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entralized Identifier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InfoDID: A robust user information management serivce based on Decentralized Identifiers

  • Kwon, Min-Ho;Lee, Myung-J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75-84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정보를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DID 기반의 견고한 사용자 정보 관리 서비스인 InfoDID를 소개한다. 블록체인 기술은 탈중앙화 기반으로 데이터를 투명하게 다룰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현재 블록체인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통제할 수 있는 분산 식별자를 지원하는 DID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들이 시도되고 있다. InfoDID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 기술을 활용하여 빈번히 요청되는 개인 정보를 신뢰성 있게 제어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다른 서비스들에게 제공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서비스의 연속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InfoDID는 블록체인 응용서비스의 견고한 실행을 제공하는 BR2K 기법을 채택하여 부분적인 서비스 실패의 경우에도 체계적으로 복구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InfoDID와 같이 BR2K 기법을 적용한 블록체인 응용서비스의 복제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결함 복구를 지원하는 복제 상태 모니터링 도구가 제시된다.

전력계토 안정화 제어를 위한 신경회로만 분산체어기의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eedforward Neural Network Based Decentralized Controller for the Power System Stabilization)

  • 최면송;박영문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43권4호
    • /
    • pp.543-552
    • /
    • 1994
  • This paper presents a decentralized quadratic regulation architecture with feedforward neural networks for the control problem of complex systems. In this method, the decentralized technique was used to treat several simple subsystems instead of a full complex system in order to reduce training time of neural networks, and the neural networks' nonlinear mapping ability is exploited to handle the nonlinear interaction variables between subsystems. The decentralized regulating architecture is composed of local neuro-controllers, local neuro-identifiers and an overall interaction neuro-identifier. With the interaction neuro-identifier that catches interaction characteristics, a local neuro-identifier is trained to simulate a subsystem dynamics. A local neuro-controller is trained to learn how to control the subsystem by using generalized Backprogation Through Time(BTT) algorithm. The proposed neural network based decentralized regulating scheme is applied in the power System Stabilization(PSS) control problem for an imterconnected power system, and compared with that by a conventional centralized LQ regulator for the power system.

DID 기술에 기반 한 분산 신원 인증 시스템 (Distributed Identity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DID Technology)

  • 시정;신승수;한성화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7-22
    • /
    • 2023
  • 전통적인 인증 시스템은 중앙 집중식 신원 관리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인증한다. 이러한 인증 방식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분산신원기술을 사용하여 탈중앙화신원증명(DID : Decentralized Identifier)에 기반 한 분산신원인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QR 코드 스캔 방식으로 로그인하는 방식으로 분산 신원인증 시스템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신원의 고유성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어 로그인 과정에서 보안성이 향상된다. 제안한 시스템은 DID를 사용하고 InterPlanetary File System(IPFS)를 통합하여 조직 구성원의 신원 정보를 안전하게 비공개로 관리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분산 신원 인증 시스템을 사용하면, 조직 구성원의 보안 및 개인 신원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해 솔루션으로 확장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자기주권 신원 생태계를 위한 신뢰할 수 있는 통신 방법 (The Reliable Communication Method for Self-Sovereign Identity Ecosystems)

  • 최규현;김근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3호
    • /
    • pp.91-98
    • /
    • 2022
  • 최근 가상공간과 물리공간이 디지털 융합된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물리공간에서의 많은 활동이 웹 기반의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질 전망이다. 따라서 분산 식별자 기반 가상공간 환경에서 사생활과 상호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자기주권 신원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식별자 기반 자기주권 신원시스템을 위해 Hyperledger Indy와 DIDComm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분산 식별자, 비대칭 키, DID 문서를 생성하여 블록체인과 지갑에 등록하는 절차, DIDComm 메시지로 구성된 신뢰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이는 통신 참여자 간의 신뢰를 위한 추가적인 정보 교환 및 검증 가능한 자격증명을 교환하여 서로를 검증하는데 활용이 가능하다

재구성된 영지식 증명을 활용한 탈중앙형 자기 주권 신원의 안전한 비식별화 및 데이터 주권 관리 (Secure De-identification and Data Sovereignty Management of Decentralized SSI using Restructured ZKP)

  • 조강우;전미현;신상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205-217
    • /
    • 2021
  • 탈중앙형 SSI(Self Sovereign Identity)가 새로운 디지털 신원 식별 기술의 대안으로 등장하였으나 이는 데이터 거래의 고유 알고리즘 특성으로 인해 효율적인 비식별화 기법이 제안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SSI의 탈중앙형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ZKP(Zero Knowledge Proof)의 검증 결과를 검증인 측에서 외부에 제공 가능한 형태로 재구성함으로써 식별자를 제거하지 않는 비식별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이는 검증 참여 각 개체에 대한 차등 주권 관리 개념을 제안하는 것으로 재구성된 비식별 데이터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안 모델은 탈중앙형 SSI 환경에서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을 만족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인 비식별 처리 및 주권 관리를 제공한다.

BCON : Blockchain-based Content Management Service Using DID

  • Kim, Hye-Won;Lee, Young-Eun;Kwon, Min-Ho;Lee, Myung-J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97-10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개인 스스로가 자신의 신원을 인증하여 개인 콘텐츠를 안전하게 보관, 콘텐츠에 대한 자신의 소유권을 신뢰성 있게 보장받을 수 있는 서비스인 BCON을 제안한다. 데이터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탈중앙화된 신원확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DID 기술은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자신의 신원정보에 대한 주권을 강화하고 스스로 개인 정보에 대한 통제가 가능하다. BCON은 블록체인에 사용자가 지정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DID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 신원을 인증하여, 사용자가 개인 콘텐츠를 안전하게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하고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BCON은 콘텐츠 서비스 검증자, 콘텐츠 보관 서비스, 콘텐츠 매니지먼트 컨트랙트 및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며, 서비스 권한 관리를 위한 DID 레지스트리를 운영한다.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미터 인증 프로토콜 (Blockchain-based Smart Meter Authentication Protocol in Smart Grid Environment)

  • 김종현;김명현;박영호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41-54
    • /
    • 2023
  • 스마트 그리드는 효율적인 에너지 생산과 소비, 관리를 지원해주는 전력망 시스템으로 다양한 분야와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공개된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환경에서는 보안 취약점과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신뢰 문제 해결은 필수적이다. 특히, 스마트 미터 단말의 식별정보는 중앙화된 서버를 통해 일괄적으로 관리되며, 중앙화된 관리 구조는 단말기 탈취, 데이터 위조 및 변조, 삭제 등 공격에 취약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탈중앙 분산원장 기술인 블록체인을 활용한 스마트 미터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블록체인을 통한 개별 스마트 미터 단말의 고유한 분산식별자(DID) 발급과 물리적복제방지기술(PUF)을 기반한 난수 값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무결성과 신뢰성을 강화한다. 또한 비정형 보안 분석 및 AVISPA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제안한 방식의 안전성을 분석하고 관련 연구들과 비교하여 효율적인 방식임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