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atural Course and Size Change of Atrial Septal Defect Secundum

단순 이차성 심방 중격 결손의 자연 경과와 성장에 따른 결손의 크기 변화

  • Choi, Deok Young (Division of Pediatric Cardiology, Yonsei Cardiovascular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Jae Young (Division of Pediatric Cardiology, Yonsei Cardiovascular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Mi Jin (Division of Pediatric Cardiology, Yonsei Cardiovascular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ul, Jun Hee (Division of Pediatric Cardiology, Yonsei Cardiovascular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ung Kyu (Division of Pediatric Cardiology, Yonsei Cardiovascular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최덕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혈관병원 소아심장과) ;
  • 최재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혈관병원 소아심장과) ;
  • 김미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혈관병원 소아심장과) ;
  • 설준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혈관병원 소아심장과) ;
  • 이승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혈관병원 소아심장과)
  • Received : 2003.05.24
  • Accepted : 2003.07.09
  • Published : 2003.09.15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ollow the natural course and size change of isolated atrial septal defect(ASD) secundum. Methods : Among the newly diagnosed with ASD secundum at the division of pediatric cardiology in Yonsei cardiovascular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2000, 89 patients with pure ASD secundum were checked by the serial echocardiographic evaluation to measure the size change. Results :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P<0.05) in the rate of spontaneous closure and size change of the defect between the group of bigger defect(>8 mm) and the group of smaller defect (${\leq}8mm$). There was also a statistical difference(P<0.05) in the rate of spontaneous closure and size change of the defect between the group of younger than three years of age and the group of older than three years of age. The initial size of the defect and change of size were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in the rate of spontaneous closing of ASD. In the group of patients who have persistent ASD, the size of defect showed a tendency of increasing size of defect with the age(P<0.005); however in the correction of these values by the body surface area of each patient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Conclusion : The possibility of spontaneous closure of pure ASD secundum was higher in the group of patients who have smaller defect and who were younger. The ASD secundum that did not have spontaneous closure showed an increase in size with the growth of the patients; however when this size was corrected by the body surface area,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The closure of the defect was at 26.2 months of age so close follow-up of the patients is important.

목 적 : 소아에서 두 번째로 빈도가 높은 심방 중격 결손의 조기진단이 점차 증가하면서 그 자연 경과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한 부분이 많으며 특히 결손의 크기 변화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보고가 많지 않은 현실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다른 선천성 심질환이 없는 순수한 이차성 심방 중격 결손 환아의 심초음파 추적 관찰을 통해 성장에 따른 결손크기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5년간 연세 심장 혈관 병원 심장 소아과에서 새롭게 심방 중격 결손증으로 진단 받은 272명의 환아 중 다른 선천성 심질환이 있거나, 추적 관찰기간이 12개월 미만이었거나, 추적 관찰 도중 어떠한 이유든 수술이나 중재적 심도자술을 시행 받은 환아들을 제외한 89명을 대상으로 심초음파적 추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심초음파적 크기는 늑골하 장, 단축면상에서 얻은 것으로 통일하였다. 진단 시 결손크기에 따라, 나이에 따라 각각 4개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군에서 결손의 자연 폐쇄 여부와 시간경과에 따른 결손의 크기변화(mm/월)를 알아보았다. 또한 폐쇄군과 비폐쇄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군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결 과 : 대상 환아 89명 중 결손의 크기가 5 mm 미만인 군은 총 25명(28%), 이중 22명(88%)이 자연폐쇄 되었으며 평균 결손의 크기 변화는 -0.206(mm/월)이었다. 5-8 mm인 군은 총 22명(24.7%), 이중 10명(45.5%)이 자연 폐쇄되었으며 평균 결손의 크기변화는 -0.067이었다. 9-12 mm인 군은 총 26명(29.3%), 이중 3명(11.5%)이 자연 폐쇄되었으며 평균 결손의 크기변화는 +0.058이었다. 12 mm 초과인 군은 총 16명(18%), 이중 자연폐쇄는 없었으며 평균 결손의 크기변화는 +0.155이었다. 연령에 따른 분류에서 1, 2, 3, 5세를 기준으로 각각 기준 이하와 초과의 군으로 나누었을 때 3세까지는 자연 폐쇄와 결손의 크기변화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P<0.05) 5세가 되면 차이가 없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손이 폐쇄된 군은 총 35명(39.3%), 폐쇄되지 않은 군은 54명(60.7%)으로 두 군 사이의 통계학적 차이는 진단 시 결손의 크기였다. 비폐쇄군의 절대적인 결손 크기변화는 +0.116(mm/월)으로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결손의 크기가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P<0.005), 이를 체표면적으로 환산하였을 경우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결 론 : 소아의 단순 심방 중격 결손증에서 첫 진단 시 결손의 크기가 작을수록, 연령이 어릴수록 자연 폐쇄의 가능성이 높으며 자연 폐쇄되지 않는 경우 결손의 절대적 크기가 증가되나 체표면적으로 환산시 통계학적 의의는 없다. 결손의 자연 폐쇄는 평균 26.2개월에 이루어져 진단 후 약 2년 이상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