • /
    • 2011
  • Objectives : The writer aimed to examine the dynamic aspect on damage and to be conducive to the swift cure according to right treatment to educate prevention of injury through surveying on the number of the damaged teeth given injury, tooth kind, type in damage, place and cause for being damaged, frequency by month and by time level, and location of the damaged tooth. Methods : Targeting 343 teeth of receiving injury in 201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the department of preservation, and the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a dental hospital in Cheonan city from April 2007 to April 2009, by having the dental injury as the main reas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Results : 1. Deciduous teeth were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imperfect luxation with 60.7%, and were indicated to be in order of crown fracture with 25.5%, root fracture with 12.4%, and perfect luxation with 1.4%. The permanent teeth were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crown with 58.1%, and were indicated to be in order of imperfect luxation with 27.3%, root fracture with 13.1%, and perfect luxation with 1.5%(p<0.001). 2. In case of deciduous teeth for a place with damage, the home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with 31.7%. The permanent teeth were indicated to be the highest(p<0.001) in the road and stairs with 40.4%. As to a cause for damage, both deciduous and permanent teeth were indicated to be the highest(p<0.001) in a cause for falling with 53.1% and 30.8%, respectively. 3. As for a treatment method, in case of deciduous teeth, the close observation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with 46.9%. In permanent teeth, the resin restoration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p<0.001) with 22.2%. Dental injuries in deciduous teeth and permanent teeth are showing diverse aspects. Conclusions : It is important to arrange guidelines on cure of the damaged teeth by injury through continuing a dynamic research on these aspects. Also, the damage in deciduous teeth may hav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upon growth in successional permanent teeth. Thus, through careful treatment, the injury needs to be minimized. It is considered to be likely necessary for a right coping method when injury occurs, and above all, for enough prior education so that injury cannot occur.

Biodentine과 복합레진, 글래스아이오노머의 물흡수도, 물용해도에 관한 비교 분석 (Comparison of water sorption / solubility of Biodentine, composite resin and glass ionomer cement)

  • 이의중;홍정민;민정범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5호
    • /
    • pp.264-268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water sorption / solubility of Biodentine, composite resin and glass ionomer cement. Materials and Methods: The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Biodentine(BD), Filtek Z250(FZ) and Ketac Molar(KM). Twenty disc-shaped specimens of each material were prepared of 6mm diameter and 1mm thickness. All specimens were desiccated for 24 hours and weighed(m1). After then, They were immersed in distilled water and stored at $37^{\circ}C$. 1 week later, They were washed with running water, wiped with absorbent paper and weighed(m2). Finally, They were dried for 24 hours and weighed(m3). Water sorption and solubility, net water uptake were calculated. Results: KM and BD showed high water sorption than FZ(P<0.05). KM and BD exhibited similar water sorption(P<0.05). BD exhibited high solubility than KM(P=0.012). BD exhibited high net water uptake than FZ(P=0.008). Conclusion: Biodentine showed higher water sorption, solubility and net water uptake than Filtek Z250 and Ketac Molar. Within limitation of this study, it is not recommended to use Biodentine for permanent restoration.

  • PDF

12세 이하 아동의 제1대구치 복합레진 수복의 재수복률에 관한 연구 (Repair Rat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in Permanent First Molar in Children Under 12 Years Old)

  • 정윤영;남옥형;김미선;이효설;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70-377
    • /
    • 2018
  • 이번 연구의 목적은 12세 이하의 아동의 제1대구치 복합레진 수복물에 관하여 후향적 연구를 하여 재수복률을 평가하고자 함에 있다. 이번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5년 4월까지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를 내원하여, 제1대구치에 복합레진 수복을 진행한 12세 이하의 환자 169명의 재수복률과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재수복률은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제1대구치의 위치에 따라서 상악보다는 하악이 그리고 우측보다는 좌측에서 재수복률이 높았다. 와동의 종류에 따라서 2급 와동에서 가장 재수복률이 높았고, 교합면만 수복한 경우 재수복률이 가장 낮았다. 2년간의 재수복률은 14.8%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재수복의 위험도는 감소하였다. 재수복의 가장 주된 원인은 이차우식(74.1%)이었다. 아동의 영구치 복합레진 수복물의 재수복률은 성인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구치의 맹출도, 환자의 협조도 및 구강위생 관리능력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뇌병변 환아에서 외상성 손상을 받은 미성숙 영구치의 치험례 (TREATMENT OF AN IMMATURE, TRAUMATIZED PERMANENT TOOTH OF A PATIENT WITH CEREBRAL PALSY : A CASE REPORT)

  • 허선재;신터전;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김영재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2-76
    • /
    • 2016
  • 저자는 뇌병변 장애와 보행장애로 반복적인 외상성 치아손상을 받은 환아의 치료를 시행하였다. 최근 실활된 미성숙 영구치의 계속된 치근 형성을 위해 재생적 근관치료 술식이 많이 시도되어 성공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장애로 인해 반복적인 외상의 위험을 가진 환아에서 치수조직의 재생 보다는 치근단형성술을 통한 치근단의 폐쇄와 근관 충전이 비용과 장기적인 예후의 측면에서 유리한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실된 영구 중절치의 교정적 치료와 심미적 수복 치험례 (TREATMENT OF MISSING CENTRAL INCISORS USING SPACE REGAINING AND MARYLAND BRIDGE : CASE REPORT)

  • 전상언;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11-616
    • /
    • 1994
  • A major cause of missing permanent incisors is congenital abscence and extraction because of trauma and pathologic condition. The request for restoration of missing or spaced anterior teeth is common in dental practice. Problems, such as the tilting, drifting, and rotation of teeth adjacent to the space, complicate the restoration of apperance, and a normally simple restorative dental procedure may become difficult. There are two primary treatment alternatives to improving a dentition's irregular and spaced apperance-closing the space by orthodontic means or providing a prosthesis to disguise the space. The treatment choice depends on many variables, but, as a general rule, patients with a normal overbite, overjet, and buccal relationship are better treated by maintaining the sapce and providing a prosthesis, either fixed or removable. This case report presents two cases : Traumatic loss of maxillary right and left central incisors, Extraction of malformed mandibular right central inciosr. The loss of central incisor space was regained by the fixed-removable and fixed orthodontic appliance, and then Maryland bridge was cemented.

  • PDF

치수복조재와 최종수복재에 따른 대구치 부분치수절단술의 비교 (Comparison of Partial Pulpotomy in Permanent Molars Using Different Pulp Capping Agents and Restoration Materials)

  • 이지미;이난영;이상호;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48-15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우식에 의해 치수가 노출된 영구대구치에서 Biodentine™(BD)과 RetroMTA®(RMTA)의 치수복조재 및 stainless steel crown(SSC)와 composite resin(CR)의 최종수복재를 적용하여 치료한 부분치수절단술 증례들의 임상 및 방사선학적 비교 평가를 통해 각 치수복조재 및 최종수복재가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영구대구치의 상아질의 우식으로 진단되어 부분치수절단술을 받은 소아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경과관찰 기간이 1년 이상인 증례를 선정하여 임상적 평가 및 방사선학적 평가를 통해 치료의 성공률을 평가하였으며 각 성공률에 대해 Fisher's exact test로 통계 분석하였다. 치수복조재에 대한 평가에서 BD이 RMTA에 비해 더 높은 치료 성공률을 보였다(p < 0.05). 치수복조재의 종류와 관계없이 최종수복재를 평가하였을 때 SSC으로 수복했을 때 CR으로 수복한 경우에 비해 더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p < 0.05). 치수복조재로 RMTA를 사용하고 최종수복재로 CR을 사용한 경우에 가장 낮은 성공률을 보였다(p < 0.05).

복합 치관-치근 파절의 교정적 정출술을 이용한 심미적 수복 (Esthetic Restoration of Complicated Crown-Root Fractures Utilizing Orthodontic Extrusion)

  • 김민지;김진영;김수현;임수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0-69
    • /
    • 2016
  • 영구 전치의 복합 치관-치근 파절은 심미적, 기능적 문제 뿐 아니라 심리적 문제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파절에 대한 치료는 매우 중요하며, 여러 분야에 걸친 종합적 치료가 요구된다. 본 증례는 두 환자에서의 외상으로 인한 상악 전치의 복합 치관-치근 파절에 대한 임상적 치료 과정을 서술하였다. 근관치료와 근첨형성술이 각 환자에게 시행되었으며, 파절선을 치은 상방으로 노출시키고 생물학적 폭경을 재확립하기 위해 교정적 정출을 시행하였다. 이후 유지기간을 두었고, 그 기간 동안 치아에 임시수복을 시행하였다. 최종적으로 CAD/CAM을 이용한 세라믹 크라운 수복을 시행하였다. 이후 정기 검진 때에도 해당 치아들은 만족스러운 기능적, 심미적 결과를 보였으며, 두 환자 모두에서 재발은 나타나지 않았다. 치주조직 또한 건강한 상태를 보였다.

뇌성마비 환자에서 함입된 상악 중절치의 외과적 재위치: 증례보고 (SURGICAL REPOSITIONING OF AN INTRUDED PERMANENT MAXILLARY INCISOR IN A CEREBRAL PALSY PATIENT: A CASE REPORT)

  • 이고은;이명연;이제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3-46
    • /
    • 2017
  • 본 증례는 함입 주소로 내원한 9세 4개월 뇌성마비 남환을 미다졸람 근주를 이용한 의식하 진정법으로 해당치아의 수술 적 재위치 및 근관치료를 시행하였다. 5년이 지난 현재 유착 소견 및 부분적인 치근흡수가 보이나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뇌성마비 환자의 경우 치아 및 주위조직에 취약하며, 치료 시 적절한 행동조절 및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임상의의 노력이 필요하다.

초등학생의 Molar Incisor Hypomineralization 유병률과 제1대구치 치아우식증 및 수복상태 조사 (THE PREVALENCE OF MOLAR INCISOR HYPOMINERALIZATION AND STATUS OF FIRST MOLARS IN PRIMARY SCHOOL CHILDREN)

  • 신종현;안울진;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9-185
    • /
    • 2010
  • Molar Incisor Hypomineralization(MIH)에 관하여 최근 많은 연구적 관심이 집중되고 여러 임상적 대처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미 세계적으로는 MIH의 빈도, 병인, 치료 등에 관한 많은 연구보고가 있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관심이 아직 미미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MIH 유병률과 제1대구치 우식 및 치료 실태에 대하여 조사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부산 및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1,344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상하 제1대구치와 전치부를 직접 시진하여, MIH 유병률, 제1대구치 우식경험지수와 치료 상태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총 1,344명의 조사 대상 중 81명에서 MIH가 나타나, 유병률은 6.0%를 보였으며, MIH에 이환된 어린이의 제1대구치 우식경험지수는 비이환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한편, 제1대구치 우식경험지수는 1.17개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제1대구치의 13.6%가 수복되어 있었고, 수복재 별로는 복합 레진, 아말감, gold inlay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