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ivery latency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3초

계층적 Mobile IPv6를 위한 효율적 멀티캐스트 방안 (An Efficient Multicast Scheme for Hierarchical Mobile IPv6)

  • 김병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7A호
    • /
    • pp.597-602
    • /
    • 2005
  • 이 논문은 HMIPv6를 위해 효율적인 새로운 멀티캐스트 방안을 제안한다. 이동할 영역의 MAP이 멀티캐스팅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그 영역으로 이동하는 그룹의 구성원은 그 MAP을 통해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그룹 구성원은 멀티캐스트 패킷을 계속 수신하기 위해, Mobile Ipv6를 사용하여 자신의 HA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 그러나, 이것은 BU 메시지의 전달 지연 시간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우리가 제안하는 방안은 새 영역의 MAP이 멀티캐스팅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HA에서 패킷을 받지 않고 이전의 멀티캐스트 MAP에서 수신하도록 한다. 제안하는 방안은 터널링 비용, 총 전달 비용, 핸드오버 지연 시간 등을 줄일 수 있다. 전달 비용과 핸드오버 지연 시간 등을 사용하여 M-HMIPv6 방안과 성능을 비교 측정하였다

On Sensor Network Routing for Cloaking Source Location Against Packet-Tracing

  • Tscha, Yeong-Hwan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3B호
    • /
    • pp.213-224
    • /
    • 2009
  • Most of existing routing method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to counter the local eavesdropping-based packet-tracing deal with a single asset and suffer from the packet-delivery latency as they prefer to take a separate path of many hops for each packet being sent. Recently, the author proposed a routing method, GSLP-w(GPSR-based Source-Location Privacy with crew size w), that enhances location privacy of the packet-originating node(i.e., active source) in the presence of multiple assets, yet taking a path of not too long. In this paper, we present a refined routing(i.e., next-hop selection) procedure of it and empirically study privacy strength and delivery latency with varying the crew size w(i.e., the number of packets being sent per path). It turns out that GSLP-w offers the best privacy strength when the number of packets being sent per path is randomly chosen from the range [$1,h_{s-b}/4$] and that further improvements on the privacy are achieved by increasing the random walk length TTLrw or the probability prw that goes into random walk(where, $h_{s-b}$ is the number of hops of the shortest path between packet-originating node s and sink b).

DMM의 패킷 손실 감소 방안 제안 및 성능 비교 (Proposal and Performance Comparison for a Packet Loss Reduction Scheme of DMM)

  • 하상혁;민상원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89-9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DMM의 우수성을 나타내기 위해 PMIPv6와 트래픽 부하 변화, 패킷 전달 지연시간에 대해 성능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DMM에서 기술한 핸드오버 시 패킷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 핸드오버 이전 MAAR에 버퍼를 생성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DMM의 우수성과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분석하였으며,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PMIPv6보다 DMM이 트래픽 부하 변화 및 패킷 전달 지연시간 측면에서 확실히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DMM의 버퍼링 방안 성능이 기존 DMM의 핸드오버 절차에 비해 패킷 손실이 줄었음을 입증하였다.

이동성 정보를 이용한 DTN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Mobility Information based Routing for Delay and Disruption Tolerant Network)

  • 장덕현;심윤보;김길수;최낙중;류지호;권태경;최양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6권2호
    • /
    • pp.130-136
    • /
    • 2009
  • Delay and Disruption Tolerant Network (DTN)은 지속적인 종단간 연결성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으로 인해 store and forward 방식의 메시지 전달을 기본으로 하는 네트워크이다. 일반적인 네트워크와 달리 상대적으로 긴 전송 지연 시간, 불안정한 링크 연결성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기존 TCP/IP 기반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힘들다. 따라서 최근에 DTN을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동 노드의 상대적인 방향차이 또는 이동 노드의 목적지 등과 같은 이동성 정보를 이용한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방식을 통해 DTN의 특성을 잘 반영하면서도 기존에 제안된 기법에 비해 전송 확률과 지연 시간, 오버헤드 측면에서 향상된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를 검증한다.

Content Distribution for 5G Systems Based on Distributed Cloud Service Network Architecture

  • Jiang, Lirong;Feng, Gang;Qin, Shu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11호
    • /
    • pp.4268-4290
    • /
    • 2015
  • Future mobile communications face enormous challenges as traditional voice services are replaced with increasing mobile multimedia and data services. To address the vast data traffic volume and the requirement of user Quality of Experience (QoE) in the 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 it is imperative to develop efficient content distribution technique, aiming at significantly reducing redundant data transmissions and improving content delivery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cloud computing as a promising new content-centric paradigm is exploited to fulfil the multimedia requirements by provisioning data and computing resources on demand.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operative caching framework which implements State based Content Distribution (SCD) algorithm for future mobile networks. In our proposed framework, cloud service providers deploy a plurality of cloudlets in the network forming a Distributed Cloud Service Network (DCSN), and pre-allocate content services in local cloudlets to avoid redundant content transmissions. We use content popularity and content state which is determined by content requests, editorial updates and new arrivals to formulate a content distribution optimization model. Data contents are deployed in local cloudlets according to the optimal solution to achieve the lowest average content delivery latency. We use simulation experiment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our proposed framework.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framework can significantly improve content cache hit rate, reduce content delivery latency and outbound traffic volume in comparison with known existing caching strategies.

Dynamic Resource Reservation for Ultra-low Latency IoT Air-Interface Slice

  • Sun, Guolin;Wang, Guohui;Addo, Prince Clement;Liu, Guisong;Jiang, We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7호
    • /
    • pp.3309-3328
    • /
    • 2017
  • The applica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in the next generation cellular networks imposes a new characteristic on the data traffic, where a massive number of small packets need to be transmitted. In addition, some emerging IoT-based emergency services require a real-time data delivery within a few milliseconds, referring to as ultra-low latency transmission. However, current techniques cannot provide such a low latency in combination with a mice-flow traffic. In this paper, we propose a dynamic resource reservation schema based on an air-interface slicing scheme in the context of a massive number of sensors with emergency flows. The proposed schema can achieve an air-interface latency of a few milliseconds by means of allowing emergency flows to be transported through a dedicated radio connection with guaranteed network resources. In order to schedule the delay-sensitive flows immediately, dynamic resource updating, silence-probability based collision avoidance, and window-based re-transmission are introduced to combine with the frame-slotted Aloha protocol.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a, a probabilistic model is provided to derive the analytical results, which are compared with the numerical results from Monte-Carlo simulations.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매체 접근 제어 기법에 대한 개선 방안 (An improvement of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in Ubiquitous Sensor Networks)

  • 장호;이명섭;전우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3호
    • /
    • pp.373-38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 적합한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기존의 DCF 프로토콜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slot)을 선택할 때 패킷 충돌로 인한 재전송이 반복될 때 마다 크기가 변하는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 내에서 균등 확률 분포(uniform probability distribution)를 이용한 랜덤(random) 선택 기법을 사용하지만 제안한 프로토콜에서는 센서 데이터의 전송 지연을 최대한 감소시키기 위하여 경쟁 윈도우의 크기를 고정시키고, 전송 슬롯을 보다 효율적으로 선택하도록 비 균등(non-uniform) 확률 분포를 사용하여 전송 슬롯을 랜덤하게 선정한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입증하기 위하여 256개의 센서가 배치된 센서 네트워크 모델을 기반으로 ns-2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시행하고, 전체 센서에 발생하는 전송 평균 지연 시간이 기존의 802.11 MAC 표준에 비하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최적 지연 한계점(best latency bound)에 가깝게 나타남을 확인한다.

TASL: A Traffic-Adapted Sleep/Listening MAC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

  • Yang, Yuan;Zhen, Fu;Lee, Tae-Seok;Park, Myong-Soo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2권1호
    • /
    • pp.39-43
    • /
    • 2006
  • In this paper, we proposed TASL-MAC, a medium-access control (MAC)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sensor nodes are usually deployed in a special environment, are assigned with long-term work, and are supported by a limited battery. As such, reducing the energy consumption becomes the primary concern with regard to wireless sensor networks. At the same time, reducing the latency in multi-hop data transmission is also very important. In the existing research, sensor nodes are expected to be switched to the sleep mode in order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However, the existing proposals tended to assign the sensors with a fixed Sleep/Listening schedule, which causes unnecessary idle listening problems and conspicuous transmission latency due to the diversity of the traffic-load in the network. TASL-MAC is designed to dynamically adjust the duty listening time based on traffic load. This protocol enables the node with a proper data transfer rate to satisfy the application's requirements. Meanwhile, it can lead to much greater power efficiency by prolonging the nodes' sleeping time when the traffic. We evaluate our implementation of TASL-MAC in NS-2. The evaluation result indicates that our proposal could explicitly reduce packet delivery latency, and that it could also significantly prolong the lifetime of the entire network when traffic is low.

비디오 프리픽스-캐슁 기법의 성능 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of Video Prefix-caching Techniques)

  • 임효택;태유슈;이훈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7B호
    • /
    • pp.431-437
    • /
    • 2007
  • 웹 프록시 캐슁은 원하는 데이터를 접근하기 위한 지연시간과 요구하는 통신망의 대역폭을 줄이는데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프리픽스 캐슁은 비디오 WAN에서 비디오 전송을 위한 대안으로서 간주되는데 이는 비디오 데이터는 그 양이 너무 커서 데이터 전체를 캐쉬에 저장하는데 문제를 야기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의 많은 연구결과에 의하면 사용자가 인식하는 지연시간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시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TCP 연결설정 시간과 같이 데이터 전송단계를 선행하는 설정과정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프록시 캐슁에서 사용되는 TCP pre-connecting 기법을 제안하며 이 기법이 TCP splicing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아울러 제시된 수치적인 모델은 start-up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음을 보인다. 제안된 기법은 어떠한 프로토콜 수정이나 다른 엔티티와의 동작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동 콘텐트 중심 네트워킹 구조에서의 하이브리드 계층적 이동성 관리 방안 (Hybrid Hierarchical Architecture for Mobility Management in Mobile Content Centric Networking)

  • 이지훈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47-1151
    • /
    • 2018
  •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든 콘텐츠를 생성하고 공유함에 따라 CCN이라고 하는 새로운 네트워킹 구조가 등장하게 되었다. CCN은 IP 주소가 아닌 콘텐츠 이름 자체를 패킷 식별자로 사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CCN 프로토콜은 콘텐츠 소스의 이동성을 지원하는데 문제를 갖고 있으며, 이로 인해 패킷 전달시 긴 전송 지연과 긴 서비스 단절 문제를 나타낸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계층적 이동성 관리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이 또한 interest 패킷의 손실과 긴 핸드오프 지연이라는 문제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이동성 관리 방안을 제시하며, 성능 분석으로 제안 방안이 감소된 제어 오버헤드의 손실율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