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ect Possibility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39초

Reconstruction of Abdominal Wall of a Chronically Infected Postoperative Wound with a Rectus Abdominis Myofascial Splitting Flap

  • Bae, Sung Kyu;Kang, Seok Joo;Kim, Jin Woo;Kim, Young Hwan;Sun, Hook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0권1호
    • /
    • pp.28-35
    • /
    • 2013
  • Background If a chronically infected abdominal wound develops, complications such as peritonitis and an abdominal wall defect could occur. This could prolong the patient's hospital stay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operation or another infection as well. For this reason, a solution for infection control is necessary. In this study, surgery using a rectus abdominis muscle myofascial splitting flap was performed on an abdominal wall defect. Methods From 2009 to 2012, 5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due to ovarian rupture, cesarean section, or uterine myoma were chosen. In each case, during the first week after operation, the wound showed signs of infection. Surgery was chosen because the wounds did not resolve with dressing. Debridement was performed along the previous operation wound and dissection of the skin was performed to separate the skin and subcutaneous tissue from the attenuated rectus muscle and Scarpa's fascial layers. Once the anterior rectus sheath and muscle were adequately mobilized, the fascia and muscle flap were advanced medially so that the skin defect could be covered for reconstruction. Results Upon 3-week follow-up after a rectus abdominis myofascial splitting flap operation, no major complication occurred. In addition, all of the patients showed satisfaction in terms of function and esthetics at 3 to 6 months post-surgery. Conclusions Using a rectus abdominis myofascial splitting flap has many esthetic and functional benefits over previous methods of abdominal defect treatment, and notably, it enabled infection control by reconstruction using muscle.

MeV Si 자기 이온주입된 단결정 Silicon내의 결함 거동 (Defect Formatìon and Annealìng Behavìor in MeV Si Self-Implanted Silicon)

  • 조남훈;장기완;서경수;이정용;노재상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6권7호
    • /
    • pp.733-741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MeV Si 자기 이온주업을 실시하여 주업원자와 모재 원자와의 화학적 영향이 배제된 결함 형성 거동을 관찰하였다. 자기 이온주업을 위하여 Tandem Accelerator가 사용되었고 1~3 MeV의 에너지 범위의 이온주입이 실시되었다. MeV 이온주입된 시편의 격자결함은 표면으로부터 고립된 $R_p$ 근처에 집중된 것이 관찰되었다. 주입에너지 변화에 따른 격자결함 생성 거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조사량을 $1{\times}10^{15}/cm^2$으로 고정하고 주입에너지를 1~3 MeV로 증가하였다. RBS 분석 결과 격자결함의 형성층 깊이는 에너지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표면층에는 에너지 증가시 더욱 좋은 결정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주입에너지가 일정한 경우 조사량 증가시 $R_p$ 부근에 집중된 결함층의 농도는 증가하였으나 표면부근의 결함농도는 임계조사량 이상에서 포화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XTEM 분석 결과는 RBS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XTEM 관찰 결과 이온주업 상태의 결함층은 dark band의 형태로 관찰되었고 열처리시 이차결함은 이곳으로부터 생성되었다. 2MeV $Si^+$ 자기 이온주입시 이차결함이 형성되는 임계조사량은 $3{\times}10^{14}{\sim}5{\times}10^{14}/cm^2$ 사이로 관찰되었다. 열처리시 dark band의 하단부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고 상단부만이 제거되었다.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들은 Monte-Carlo technique을 이용한 TRIM-code를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SIMS 분석을 통하여 이차결함은 모재내에 존재하는 oxygen 불순물을 gettering함을 관찰하였다.

  • PDF

재조합 골형성 단백질 2형(rh-BMP-2) 함유 무세포성 진피조직(acellualr dermal matrix)의 골재생 효과 (Effects of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loaded Acellular Dermal Matrix on Bone Formation)

  • 송대석;김태균;정의원;최성호;조규성;채중규;김종관;김창성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3호
    • /
    • pp.511-522
    • /
    • 2007
  • Introduc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the acellular dermal matrix (ADM) as a barrier membrane for bone regeneration, and to evaluate the osteogenic effect of ADM as a carrier system for rhBMP-2 in the rat calvarial defect model. Materials and Methods: An 8-mm, calvarial, critical-size osteotomy defect was created in each of 60 male Spraque-Dawley rats(weight $250{\sim}300g$). Three groups of 20 animals, each received either rhBMP-2(0.025mg/ml) in an ADM carrier, ADM only, or negative surgical control. And each group was divided into 2- and 8-weeks healing intervals. The groups were evaluated by histologic and histomorphometric parameters(10 animals/group/healing intervals). Data were expressed as $means{\pm}standard$ deviations($m{\pm}SD$). Comparison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made using two-way ANOVA and post hoc t-test. Comparisons between 2 weeks and 8 weeks were made using paired t-test. The level of statistical difference was defined as P< 0.05. Results : The ADM group and rhBMP-2/ADM group results in enhanced local bone formation in the rat calvarial defect at both 2 and 8 weeks. The amount of defect closure and new bone formation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rhBMP-2/ADM group relative to ADM group(P<0.05). At 8 weeks, the majority of ADM in the defect was contracted, and integrated with surrounding host tissues. In addition, host cell infiltration and neovascularization of the ADM in the absence of an inflammatory response were observed, and the newly formed bone around ADM showed a continuous remodeling and consolidation.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ADM may be used as a barrier membrane for bone regeneration and that may be employed as a delivery system for BMPs.

하악골의 불연속 결손부 재건 시 비혈행화 장골이식술의 골흡수율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Bone Resorption Rate after Nonvascularized Iliac Bone Graft for Mandibular Discontinuity Defect)

  • 최진욱;이충오;황희돈;김진욱;권대근;김진수;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398-403
    • /
    • 2012
  • Purpose: Mandible resection and discontinuity defect created lead to aesthetic and functional problems. The iliac crest bone graft exhibits relative ease for bone harvesting, possibility of two team approach, ability to close the wound primarily, large amount of corticocancellous bone and relatively few complications. Whereas the use of free vascularized flaps has donor site morbidity and worse-fitting bone contour, the use of nonvascularized iliac bone graft has advantages in the operation time and patients' recovery time. So, nonvascularized iliac bone graft could be an attractive option. Methods: Twenty-one patients (M:F=1:1.1) underwent iliac crest bone harvesting for reconstruction of mandibular discontinuity defect (mean length : $61.6{\pm}17.8$ mm), from May 2005 to October 2011 at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he average age was $44.1{\pm}16.4$ years and the mean follow up periods was $28.2{\pm}22.7$ months. Bone resorption rate, according to age, sex, primary lesion, location and distance of defect, type of fixation plate, time of graft and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were measured in each patient. Results: The mean bone resorption rate was $16.1{\pm}9.0%$. Bone resorption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mandibular defect that is over 6 cm in size (P=0.015, P<0.05) and the cases treated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P=0.017, P<0.05). All was successfully fixed and maintained for the long-term follow-up. There were a few donor site complications and almost all patients were shown favorable outcome without severe bone resorption in this study. Conclusion: The nonvascularized iliac bone graft seems to be a reasonably reliable treatment option for reconstruction of mandibular discontinuity defects.

아파트 하자 보수 시설공사 세부공종 머신러닝 분류 시스템에 관한 연구 (Classifying Sub-Categories of Apartment Defect Repair Tasks: A Machine Learning Approach)

  • 김은혜;지홍근;김지나;박은일;엄재용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9호
    • /
    • pp.359-366
    • /
    • 2021
  • 대한민국 건설사들은 아파트 하자 정보를 축적하고 보수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상당한 인력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자 접수 상세내용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자 보수 시설공사에 따른 세부공종을 분류하는 머신러닝 모델을 제안한다. 두 가지 단어 임베딩(Bag-of-words,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TF-IDF))과 두 가지 분류기(Support Vector Machine, Random Forest)를 통해 한국어로 작성된 65만건 이상의 하자 접수데이터로부터 하자보수 시설공사 세부공종을 분류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특정 시설공사(마감공사)의 9개 세부공종(가전제품, 도배공사, 도장공사, 미장공사, 석공사, 수장공사, 옥내가구공사, 주방기구공사, 타일공사)을 분류하는 이진분류 모델과 다중 분류 모델을 연구했다. 그 결과, TF-IDF와 Random Forest를 사용한 두가지 분류 모델에서 90%이상의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 및 F1점수를 확인했다.

유지관리단계의 하자 재발생을 고려한 창호공사 시공단계의 중점관리요소 분석 (Analysis of Major Factors of Window Work in Construction Phase Considering Recurrence of Defects in the Maintenance Phase)

  • 정우진;김대영;임지영;박현정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53-664
    • /
    • 2021
  • 최근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의 건설기준 강화에 따라 고효율 주택의 수요가 증가하며, 창호공사의 비중이 함께 증가하고 있다. 창호는 사용빈도가 높고, 시공 시 특성에 따라 많은 하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정부 기관이 공공임대주택에서 발생한 하자 민원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접수된 민원 중 창호공사의 하자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해보았고, 국내의 기존연구들은 창호공사의 시공 특성과 유지관리의 중요성을 반영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또한, 기존의 국외 연구들은 비용적 측면을 함께 고려해 시공자와 거주자의 입장을 모두 고려하였으며, 하자와 원인의 관계를 구조화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호공사의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해 시공 특성을 반영하고, 하자 보수 후 재발생 가능성에 기초한 유지관리의 중요성을 함께 고려해 중점관리요소를 도출할 것이다. 또한, 궁극적으로 하자 유형과 원인의 인과관계를 분석해 직관적 판단이 가능한 하자 유형별 중점관리요소를 선정함으로써 실효성 높은 하자관리 방안을 제시해 시공단계 하자를 예방하고 유지관리 비용을 저감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단순 이차성 심방 중격 결손의 자연 경과와 성장에 따른 결손의 크기 변화 (The Natural Course and Size Change of Atrial Septal Defect Secundum)

  • 최덕영;최재영;김미진;설준희;이승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9호
    • /
    • pp.871-875
    • /
    • 2003
  • 목 적 : 소아에서 두 번째로 빈도가 높은 심방 중격 결손의 조기진단이 점차 증가하면서 그 자연 경과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한 부분이 많으며 특히 결손의 크기 변화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보고가 많지 않은 현실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다른 선천성 심질환이 없는 순수한 이차성 심방 중격 결손 환아의 심초음파 추적 관찰을 통해 성장에 따른 결손크기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5년간 연세 심장 혈관 병원 심장 소아과에서 새롭게 심방 중격 결손증으로 진단 받은 272명의 환아 중 다른 선천성 심질환이 있거나, 추적 관찰기간이 12개월 미만이었거나, 추적 관찰 도중 어떠한 이유든 수술이나 중재적 심도자술을 시행 받은 환아들을 제외한 89명을 대상으로 심초음파적 추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심초음파적 크기는 늑골하 장, 단축면상에서 얻은 것으로 통일하였다. 진단 시 결손크기에 따라, 나이에 따라 각각 4개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군에서 결손의 자연 폐쇄 여부와 시간경과에 따른 결손의 크기변화(mm/월)를 알아보았다. 또한 폐쇄군과 비폐쇄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군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결 과 : 대상 환아 89명 중 결손의 크기가 5 mm 미만인 군은 총 25명(28%), 이중 22명(88%)이 자연폐쇄 되었으며 평균 결손의 크기 변화는 -0.206(mm/월)이었다. 5-8 mm인 군은 총 22명(24.7%), 이중 10명(45.5%)이 자연 폐쇄되었으며 평균 결손의 크기변화는 -0.067이었다. 9-12 mm인 군은 총 26명(29.3%), 이중 3명(11.5%)이 자연 폐쇄되었으며 평균 결손의 크기변화는 +0.058이었다. 12 mm 초과인 군은 총 16명(18%), 이중 자연폐쇄는 없었으며 평균 결손의 크기변화는 +0.155이었다. 연령에 따른 분류에서 1, 2, 3, 5세를 기준으로 각각 기준 이하와 초과의 군으로 나누었을 때 3세까지는 자연 폐쇄와 결손의 크기변화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P<0.05) 5세가 되면 차이가 없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손이 폐쇄된 군은 총 35명(39.3%), 폐쇄되지 않은 군은 54명(60.7%)으로 두 군 사이의 통계학적 차이는 진단 시 결손의 크기였다. 비폐쇄군의 절대적인 결손 크기변화는 +0.116(mm/월)으로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결손의 크기가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P<0.005), 이를 체표면적으로 환산하였을 경우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결 론 : 소아의 단순 심방 중격 결손증에서 첫 진단 시 결손의 크기가 작을수록, 연령이 어릴수록 자연 폐쇄의 가능성이 높으며 자연 폐쇄되지 않는 경우 결손의 절대적 크기가 증가되나 체표면적으로 환산시 통계학적 의의는 없다. 결손의 자연 폐쇄는 평균 26.2개월에 이루어져 진단 후 약 2년 이상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타격음 주파수 분석법에 의한 원통 병렬 구조물의 파손 여부 식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ction of Defects from Parallel Cylindrical Objects Using Spectral Analysis of Acoustic Impact Signal)

  • 방호균;조철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2-20
    • /
    • 1995
  • 본 논문은 충격 음향법에 의한 원통형 물체의 결함 검출 방법에 관한 원리와 실험 결과를 기술한다. 원통형 물체가 가지게 되는 공진 주파수는 물체의 직경, 길이 등의 물리적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이러한 원통형 물체를 자유 공진 시킬 경우 구조물 고유에 주파수 및 고조파 성분이 내포된 음향을 방생시킨다. 결함이 존재하는 물체에 충격ㄷ이 가해질 경우 발생하는 음향은 정상의 경우와 구별되며, 주파수 성분 분석을 통해 보다 명확한 식별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음향 충격법에 의한 결함 검출 기법은 연구 대상 물체의 경우 결함 유무를 완벽하게 판정할 수 있었으며, 차후 유사한 형태의 구조물에 대한 결함 검출에도 응용될 수 있다.

  • PDF

외상성 복벽 탈장 환자에서 biologic mesh를 이용한 치료 (A Case of Traumatic Ventral Hernia Repair with a Porcine Dermal Collagen Graft (Permacol))

  • 유병철;정민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5권2호
    • /
    • pp.63-66
    • /
    • 2012
  • Resection of the bowel is necessary for the repair of a ventral hernia after recovery from trauma in some cases. In such instances, polyester or polypropylene meshcannot be used due to the possibility of infection; we had to use biological mesh instead. We report a case in which a traumatic hernia was repaired with Permacol (Covidien, Norwalk, CT, USA). A 42-year-old male patient had been injured by a factory machine seven months prior to admission. At that time, he had abdominal wall injury and small bowel perforation. His abdominal wall had been a defect after operation. A CT scan of the abdomen showed that the left abdominal wall, which is lateral to left rectus abdominis muscle had only one muscle layer, an external oblique muscle, and that a previous abdominal incision had a defect along the entire incision. During the exploration, 10 cm of small bowel was removed due to firm adhesion to the previous surgical scar. Permacol mesh was applied and fixed with transfascial fixations and tacks by using the intraperitoneal onlay mesh technique. There were no complications after the surgery and the patient was discharged without any problems.

폴리머 시멘트 슬러리 도장철근의 인발부착 특성 (Pullout Bond Characteristics of Polymer Cement Slurry Coated Rebars)

  • 김현기;김민호;장성주;김완기;소양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7-122
    • /
    • 2001
  • Recently, epoxy-coated re-bar used to the structure partly and put to practical use step, but not economical and appeared to the defect of deterioration of long term bond strength between concrete. The method for complement the defect of epoxy coated re-bar, study of polymer cement slurry coated re-bar started and basic properties appeared to excellent, but study of bond properties embedded in concrete specimens insufficient until now.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ation of using possibility for bond strength of polymer cement slurry coated re-bar between concrete specimens compare to ACI Code and KS Code through pull-out test of 15cm$\times$15cm$\times$15cm specimens with polymer cement slurry coated re-bar as polymer cement ratio 50%, 100%, 150%, coating thickness 250${\mu}{\textrm}{m}$, 440${\mu}{\textrm}{m}$ and curing age.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bond strength of polymer cement slurry coated re-bar compare to plain re-bar, epoxy coated re-bar decreased St/BA-modified polymer cement slurry coated re-bar, but bond strength of PA-modified polymer cement slurry coated re-bar appeared to excellent results. The bond properties of polymer cement slurry coated re-bar between concrete will be obtain more precise results according to compressive strength change of concrete and re-bar diameter siz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