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ilitarized zone (DMZ)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6초

비무장지대(DMZ) 훼손지 데이터베이스 구축연구 (Study on Database Construction of Demilitarized Zone)

  • 성현찬;서정영;이상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3-150
    • /
    • 2017
  • In this study, we intend to integrate the database(DB) method into one logical structure that is related to damage such as cause and type of damages occurring in the DMZ area. We divided the DMZ members into two types, which are classified in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survey for three years as a study of database construction, So that the actual data can be utilized in future restoration. The database construction through each restoration direction regarding the type of DMZ corruption is as follows. First, w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restoration of the damaged area of the DMZ, and approached it as a plan to select the damaged mark. Second, DMZ database reconstruction can be used as a restoration of damages, suggesting more information and restoration type through building an ecological database for education and research. Third, in order to maintain and restore restoration of damaged areas continuously at the national level,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guidelines for reasonable internal restoration in the national level as data that can be credited externally and can be acknowledged as the latest data.

DMZ 내 생태교란지 식물복원 연구 (A Study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Disturbed area in DMZ(Demiltarized zone))

  • 정지영;김상준;안종빈;이아영;황희숙;박기쁨;박진선;송진헌;윤호근;정수영;신현탁;이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6-26
    • /
    • 2019
  • DMZ 일원은 정전협정으로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가 설정된 이래 민간인의 출입이 엄격히 금지된 채로 외부의 간섭에서 벗어난 독보적 공간으로 보전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역은 자연재해 및 군사적 목적으로 훼손되어 생태적으로 교란된 지역이 발생하여 생태적 건강성이 저하되고 있다. 무엇보다 군사분계선 남쪽 2km에 설치된 남방한계선은 군사적 목적에 따라 시계확보를 위해 불모지작전을 수행하여 생태적 교란 및 토양침식에 의해 생태계가 열악한 실정이다. DMZ 내 생태교란지 식물복원 연구는 DMZ내 생태교란지를 하나의 특수한 생태계로 간주하여, 향후 DMZ내 생태교란지에 특화된 식생복원 체계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MZ 155마일(248km)에 대해서 위성영상분석을 수행하여 생태교란지 유형화분류 연구를 수행하여 7개 유형(저지대초지, 서부저지대산지, 저습지 및 수공간 지역 등)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DMZ 생태교란지에 적합한 식물종 선정을 위하여 DMZ 전역을 대상으로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여, 분포가 확인된 종을 대상으로 도입 가능종의 검토, 종자 수집 및 채종원 조성을 실시하였다. 추후 DMZ 생태교란지 식물복원에 적합한 공법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시계확보를 위해 수행되는 불모지 작전에 적합한 종의 선정, 선정된 종을 대상으로 유사환경 조성에 따른 공법 적용, 적용된 공법에 따른 관리 방안 연구를 함께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DMZ 일원에 특화된 공법개발이 이루어진다면 불모지 작전 및 관리 최소화가 이루어지고, 무엇보다 우리나라 종자 및 야생화 산업의 활성화와 현재 파편화 되어 있는 생태축이 하나의 축으로 연결 될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 PDF

Insect Fauna of Adjacent Areas of DMZ in Korea

  • Kim, Seung-Tae;Jung, Myung-Pyo;Kim, Hun-Sung;Shin, Joon-Hwan;Lim, Jong-Hwan;Kim, Tae-Woo;Lee, Joon-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2호
    • /
    • pp.125-141
    • /
    • 2006
  • Insect fauna in adjacent areas of Demilitarized Zone (DMZ) in Korea was surveyed seasonally in $2001{\sim}2003$. The survey area was divided into 3 regions (eastern mountain, middle inland, and western coastal regions) in accordance with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opography. Sampling methods such as sweeping, sieving, beating, brushing and suction were used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and military conditions. Total 361 genera and 437 species of 116 families belonging to 14 orders were identified. Among these, 46 species were new to insect fauna of DMZ areas. Species richness was the highest in the eastern mountain region. Numbers of habitat-common and -specific species were 96 (22%) and 195 (47.2%), respectively. The insect species community similarity was highest (0.64) between eastern mountain region and western coastal region. Insect orders showing high species richness were Coleoptera (38.9%), Lepidoptera (19.2%), Orthoptera (9.4%), and Hemiptera (9.2%).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information for study of history on the change of insect fauna and future conservation in DMZ areas.

Border malaria characters of reemerging vivax malaria in the Republic of Korea

  • Kho, Weon-Gyu;Jang, Ji-Yeon;Hong, Sung-Tae;Lee, Hyong-Woo;Lee, Won-Ja;Lee, Jong-So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7권2호
    • /
    • pp.71-76
    • /
    • 1999
  • Since 1993, the number of vivax malaria cases has increased every year in the northern part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This study was designed to characterize factors related to the reemergence of malaria in the ROK. A total of 21 cases diagnosed in 1993 and 1994 distributed sporadically in the narrow zone along the demilitarized zone (DMZ). Of total 317 civilian inhabitant cases reported in 1994-1997, 287 cases were studied and 80.8% of them resided within 10km from the southern border of the DMZ.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anti-Plasmodium vivax antibody titers using indirect fluorescent antibody test was compared in three villages in relation with distance from the DMZ. The number of inhabitants with high antibody titers was larger in the village nearest to the border than that in more distant villages. The present results highly suggested that the reemerging vivax malaria start in the border area, most possibly caused by infected mosquitoes which flew across the border. This pattern of transmission repeated year after year.

  • PDF

통일기반 구축을 위한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추진 전략 (Proceeding Strategies for Establishing of the DMZ World Peace Park for the Laying of the Foundation for Unification)

  • 이세영;김선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9-2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박근혜정부가 내세우는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과 관련하여 남 북한 간의 화해와 협력의 분위기를 조성하여 평화통일의 길로 나아가 궁극적으로 세계평화와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추진 과제에 대한을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와 방법은 DMZ 세계평화 공원 조성은 남 북한과 국제사회의 이해관계 반영 및 남 북한 협의 전략을 비롯하여 분야별 8대 추진 전략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남북한의 공동 이익과 세계평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8대 전략의 추진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발전과 지원이 절실하며, 남한 지역만이라도 우선적으로 조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전략의 구체화와 지자체와의 계속적인 공동 노력, 국민들의 공감대 형성 및 홍보 강화 방안 등의 추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남북경제협력에 따른 개발이익 경매와 DMZ 보전기금 확보 (A Study on Auction Mechanism for DMZ Conservation using the South-North Korean Economic Development Projects)

  • 박호정;김준순;김현희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8권1호
    • /
    • pp.39-59
    • /
    • 2019
  • DMZ는 반세기 이상 인위적 활동이 배제되어 우수한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다. 통일 이후에도 DMZ의 생태계는 보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남북한 통일 이후가 아니라 사전에 그 보전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DMZ 생태자원 보전에는 생태자원 관리 비용 뿐만 아니라 복구비용 및 연구예산까지 수반되어야 하므로 상당한 규모의 예산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실물옵션과 경매이론을 연계하여 경제적 인센티브 메커니즘을 이용한 DMZ 보전기금 확보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다수의 사업자들은 경매를 통해 북한지역 개발사업권을 획득하려고 하고, 매몰비용에 대한 사적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사업수익의 일부를 보전기금으로 지불한다고 할 때, 먼저, 경매 참가자의 최적 투자시기를 결정하는 실물옵션 모형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베이즈 내쉬균형을 이용해 경매 참가자가 사적 정보에 대해 진실을 보고할 경매를 설계한다.

비무장지대 및 군사분계선의 길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ngth of DMZ and MDL)

  • 김창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27
    • /
    • 2019
  • 본 연구는 비무장지대 및 군사분계선의 길이를 측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정전협정문 첨부지도를 사용했다. 이 지도들은 9개의 도엽으로, 지도에 표시된 군사분계선을 추출하기 위해 도곽 좌표를 근거로 ArcGIS의 지오레퍼런싱 기능을 사용하여 스캔된 이미지 지도에 좌표를 부여했다. 이 지도들을 스크린 디지타이징하여 군사분계선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벡터를 원도에 중첩시켜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에서 추출된 벡터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검증을 시도했다. 기존 연구에서 추출된 벡터는 군사분계선의 굴곡 부분에서 오차가 있었지만, 본 연구에서 추출된 벡터는 정전협정문 첨부지도의 군사분계선과 정확하게 일치했다. 그 길이를 측정한 결과는 239.42km(148.77mile)이다. 이는 현재 비무장지대와 관련된 연구나 보고서 그리고 대중 매체에서 표기하는 '155마일 휴전선' 또는 '248km 비무장지대'라는 표현의 부적합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비무장지대와 관련된 연구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비무장지대와 관련된 정책 결정에 있어서 정확한 길이에 대한 정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국토지리정보원 등 국가 기관에서의 본 연구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검증 절차를 거친 후 국가 차원에서의 비무장지대 및 군사분계선 길이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기대한다.

원격탐사와 GIS기법을 이용한 접경지역 토지피복연구 (Landcover Analysis of DMZ and the Vicinity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Techniques)

  • 서창완;전성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7권1호
    • /
    • pp.11-22
    • /
    • 1998
  • In Korea, the Demilitarized Zone(Hereafter DMZ) and the vicinity have special importance for a natural ecosystem research. However, We have difficulty in studying this region due to the access contr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ndcover and the vegetation status of DMZ and the vicinity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techniques. The site was divided into two regions; less than 2km from DMZ and less than 10 km from DMZ. The analy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result of vegetation analysis is that the reg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re similar in the area less than 2km from DMZ. However, the region of South Korea have good vegetation status than the region of South Korea in the area less than 10km from DMZ. Second, the result of landcover analysis is that the ratio of the landcover of South and North Korea decreased forest, agricultural and grass, built-up, barren area by turns in the area less than 2km from DMZ. However, the built-up area of South Korea increased as much as the forest area decreased and the other areas of North Korea increased as much as the forest area decreased in the area less than 10 km from DMZ.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landcover between analyzed result and an existing statistical data. The causes are using one season setellite images, and an existing statistical data with landuse types. The analysis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techniques is the most suitable method to understand the landcover and vegetation status of DMZ and the vicinity.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 PDF

DMZ 155마일 자연환경 및 식물분포특성연구 (DMZ 155 Miles - Characteristics of natural environment and plant distribution -)

  • 정수영;박진선;박기쁨;김상준;안종빈;이아영;황희숙;윤호근;송진헌;정지영;김일권;신현탁;이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25
    • /
    • 2019
  •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이후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DMZ (Demilitarized zone: 비무장지대)가 설정되었다. DMZ에 출입은 군사정전위원회의 허가가 있어야 가능하기에 군사시설 및 군작전지역을 포함하여 DMZ 및 민간인통제선 이북은 민간인 접근의 제한으로, 단절된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DMZ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동고서저의 지형 및 다양한 생태환경을 두루 갖추고 있어 중요한 생태적 요충지로 평가받고 있다. 산림지역은 민간인통제지역까지 합치면 40여개의 산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하천은 크게 15개의 크고 작은 하천이 위치하고 있다. 남방한계선 수계를 따라 일부지역들은 하천 배후습지, 묵논습지 등 습원형태로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런 습원지역들은 대부분 미확인 지뢰지대로 접근이 제한적인 만큼 지난 세월의 흔적들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1965년 한국자연보존연구회는 30여명의 국내학자를 동원하여 서울에서 가까운 DMZ 인접지역에 대한 예비적인 학술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1966년 10월부터 1968년 9월까지 2년간에 걸쳐 한국자연보존위원회 34명의 국내학자와 미국 스미소니언연구소(Smithsonian Institution) H. K. Buechner 박사를 대표로 5명의 국외학자가 공동으로 종합적인 학술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는 DMZ 연구의 시작을 알렸으며, 이후 남북관계나 시대여건에 맞추어 간헐적으로 다양한 조사 및 연구들이 이어져오고 있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DMZ 철책주변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된 식물현황은 964분류군이다. 군시설로 인해 식물서식환경이 제한적인 상황이지만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고 있는 식물은 다양하다. DMZ와 맞닿아 있는 7개 지역에 대한 식물현황은 철원 638분류군, 연천 631분류군, 양구 525분류군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중동부 지역에 높은 식물종수가 나타났으며, 서부와 동부의 식물들이 고르게 나타나는 결과로 보인다. 큰잎쓴풀, 봉래꼬리풀 등 희귀식물도 있는 반면, 잠재적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침입외래식물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양구지역에 새롭게 발견된 Macleaya cordata (Willd.) R.Br.(양귀비과)는 독성이 포함된 식물이며, 인제에서 2014년에 발견된 미역취아재비는 DMZ일원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종이였으나 현재 연천에서 발견되는 등 확산에 대한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 PDF

Seroprevalence of Toxoplasma gondii assayed using Rapid Diagnostic Tests among Residents in Three Counties Adjacent to The Demilitarized Zone, Korea

  • Jung, Jeehi;Lee, Jinyoung;Chang, Yoon Kyung;Ahn, Seong Kyu;Park, Seo Hye;Hong, Sung-Jong;Lee, Jihoo;Chong, Chom-Kyu;Ahn, Hye-Jin;Nam, Ho-Woo;Kim, Tong-Soo;Kim, Dongja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9권1호
    • /
    • pp.9-14
    • /
    • 2021
  • Toxoplasma gondii seroprevalence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in some parts of Korea. We analyzed prevalence of anti-Toxoplasma gondii antibodies, using a rapid diagnostic test (RDT), in the sera of 552 residents in Ganghwagun, 661 ones in Cheorwon-gun, and 305 ones in Goseong-gun, Korea in 2019. IgG/IgM RDT mounted with recombinant fragment of major surface antigen (SAG1), glutathione-S-transferase-linker-SAG1A, were applied to the sera. IgG seroprevalence was 28.1% in Ganghwa-gun, 19.5% in Cheorwon-gun and 35.7% in Goseong-gun. Odds ratios comparing Cheorwon vs Ganghwa was 0.63 (P=0.001) and Goesong versus Ganghwa was 1.47 (P=0.01) adjusting age and sex. Goseong had highest seroprevalence among the 3 counties both in crude rates and logistic regression. Although Cheorwon and Goseong are adjacent to the demilitarized zone (DMZ) in Korea, seroprevalence rate was much higher in Goseong. Further investigation on other DMZ-closed areas is necessary whether they have high prevalence rates compared to the other areas. T. gondii prevalence in Korea is still persists; proper health policy should be esta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