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line of memory performanc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노인의 기억수행감소와 관련 요인 (The Decline of Memory Performances of Old Adults and its Correlated Factors)

  • 민혜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68-478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degree of memory decline and to confirm its correlated factors in old adults.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68 old adults over the age 65 who living in Busan. Data were collected by the interview metho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testing method on the memory performance. Results: The old adults' memory performances declined in tasks of immediately word recall, delayed word recall, and face recognition and increased slightly in word recognition over 2 years. However, there was on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layed word recall task. The significant variables to predict memory decline were age, literacy, depression, locus, and strategy. Conclusion: The memory decline of old adults wasn't more serious problem than the perceived one. There needs to be some intervention programs to prevent memory decline for the elderly.

  • PDF

주관적 기억장애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의미연상과제 수행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emantic association task performance in elderly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 강서정;박성현;김정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283-292
    • /
    • 2019
  • 초기의 인지 감퇴를 판단하는 요소로 의미지식 및 의미 연관관계의 범주별 손상 유무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및 주관적 기억장애,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의미연상과제를 사용하여 인지 감퇴의 정도에 따라 관찰되는 의미 하위범주별 수행과 오류유형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의미연상과제 범주별 정반응 점수와 반응시간에서 세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하위범주 중, '기능'에서 가장 높은 수행력을, '상위'와 '부분/전체'에서 가장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또한, 오류유형별 산출 횟수는 정상에서 경도인지장애 노인으로 갈수록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무반응은 주관적 기억장애 노인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인지 감퇴가 진행될수록 의미연결망에서 범주별 손상의 정도와 과정이 다르므로, 기억장애 노인의 인지적 감퇴를 확인하고 추적 관찰하기 위한 지표로 의미연상과제 수행력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기 수면 부족과 시공간 기억력 저하 (Insufficient Sleep and Visuospatial Memory Decline during Adolescence)

  • 이창우;전세현;조성진;김석주
    • 수면정신생리
    • /
    • 제26권1호
    • /
    • pp.16-22
    • /
    • 2019
  •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에서 전산화 신경인지 검사를 이용하여 수면 부족과 시공간 기억력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방 법: 심각한 내외과적 질환이 없는 만 16세에서 만 18세 사이의 고등학생 103명(남자 26명, 여자 77명, 평균 연령 $17.11{\pm}0.50$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에게 주중 총 수면 시간과 주말 총 수면 시간에 대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주간 졸음과 우울 증상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엡워스 졸음 척도와 벡 우울 척도를 자가 작성하도록 하였다. 시공간 기억을 평가하기 위해 캠브리지 신경정신검사 자동화 총집의 7개 하부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나이와 성별, 엡워스 졸음 척도, 벡 우울 척도를 보정한 상관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말 총 수면 시간이 길수록 지연 표본 대응(r = -0.312, p = 0.002)와 패턴 재인 기억의 즉각 회상(r = -0.225, p = 0.025)의 정답률이 낮았다. 주말 수면 보충 시간이 길수록 지연 표본 대응(r = -0.236, p = 0.018)과 패턴 재인 기억의 즉각 회상(r = -0.220, p = 0.029), 패턴 재인 기억의 지연 회상(r = -0.211, p = 0.036)의 정답률을 낮았다. 결 론: 주중 수면 부족를 반영하는 주말 수면 보충 시간이 길수록 시각 기억의 지연 회상에서 낮은 수행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기에 수면 부족이 심할수록 청소년의 시공간 기억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여성 우울증 입원 환자에서 폐경 여부에 따른 인지기능의 차이 (Menopause and Cognitive Function : Hospitalized Female Patients with Depression)

  • 유지영;민정아;전양환;한상익;박이진
    • 생물정신의학
    • /
    • 제23권4호
    • /
    • pp.199-204
    • /
    • 2016
  • Objectives Although forgetfulness is a common complaint among menopausal depressed women, there is still a debat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y impairment and menopau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menopause is related to cognitive decline among women with depressive disorders. We hypothesized that postmenopausal depressed women show generally poorer performance than premenopausal depressed women on various cognitive function tests. Methods With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e identified a total of 87 female patients (45 premenopausal patients and 42 postmenopausal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with depressive disorders from 2000 to 2016.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and cognitive test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Education year is longer in premenopausal group than postmenopausal group whereas clinical characteristics (illness duration, recurrence, and symptom severity) and mean Intelligence Quotient (IQ)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The postmenopausal group took longer time for Bender-Gestalt Test (BGT) recall, Trail Making Test (TMT)-A, and TMT-B than the premenopausal group. After controlling for age and education,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mained for BGT recall (p = 0.029). Conclusions Postmenopausal state may be related with decline of visuospatial memory function, in particular, among depressed female patients. Other areas of cognitive function including complex attention, verbal memory, auditory memory, and working memory might be interpreted while considering age and education level.

신경정신질환의 컴퓨터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Computer Models of Neuropsychiatric Diseases)

  • 고인송;박정욱
    • 생물정신의학
    • /
    • 제6권1호
    • /
    • pp.12-20
    • /
    • 1999
  • 뇌공학 분야에서 개발된 연상기억의 능력을 가지는 Hopfield 신경망을 구성하고, 신경정신질환 중에서 시냅스의 손실과 관련이 되어서 생기는 치매와 일부 정신분열증의 모델로 변형시키기 위하여 인공신경망의 시냅스를 Hoffman의 시냅스 제거법칙과 무작위 방법에 따라 제거하면서, 그에 따른 기억능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구성된 컴퓨터모델에서 기억능력의 저하는 시냅스의 감소가 상당히 진행되어야 나타났으며, Hoffman의 시냅스 제거법칙에 따랐을 때는 80% 제거를 기점으로 급격하게 나타났으며, 무작위 제거시는 더 적은 시냅스 제거율인 40% 제거 때부터 점진적으로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컴퓨터 모델의 기억력저하 양상이 실제환자에서 관찰되는 기억력저하 양상을 설명할 수 있기 위해서는 증상이 발현되는 시점의 시냅스 소실의 정도는 얼마나 되는지, 또한 시냅스의 소실은 어떤 규칙에 의해 일어나는지 아니면 무작위로 일어나는지에 관한 생물학적 실험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와 같이 컴퓨터모델을 이용하여 모의실험을 하고 연구의 방향을 잡은 후에 생물학적 실험으로 검증해 나간다면, 매우 효율적인 이론과 실험의 공조체제를 이루어 신경정신질환의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PDF

Emerging evidence that ginseng components improve cognition in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early Alzheimer's disease dementia

  • Rami Lee;Ji-Hun Kim;Won-Woo Kim;Sung-Hee Hwang;Sun-Hye Choi;Jong-Hoon Kim;Ik-Hyun Cho;Manho Kim;Seung-Yeol Nah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8권3호
    • /
    • pp.245-252
    • /
    • 2024
  • Ginseng i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use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as a tonic. Recent scientific cohort studies on life prolongation with ginseng consumption support this record, as those who consumed ginseng for more than 5 years had reduced mortality and cognitive decline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Clinical studies have also shown that acute or long-term intake of ginseng total extract improves acute working memory performance or cognitive function in healthy individuals and those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SMI),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or early Alzheimer's disease (AD) dementia who are taking AD medication(s). Ginseng contains various components ranging from classical ginsenosides and polysaccharides to more recently described gintonin. However, it is unclear which ginseng component(s) might be the main candidate that contribute to memory or cognitive improvements or prevent cognitive decline in older individuals. This review describes recent clinical contributors to ginseng components in clinical tests and introduces emerging evidence that ginseng components could be novel candidates for cognitive improvement in older individuals, as ginseng components improve SMI cognition and exhibits add-on effects when coadministered with early AD dementia drugs. The mechanism behind the beneficial effects of ginseng components and how it improves cognition are presented. Additionally, this review shows how ginseng components can contribute to SMI, MCI, or early AD dementia when used as a supplementary food and/or medicine, and proposes a novel combination therapy of current AD medicines with ginseng component(s).

노화에 대한 고정관념 위협이 노인의 공간 작업기억 및 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ereotype Threat on Spatial Working Memory and Emotion Recognition in Korean elderly)

  • 이경은;이완정;최기홍;김현택;최준식
    • 한국노년학
    • /
    • 제36권4호
    • /
    • pp.1109-112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정관념 위협이 노인의 공간 기억 및 정서인식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개인이 지니고 있는 노화에 대한 인식에 따라 고정관념 위협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60세 이상 노인 17명(남=7)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첫 번째 방문 시 K-WMS-IV와 MMSE를 포함한 기본 인지기능 검사를 실시하고, 자신의 노화에 대한 인식, 노화 불안, 노화에 대한 태도, 연령 정체성 척도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방문 시, 실험군의 경우 노화가 인지기능을 저하시킨다는 스크립트를 읽도록 하여 고정관념 위협에 노출시켰으며, 대조군의 경우 중립적인 스크립트를 읽도록 하였다. 고정관념위협을 조작한 이후 공간 작업기억 과제 (콜시 블록 태핑 과제)와 정서 인식 과제 (얼굴표정 정서인식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고, 수행의 정확도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고정관념 위협에 노출된 노인 군이 그렇지 않은 노인 군에 비해 정서인식 과제에서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 정확도 (p<.05)를 보였다. 또한 자신의 노화에 대한 인식과 고정관념 위협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어(p<.05), 자신의 노화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노인들은 고정관념 위협에 노출되더라도 정서인식 과제와 어려운 공간 작업기억 과제에서 대조군과 유사한 수행 정확도를 보인 반면, 자신의 노화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인 노인들은 고정관념 위협에 노출되었을 때, 매우 저조한 수행 정확도를 나타내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정관념 위협이 노인의 정서인식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자신의 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고정관념 위협으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의 보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지노화의 사회심리학적 요인: 노화 고정관념과 자기신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cial-Psychological Factors on Cognitive Aging: Effects of Age Stereotypes and Self-Referent Belief)

  • 이고은;이혜원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751-76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인지노화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학적 요인에 대해 개관하였다. 노화로 인한 인지기능의 변화는 세부 기능별로 상이함에도 인지노화는 쇠퇴의 관점으로 주로 해석되고 있다. 인지노화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은 노화 고정관념(age stereotype)과 같은 사회심리학적 요인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노화 고정관념은 문화권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보통 부정적인 측면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더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보일수록 기억 수행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 고정관념을 실험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경우, 긍정적인 고정관념을 제시받은 노인이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제시받은 노인에 비해 더 높은 기억 수행을 보였다. 자신의 인지기능에 대한 평가인 자기신념(self-referent belief)도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보통 노인의 자기신념이 청년의 자기신념보다 낮게 나타나고, 자기기억신념의 수준은 실제 기억 수행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상의 사회심리학적 요인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Facial Emotion Recognition in Older Adults With Cognitive Complaints

  • YongSoo Shim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8-168
    • /
    • 2023
  • Background and Purpose: Facial emotion recognition deficits impact the daily life, particularly of Alzheimer's disease patients. We aimed to assess these deficits in the following three groups: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SCD),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mild Alzheimer's dementia (AD). Additionally, we explored the associations between facial emotion recognition and cognitive performance. Methods: We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Florida Facial Affect Battery (K-FAB) in 72 SCD, 76 MCI, and 76 mild AD subjects. The comparison was conducted using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ith adjustments being made for age and sex.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was utilized to gauge the overall cognitive status, while th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SNSB)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in the following five cognitive domains: attention, language, visuospatial abilities, memory, and frontal executive functions. Results: The ANCOVA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K-FAB subtests 3, 4, and 5 (p=0.001, p=0.003, and p=0.004, respectively), especially for anger and fearful emotions. Recognition of 'anger' in the FAB subtest 5 declined from SCD to MCI to mild AD. Correlations were observed with age and education, and after controlling for these factors, MMSE and frontal executive function were associated with FAB tests, particularly in the FAB subtest 5 (r=0.507, p<0.001 and r=-0.288, p=0.026, respectively). Conclusions: Emotion recognition deficits worsened from SCD to MCI to mild AD, especially for negative emotions. Complex tasks, such as matching, selection, and naming, showed greater deficits, with a connection to cognitive impairment, especially frontal executive dysfunction.

클라이언트 중심 가정방문 일상생활훈련이 인지지원등급, 노인의 인지기능, 작업수행, 일상생활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strument-Activities Daily Living Training through Client-Centered Home Visitation on Cognitive Functions,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Instrument-Activities Daily Living among Elderly at the Cognitive Support Grade)

  • 손보영;방요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43-154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strument-activities daily living training through client-centered home visitation on the cognitive functions,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instrument-activities daily living of elderly at the cognitive support grade(Grade6). Methods :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66-year-old woman living in G Metropolitan City, who has been diagnosed with Alzheimer's and mild dementia. The study period was from March 17, 2020 through June 12, 2020, and the A-B-A' design, among the individual case experiments, was adopted as the study design. For the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d visual analysis using graph were used for the change of cognitive functions,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instrument-activities daily living. Results : The instrument-activities daily living provided through client-centered home visitation improved the subject's cognitive functions, occupational performance(performance, satisfaction) and instrument-activities daily living.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daily life training through client-centered home visitation can help elderly people at the cognitive support grade select for themselves the problems of daily life caused by cognitive decline and practice specific action plans, thereby enabling them to maintain and improve the cognitive functions necessary for the performance of activities, such as comprehension, memory, and thinking skills.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the activities based on the subject's preferences, performance, and sense of importance assured the subject of feelings of motivation and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on,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s performance speed and rate. With the above in mind, Instrument-activities daily living client-centered home visitation is proposed as a potential practical intervention program for individuals. It can help elderly people at cognitive support grade to maintain and improve their functions, thereby delaying the progress of their condition to severe dement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