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and elasticity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6초

석유제품과 전력의 수요행태 변화에 대한 실증분석 (Changes in Elasticities of Demand for Oil Products and Electricity in Korea)

  • 김영덕;박민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2권2호
    • /
    • pp.251-279
    • /
    • 2013
  • 석유제품은 1997년 이후 석유가격자유화가 시행됨에 따라 199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규제가격에서 시장가격으로 전환된 반면, 전력은 계속 규제가격으로 남아 있다. 이러한 가격규제제도의 차이는 최근에 관찰되고 있는 석유와 전력의 수요행태의 차이, 즉 전력수요의 지속적 증가와 석유소비 정체를 가져온 주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석유제품과 전력의 수요추정식을 바탕으로 1981년부터 2011년 사이 월별 데이터를 10년의 표본기간으로 나누어 1년씩 이동시키는 이동회귀분석(rolling regression)을 통해 탄력성의 변화를 추적했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1990년대 중반 이후 휘발유와 경유의 가격탄력성은 더 탄력적으로 변화한 반면, 가정용과 산업용 전력의 가격탄력성은 오히려 더 비탄력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생산(소득)탄력성의 경우에는 석유제품과 전력에서 뚜렷한 패턴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1990년대를 기준으로 나눈 시기별로도 특이한 변화가 나타나지도 않고 있다. 셋째, 휘발유와 경유 간에만 교차탄력성이 유의적으로 추정되었으며, 1990년대 중반 이전에는 휘발유의 교차탄력성이 의미를 가지는 반면,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경유의 교차 탄력성이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노동수요 : 문헌 연구 (Labor Demand in Korea: A Survey)

  • 남성일
    • 노동경제논집
    • /
    • 제36권1호
    • /
    • pp.1-44
    • /
    • 2013
  • 이 논문은 한국 노동시장의 수요구조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서베이한 것이다. 한국 노동수요의 특징을 보면 노동과 자본 간에 대체재 관계가 성립하며, 노동을 사무직과 생산직으로 세분해도 대체관계는 변함없다. 대체탄력성의 크기는 0과 1 사이에 있다. 고용과 근로시간은 대체/보완 관계가 명확하지 않다. 법정 근로시간 단축은 실 근로시간을 단축시켰으나 고용은 늘지 않았다. 노동수요 탄력성은 단기에 0.5 미만으로 작다. 기술변화는 1980년대 중반 이후 노동절약적으로 변하였고 1990년대 중반 이후 숙련편향적 성격으로 숙련노동 수요를 늘렸다.

  • PDF

수요 탄력성에 따른 전력수요의 변화가 현물가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ot Pricing for the Change of the Electric Power Demand Based the Demand Elasticity)

  • 김문영;백영식;송경빈
    • 에너지공학
    • /
    • 제11권2호
    • /
    • pp.142-148
    • /
    • 2002
  • 경쟁적인 전력시장에서 실시간 전력가격의 변화는 전력소비자들의 전력소비에 영향을 주게된다.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가정용, 상업용, 산업용 부하들은 전력소비 성향의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가지 탄력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계산된 각 용도별 부하에 대한 수요 탄력성을 적용하여 경쟁 전력시장에서 수요 탄력성에 따른 전력수요의 변화가 현물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An Econometric Analysis of Imported Softwood Log Markets in South Korea - on the Basis of the Lagged Dependent Variable -

  • Park, Yong Bae;Youn, Yeo-Cha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2호
    • /
    • pp.148-155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know market structures of softwood logs being imported to South Korea from log producing countries. Import demand of softwood logs imported to South Korea from America, New Zealand and Chile is fixed as a function of log prices, the lagged dependent variable and output. On the basis of the adaptive expectations model, linear regression models that the explanatory variables included and the lagged dependent variable were estimated by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Equations (SURE). The short-run and long-run own price elasticity of America's softwood log import demand is -1.738 and -4.250 respectively. Then long-run elasticity is much higher than short-run elasticity. Short-run and long-run crosselasticity of New Zealand's softwood log import demand with respect to American's softwood log import price are inelastic at 0.505 and 0.883 respectively. Short-run and long-run cross-elasticity of Chile's softwood log import demands with respect to American's softwood log import prices were highly elastic at 2.442 and 4.462 respectively. Long-run elasticity was almost twice as high as short-run elasticity.

수요 탄력성에 따른 전력수요의 변화가 현물가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ot pricing for the change of the electric power demand based the demand elasticity)

  • 김문영;백영식;송경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524-526
    • /
    • 2001
  • The variations of real time electric price in competitive electricity markets have influence on electric power demands of the consumers.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dustrial consumer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cause the different price elasticity of the demand due to changing the pattern of consumption. Therefore, this paper calculate the elasticity of each loads and analysis the effects of electric power demands and spot pricing as a function of elasticity in competitive electricity market.

  • PDF

휘발유가격 자유화에 따른 가격탄력성의 변화 (Price Elasticity Response to Gasoline Price Liberalization)

  • 김영덕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1권4호
    • /
    • pp.525-556
    • /
    • 2002
  • This paper investigates effect of gasoline price liberalization on price elasticity of gasoline demand. By using a model where a consumer optimizes her gasoline consumption and number of visits to gas station, we derive price elasticity of gasoline demand and its response to variation of size and frequency in price changes. It shows that price elasticity is decreased with increase in the size and frequency when the price rises. Since price liberalization increases the frequency but reduces the size, the effect of the liberalization on the price elasticity may not be determined. However, price liberalization can make the elasticity higher when the size reduction effect exceeds the frequency increase effect, which is consistent with empirical evidence provided by existing studies.

  • PDF

가계의 교육비 지출에 관한 시계열 분석 (A Time-Series Analysis on the Household Educational Expenditure)

  • 이성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101-118
    • /
    • 2002
  •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s and trends in the household expenditure in both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Between 1982 and 2000, the level of the total educational expenditure increased by 5% in each year on average, increased by 2.2% for public education, and by 11.4% for private education. On the public educational expenditure, the consumption expenditure elasticity was 0.2 and the price elasticity was 1.49. On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the consumption expenditure elasticity was 1.5 and became below 1 after 1998, and the price elasticity was 2.63.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ducational expenditure was necessary rather than luxurious and there was excess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The level of the educational expenditure would continue to increase without reforms both in the supply and demand sides.

A Proposal for Inverse Demand Curve Production of Cournot Model for Application to the Electricity Market

  • Kang Dong-Joo;Oh Tae-Kyoo;Chung Koohyung;Kim Balho H.
    • KIEE International Transactions on Power Engineering
    • /
    • 제5A권4호
    • /
    • pp.403-411
    • /
    • 2005
  • At present, the Cournot model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theories to analyze the gaming situation in an oligopoly type market. However, several problems exist in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this model to the electricity market. The representative one is obtaining the inverse demand curve able to be induc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price and demand response. In the Cournot model, each player offers their generation quantity to obtain maximum profit, which is accomplished by reducing their quantity compared with available total capacity. As stated above, to obtain the probable Cournot equilibrium to reflect the real market situation, we have to induce the correct demand function first of all. Usually the correlation between price and demand appears over the long-term through statistical data analysis (for example, regression analysis) or by investigating consumer utility functions of several consumer groups classified as residential, industrial, and commercial. However, the elasticity has a tendency to change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total market demand size or the level of market price. Therefore it should be updated as the trading period passes b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inducing and updating this price elasticity of demand function for more realistic market equilibrium.

제주-내륙 간 국내선 항공여객수요모형 및 탄력성의 추정 (Estimation of Air Travel Demand Models and Elasticities for Jeju-Mainland Domestic Routes)

  • 백승한;김성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63
    • /
    • 2008
  • 제주-내륙 간 국내선 항공여객수요는 여가통행의 대표적인 시계열 특성인 1년을 주기로 증감을 반복하는 전형적인 계절변동 패턴을 보인다. 본 연구는 10년(1996${\sim}$2005) 동안의 제주-내륙 간 월별 시계열 총량자료를 이용하여 단순시계열모형과 부분조정모형 및 이들 모형별 탄력성(소득, 운임)을 추정하였다. 탄력성 추정결과 단순시계열모형의 경우 소득탄력성은 탄력적(1.55), 운임탄력성은 비탄력적(-0.49${\sim}$-0.59)으로 추정되었다. 부분조정모형의 경우 소득탄력성은 단기에는 비탄력적(0.51), 장기에는 탄력적(1.88)으로 추정되었으며, 운임탄력성은 장 단기 모두 비탄력적으로 추정되었으나, 단기(성수기:-0.13, 비수기:-0.20)보다는 장기(성수기:-0.48, 비수기:-0.72)가 보다 더 탄력적으로 추정되었다.

도로환경개선과 집합적 개념의 유발통행수요와의 관련성 규명 및 수요탄력성 추정(수도권을 중심으로) (Relation between Highway Improvement and Induced Travel Demand, and Estimate the Demand Elasticity (A Seoul Metropolitan Area Case))

  • 이규진;최기주;심상우;김상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17
    • /
    • 2006
  • 현재 교통수요예측 기법은 주로 외생적인 변수에 의해 추정된 종속적 차원의 수요만을 고려할 뿐 도로의 개선으로 인해 새롭게 유발/생성되는 수요(유발통행수요)는 충분히 고려되지 않고 있으며. 관련 연구도 국내에서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유발통행수요 추정 앞서 필요한 연구로 도로의 개선과 집합적 개념의 유발통행수요와의 관련성을 검증하고 차후 유발통행수요 추정에 적용될 수 있는 현실적인 수요탄력성 원단위를 수도권의 각 지역과 통행목적별로 추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2년 서울시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와 네트워크 자료를 이용하여 단위통행시간에 대한 수요탄력성 원단위를 지역별로 산출하였고 지역별로 산출된 수요탄력성은 서울시 -0.582, 인천시 -0.597, 경기도 -0.559로 1995년 NPTS 자료로 산출된 수요탄력성 $-0.3{\sim}-0.5$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본 분석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의 통행자가 미국 통행자보다 통행시간에 대해 더 탄력적이며 도로의 개선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수요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거시적 관점에서 교통관리방안과 교통정책을 고찰해 볼 수 있는 요일별/연령별 수요탄력성 원단위를 산출하여 그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