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ense R&D project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초

Earned Schedule 개념을 활용한 국방 연구개발 사업진도 기법의 일정 관리 및 예측 기능 연구 (Research of Schedule Managing and Forecasting for Project Progress Method in Defense Research & Development using Earned Schedule Concept)

  • 조정호;류상철;임재성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67-574
    • /
    • 2019
  • Traditional project progress method(PPM) has been used for Korean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for the last 20 yea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performance in terms of the project schedule, because the PPM does not provide the function of managing and forecasting project schedul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new schedule managing and forecasting function for the PPM using earned schedule management concept. We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functions through several defense projects and prove that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of the PPM.

국방획득체계와 연계한 국방 인공지능(AI) 체계 시험평가 방안 (Test and Evaluation Procedures of Defense AI System linked to the ROK Defense Acquisition System)

  • 이용복;최민우;이민호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29-237
    • /
    • 2023
  • In this research, a new Test and Evaluation (T&E) procedure for defense AI systems is proposed to fill the existing gap in established methodologies. This proposed concept incorporates a data-based performance evaluation, allowing for independent assessment of AI model efficacy. It then follows with an on-site T&E using the actual AI system. The performance evaluation approach adopts the project promotion framework from the defense acquisition system, outlining 10 steps for R&D projects and 9 steps for procurement projects. This procedure was crafted after examining AI system testing standards and guidelines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vilian sectors. The validity of each step in the procedure was confirmed using real-world data. This study's findings aim to offer insightful guidance in defense T&E, particularly in developing robust T&E procedures for defense AI systems.

기동무기체계 개발에서 외형 디자인 결정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xterior Design Decision Process of the Maneuver Weapon System Development)

  • 윤병조;이호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3권2호
    • /
    • pp.1-8
    • /
    • 2017
  • The Core in Weapon system R&D is to realize the user required capabilities in limited schedule and cost. Therefore, the design of weapon system focuses to functional design for realization of requirement capabilities. However, the weapon system should not only basically bring the confidence to friendly forces bring fear to enemy forces to maximize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weapon systems and we consider the exterior design as the important factor to compete with foreign systems in international defense market besides capabilities and cost. For that reason, we made study case about the visual design decision process applied to the LVT(light tactical vehicle) project which was recent successful deployment among the many R&D projects of auto industry. Based on this cas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the exterior design decision process the maneuver weapon system is developed.

시스템공학 기반의 무기체계 부품국산화 연구개발 프로세스 연구 (A Study on Products Localization Process of Weapon Systems R&D based on Systems Engineering)

  • 나재현;이주욱;김시옥;노돈석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6권1호
    • /
    • pp.78-83
    • /
    • 2020
  • Recently, the use of domestic products securing domestic technology is encouraged, because of export restrictions of the countries or DMSMS(diminishing manufacturing sources and shortages). Domestic weapon systems are actively focused on the parts localization process of R&D projects based on Systems Engineering. However, it is the only way to do technical review for Systems Engineering process up to now. There is a case of application in Localization with Systems Engineering process, but the SE activity is not enough. This study is how to apply Systems Engineering process to Localization effectively based on real cases.

한국 국방 연구개발 프로젝트 일정 관리 및 예측을 위한 Earned Schedule 기법의 적용 효과와 한계 분석 (An Analysis of Effect and Limitation when Adapting Earned Schedule Method for Schedule Management and Estimation in Korean Defense Research & Development Projects)

  • 조정호;임재성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96-402
    • /
    • 2018
  • Earned Value Management(EVM) has been used to manage and forecast defense project schedule and cost over the last two decades in the world. However to support the lacking ability of schedule analysis in traditional EVM, earned schedule(ES) has been introduced as a tool to more accurately estimate schedule performance. This paper compares which method EVM or ES, provides more accurate schedule predictors in 32 Korean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As a result of comparison, the ES method can predict the future schedule more reliably than the EVM method. We also analyze early warning function of schedule performance index considering project duration extension point.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we confirm that both the EVM and the ES method lack the ability of the early warning in terms of the current schedule management criterion.

국가연구개발사업 및 국방연구개발사업 간 비교법적 검토 - 항공기산업 진흥을 위한 기술료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Comparative legal review between national R&D projects and defence R&D programs - A study on improvement of royalty system for the promotion of aircraft industry -)

  • 이해준;김선이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3-180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자동차산업, 조선업 등 일부 중공업이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생산규모와 기술수준을 달성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전이 저조한 항공기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법적, 정책적 사안의 개선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의 항공기산업이 여타 산업에 비해 저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국가 경제규모를 비롯하여 관련 산업의 발달 수준, 항공기 기술 수준, 항공기 제조 수요 등의 변수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시장구조를 구축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산업은 경쟁체제의 시장구조 하에 민간이 주도하여 성장하지만, 항공기산업과 같은 중공업은 막대한 규모의 초기 투자비용과 높은 기술력, 충분한 양의 수요를 확보하여야만 최소한의 경제성을 유지할 수 있기에 불완전경쟁체제의 시장구조 하에 정부가 주도하여 성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우리나라의 항공기산업은 군 수요를 중심으로 하는 군용 항공기를 개발하고 양산하는 것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미국과의 BASA(Bilateral Aviation Safety Agreement; 상호항공안전협정)를 체결함으로써 분위기의 반전을 도모하였다. 이에 차세대 중형항공기 개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까지 2010년에 수행되었으나 컨소시움 대상인 캐나다의 Bombardier사와 입장 차이로 인해 무산되고, 현재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단독으로 Bombardier사의 Q400 면허생산을 추진 중이며 그마저도 순탄치 않다. 이처럼 개발에 난항을 겪고 있는 중대형 민간 항공기에 비해 KAI와 항우연 등에서 민수용 헬기를 비롯하여 무인항공기, 유인항공기의 무인화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또한 무인항공기 분야는 세계적으로 독점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제조사가 아직까지 마땅하지 않으므로 향후 항공기산업 육성을 위해 민간용 헬기 및 무인항공기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정부 주도의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KT-1과 T-50과 같은 군용항공기도 순조롭게 수출되고 있는 추세이며, 대한민국 내 항공기 제조에 관한 최대 수요자는 군이라는 점을 간과할 수 없으므로 민군겸용 개발(spin-up), 군용기술 개발 후 민간이전(spin-off), 민간기술 개발 후 국방 분야 활용(spin-on)이 가능하도록 국가연구개발사업과 국방연구개발 사업을 동시에 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양 사업은 사업추진 방식과 전담부서, 기술료 제도에 있어 여러 차이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과 국방연구개발사업의 기술 소유권과 실시권, 그리고 기술료 제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해당 제도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DEA를 활용한 국방벤처 지원사업 연구개발 및 사업화 성과 분석 (R&BD Performance Analysis of Defense Venture Program Using DEA)

  • 박진수;김진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50-59
    • /
    • 2021
  • 민간 중소기업의 국방진출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국방벤처 지원사업은 기업이 보유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국방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15년부터 방위사업청 출연금으로 운영되어 84개 과제를 지원해왔으며, 사업초기에 선정된 과제의 성과가 '18년부터 발생하고 있는 성과발생 초기단계의 사업이다. 향후 예산의 효율적인 활용과 효과적인 지원방안 수립을 위해 초기성과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누적된 3년간의 성과분석을 위해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술성과와 사업화성과를 복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단계별 성과분석모형을 적용하였다. 또한, 과제별로 투입된 예산 대비 연구개발 및 사업화효율성을 비교하였으며, 우수과제의 성과요인 파악을 위해 과제별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성과분포와 높은 효율성을 갖는 과제의 특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사업수행 및 지속적인 성과창출을 위한 발전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지원방안 수립이 가능할 것이며, 결과적으로는 국방벤처 지원사업의 효율성 강화와 우수성과 확대가 기대된다.

전력소요 통합검증을 위한 국방 R&D사업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iority of Defense R&D Project for Verifying Weapon Systems Requirement)

  • 이호진;안남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53-159
    • /
    • 2018
  • 최근 들어 국방 분야 무기 시스템의 연구개발은 점차 대형화, 복잡화 그리고 장기화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예산 및 개발 기간도 증가추세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국방 분야에서는 민간분야의 예비 타당성 제도를 벤치마킹하여 전력소요검증위원회를 설치 운영하여 소요의 적절성, 사업의 추진 필요성 및 우선순위 등을 검증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무기체계 개발의 효과적인 개발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있다. 첫 번째로 국방 분야의 연구개발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요소들을 기존 연구결과 및 국내 실정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AHP 기법을 사용하여 기술적인 위험 및 수익성 차원에서 평가 요소들의 가중치 값을 구하였다. 또한, 연구개발 사업인 32개 무기체계에 방법론을 적용하고 결과를 위험성과 수익성 차원의 4가지 분류로 분석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기존 방법론에서는 간과할 수 있었던 수익성 차원의 분석이 가능해 짐에 따라 위험성이 높더라도 수익성이 높은 사업에 대한 재검토가 가능해졌으며 전략적인 국방연구개발 예산의 배분이 가능해졌다.

양산성 확보를 위한 체계공학 기반의 개발단계 품질보증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age Quality Assurance Solution based on System Engineering for Securing Producibility)

  • 김승우;진희철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75-189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s to built the manual for quality assurance at development stages based on the system engineering to prevent the lack of mass product capability in advance. Methods: This study have proposed quality baseline and review guidelines of outputs in system development stages for R&D quality assurance of Domestic weapons systems Results: We apply the this method to 21 projects of military area in 2016, and we present 1,291 supplementary requirements such as adding the missing test items. Conclusion: This method contribute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quality of development and production and reduce the configuration management effort during the initial production.

민간 신기술의 국방 분야 도입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Technology in the Realm of Defense)

  • 전수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49-256
    • /
    • 2020
  • 4차 산업혁명 기술은 산업계 전반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효율성을 증대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도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이 신산업과 신기술로 발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 및 재정적 지원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미국, 독일, 일본과 같은 주요 선진국의 경우 정부 주도 혹은 민간 주도를 통하여 4차 산업혁명을 제조업, 금융업 등의 산업에 흡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테스트 베드의 기회를 늘려 새로운 기술을 시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하지만 국가 안보, 보안, 기술 보호 등의 제약으로 인해 민간의 신기술이 국방 분야에 즉시 도입하기에는 여러 한계점이 존재하며, 실제로 신기술이 국방 분야에 도입된 사례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기술 정책 및 사례 조사를 통해 민간의 신기술을 국방 분야에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내 국방 산업의 경우 중소기업의 국방 연구개발 사업 참여 기회 확대를 통한 4차 산업혁명의 선도가 필요하며, 둘째로, 민간의 신기술이 군에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기존 연구개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기술들이 군에 적용하고 시험할 수 있는 환경을 늘려 연구개발의 자율성 보장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향후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국방 정책 연구에 기여하고, 국방 분야 신기술 도입 전략 수립 및 동향 파악에 유용하게 활용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