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ys to 50% germination rate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4초

특산식물 말오줌나무와 노랑말오줌나무의 종자발아 및 분화묘 재배특성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and Potted Seedlings Growth of Endemic Species,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and Sambucus sieboldiana for. xanthocarpa)

  • 이수광;이동준;김효연;구자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359-367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특산식물 말오줌나무와 노랑말오줌나무의 종자저장방법 및 전처리가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과 토양종류 및 차광이 분화묘 재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말오줌나무의 종자 발아율은 60일간 노천매장 후 $GA_3$ 100 ppm 24시간 침지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48.6%)을 보였다. 노랑말오줌나무의 종자 발아율은 30일간 저온습윤처리 후 $GA_3$ 100 ppm 24시간 침지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51.4%)을 나타내었다. 발아된 말오줌나무 유묘(신초 2 cm, 뿌리 3 cm)를 원예용상토로 충진된 분화 용기에 이식하여 50% 차광처리 조건에서 75일간 재배하면 초장 41 cm, 엽수 8매, 엽폭 16 cm, 엽장 18 cm, 근장 22 cm, 생중량 상/하, 20/6.9 g, 건중량 상/하, 4.5/2.0 g 이상의 우수한 분화묘 생산이 가능하였다. 이와 비슷하게 발아된 노랑말오줌나무 유묘(신초 2 cm, 뿌리 3 cm)를 원예용상토로 충진된 분화 용기에 이식하여 무차광처리 조건(대조구)에서 75일간 생육시키면 초장 39 cm, 엽수 10매, 엽폭 12 cm, 엽장 15 cm, 근장 22 cm, 생중량 상/하, 21/13 g, 건중량 상/하, 4.2/2.2 g 이상의 우수한 분화묘 생산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말오줌나무와 노랑말오줌나무의 종자발아에는 노천매장이나 저온습윤처리 후 $GA_3$ 용액 침지처리가 필요하고 분화묘 재배에는 원예용상토가 충진된 분화용기에 이식 후 무차광 혹은 50% 차광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밀 수확시기가 종실의 수량과 발아 및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rvesting Time on Seed Yield,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Rye (Secale cereale L.))

  • 류한욱;강광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6-133
    • /
    • 1988
  • 우리나라에서 호밀을 채종 목적으로 재배할 때 여름 장마로 인한 호밀 성숙후기 이후에 발생하는 종자 품질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기수확한계기를 구명하고자 팔당 호밀(재래종)을 공시하여 출수후 25일부터 55일까지 5일 간격으로 수확기를 달리하고 종실발육 수량 및 종자활력에 관한 시험조사를 1984년 및 1986년에 영남대학교 실험농장에서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확기별 천립중변화는 출수후 50일까지는 수확 지연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나 그 이후는 연차에 따라 일정하지 않았다. 종실수분함량은 수확이 늦었을 때 반대로 감소하였다. 2. 종실의 길이는 출수후 30일까지 빠르게 그리고 그 이후는 완만하게 신장되었고, 두께와 폭은 출수후 50일까지 완만하게 발육되었다. 3. 수확기가 늦어짐에 따라 수량이 높아지는 영향은 뚜렷하나 출확기 40일과 45일 수확에서 차이가 크다. 4. 2$0^{\circ}C$ 항온에서 종자발아율은 출수후 25일 수확구를 제외하면 종자성숙에 따라 발아율의 차이가 없으나, 1$0^{\circ}C$, 3$0^{\circ}C$에서는 출수후 35일 이전 수확에서 발아율이 낮았다. 실온에서 pot 에 파종한 경우 발아율은 2$0^{\circ}C$ 항온에서와 유사하였다. 5. pot에서 초장은 종자성숙이 진전될수록 긴 경향이나 출수후 45일 이후 수확 종자간에는 차이가 없고 유묘의 건물중은 출수후 50일까지 종자성숙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6. 항온에서 종실의 성숙일수와 발아율간의 상관은 저온(1$0^{\circ}C$) 및 발아초기(치상후 4일)에서만 정의 상관이 있었다. pot 에서는 종실의 성숙일수와 초장, 건물중 그리고 천립중간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7. 포장에서 월동후 유식물수 비율은 57~67%로 출수후 30일~50일에 수확한 종실간의 차이가 없으나 생육초기의 초장은 출수후 35일 이전 수확한 종실의 경우는 작았다. 출수기는 출수후 40일 수확한 종실은 출수기가 늦지 않으며 간장은 종자 성숙정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8. 채종목적인 호밀 재배에서 우기를 회피하여 종자 수량감소 최소화할 수 있는 수확기는 출수후 45 일 (개화후 38일)경 이라고 본다.

  • PDF

Protoplast Preparation and Regeneration from Young Hyphae of the Citrinin Producing Fungus Monascus ruber

  • Norlha, Tenzin;Lee, In-H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43-546
    • /
    • 2005
  • Optimized conditions for protoplast preparation and regeneration from young hyphae of Monascus ruber were established. Heat shock treatment of spores gave rapid and synchronized germination. Spores collected from cultures grown for 7-8 days at $30^{\circ}C$ were germinated until over 70% germ tubes reached to 3-5 spore length. Enzymatic digestion of young hyphae was optimal with 50 mg/mL Glucanex in 0.1 M sodium citrate buffer containing 0.8 M mannitol as an osmotic stabilizer. Regeneration rate was around 10% when 0.8 M sorbitol was used as an osmotic stabilizer in regeneration medium. These conditions will be applied in genetic study of M. ruber that produces citrinin at high level and thus is good model strain for molecular genetic dissection of citrinin biosynthesis.

Phytoremediation of Cu-contaminated Soil and Water by Commelina communis

  • Kim, Sung-Hyun;Lee, In-So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1호
    • /
    • pp.7-13
    • /
    • 2005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tolerance of Commelina communis to growth in Cu-contaminated soil and water We examined the germination rate, root and shoot growth of seedlings, fresh biomass in soil and water, and ability to eliminate Cu. We found that C. communis eliminated 41% of Cu in soil containing 50 mg Cu/kg and removed over 50% of Cu from water containing 100 mg Cu/L Cu. In addition, the plants could accumulate 90 mg Cu/g when grown in soil containing 50 mg Cu/kg and 140 mg Cu/g when grown in soil containing 100 mg Cu/kg thus higher levels of Cu removal were observed in soils containing higher Cu concentrations. In water, the maximal accumulation rate was 4.9 mg Cu/g root and 1.2 mg Cu/g shoot in water containing 20 mg Cu/L, and 7 days after exposure, Cu absorption saturated. Further, the growth rate of C. communis was not affected by up to 100 mg Cu/kg in the soil. Therefore, the phytotoxic effect of Cu on plant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Cu was raised, although to different extents depending on whether the Cu was in soil or water. Overall, Cu removal from soil by C. communis was most effective at 100 mg Cu/kg in soil and 10 mg Cu/L in water. Finally, we identified two peaks of Cu-binding ligands in C. communis. Which is a high molecular weight peak (HMWL) at 60 kDa (Fraction 17 to 25) and a Cu binding peptide peak at <1 kDa (Very low molecular weight ligand: VLMWL). Cu-binding peptide (Cu-BP) was observed to have an amino acid composition typical of phytochelations.

Characteristics of Biodegradable Films and Their Effects on Soybean Growth

  • Ye Geon Kim;Hyo Jin Lee;Do Jin Lee;Yong In Kuk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0-50
    • /
    • 2022
  • Recently, the use of mulching film has increased in soybean cultivation. Polyethylene (PE) films and biodegradable films (BF) have the advantages of improving soil moisture retention, geothermal maintenance, and CO2 maintenance as well providing weed control. Furthermore, BFs are a material that can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PE because it has the ability to decompose naturally by soil microorganisms, sunlight, and geothermal heat. Many researches have been carrying out studie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BFs for these very reasons. This study was conducted better understand which films are optimal for soybean cultivation after evaluations of soybean growth and film characteristics of various BFs. BFs Farmsbio (Farm Hannong), Heulgro Film (Sejin Bio), Vonto Film (Eco-Hansung), two unnamed biodegradable films (Seojin Bio and Taesung), and a PE film were used in this study. For the control plots, no mulching was used. Experimental fields were fertilized according to conventional cultivation methods, tilled, and then covered with either BFs or PE films. After 1 week, soybean (cv. Daechan) seeds were seeded. Germination rate and plant height were measured at weekly intervals after seeding. In addition, pH, EC, and decomposition and light transmittance levels of films were measur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Daily average temperatures and relative humidity in soils was measur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rmination rates and plant height in both crops grown with BFs and PE films, but crops grown in the control plot had significantly lower germination rates and growth. Soil p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gardless of treatments (BF, PE, and non-mulching) at 14, 28, and 42 days after seeding. In general, the EC contents in the control plots was lower than in crops grown using BFs and PE films. With the exception of some BFs, light transmittance and decomposition levels of films did not, in general, increase up to 70 days after soybean seeding. Since this study is ongoing, we are continually investigating these parameters. The average daily moisture in soil was higher in crops grown with BFs and PE films than in the control plot. However, the daily average soil temperature was not consistent regardless of treatments. Therefore, the BFs u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without negative impacts on soybean growth.

  • PDF

2, 4, 6-trinitrotoluene에 대해 내성을 지닌 토착 식물종 선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creening of 2, 4, 6-trinitntoluene Tolerant Indigenous Herbaceous Piano)

  • 배범한;김선영;이인숙;장윤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4호
    • /
    • pp.3-11
    • /
    • 2001
  • TNT를 제거하기 위한 식물종을 선정하기 위해 8종의 대표적인 야초류를 이용하여 TNT 식물독성 임계점을 측정하였다. 독성 임계점은 TNT 농도변화에 대한 발아율, 유식물의 뿌리와 지상부의 생장율, 생체량 및 수분 흡수 능력 등을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TNT가 식물에게 미치는 독성효과는 오염물의 농도와 식물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60-80mgTNT/L 농도는 어저귀, 식용피, 자귀풀 종자의 발아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발아 후 14일동안 어저귀, 식용피, 자귀풀의 뿌리 생장에 있어 식물 독성 임계점(50%) 농도는 5-40 mgTNT/L이며 지상부 생장은 50-73mgTNT/L, 생체량은 68-99mgTNT/L이다. 뿌리와 지상부의 길이, 생체량은 TNT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수분 흡수량도 감소하였다. 야초류의 서로 다른 독성 임계점을 비교해 보면 뿌리 길이 > 지상부 길이 > 생체량 > 발아율 순으로 TNT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실험 결과, 8종의 식물 중에서 어저귀와 자귀풀은 TNT에 대해 내성을 지닌 종으로 판명되었다.

  • PDF

규소 시용에 의한 오이 흰가루병 발병억제 (Effects of soluble silicon on development powdery mildew(Sphaerotheca fuliginea) in cucumber plants)

  • 이중섭;임명순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7-43
    • /
    • 2000
  • 본 시험은 오이 양액재배시 배양액내 규산칼륨($K_{2}SiO_{3}$) 처리에 의한 흰가루병 방제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규산 칼륨($K_{2}SiO_{3}$, $25{\sim}27%$$SiO_{2}$ Kanto)을 0.85 mM(50 $mg{\cdot}L-^{-1}$), 1.7 mM(100 $mg{\cdot}L-^{-1}$) 및 3.4 mM(200 $mg{\cdot}L-^{-1}$)의 농도로 배양액에 처리하고 1.7 mM, 8.5 mM, 17 mM 및 34 mM의 농도로 엽면살포하였다. 생육중기(정식 51일)에 규산 3.4 mM 배양액 처리구는 흰가루병 병반면적율이 2.3%로 0.95 mM 처리구의 38.3%에 비해 현저히 억제되었다. 그러나 1.7 mM과 3.4 mM 처리간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배양액내 규산의 농도를 0.05 mM에서 4.10 mM까지 증가시켰을 때 잎당 병반수, 병반면적 및 발아관 길이는 규산의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규산을 처리한 잎에서의 분생포자 발아율은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저농도 처리구(1.40 mM 이하)에서는 $14.7%{\sim}20.3%$, 고농도처리구(1.85 mM 이상)에서는 $9.0%{\sim}12.4%$였다. 2% 물한천 배지에서의 농도시험에서는 발아율이 $1.1%{\sim}2.0%$로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규산칼륨을 17 mM의 농도로 희석하여 엽면살포한 결과 무처리에 비하여 흰가루병 발생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방제효과 지속기간은 병원균 접종후 4일까지였다.

  • PDF

벼 수발아시 종실내 효소활성의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 in Enzyme Activities during Preharvest Germination of Rice)

  • 고종철;김보경;이규성;최원영;최혜란;조은애;윤성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378-383
    • /
    • 2005
  • 수발아는 벼 재배에서 주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수발아시 배유 저장 양분의 이용능력과 항산화 효소의 수발아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배유 저장양분 이용능력과 항산화 효소를 포함하는 효소의 활성은 수발아 중인 종자와 완전 성숙 건조한 종자에서 측정하였다. 효소 활성을 조${\cdot}$중만생 품종으로부터 수발아성이 서로 다른 각각 4개의 품종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만생종에서 출수후 40일된 종실의 수발아율은 남평벼, 퐁안벼, 호안벼, 동진벼 순으로 높았으며 동진벼의 수발아율은 약 $62\%$였다. 조생종에서 수발아율은 운봉벼, 오대벼, 대관벼, 대성벼 순으로 높았으며 대성벼의 수발아율은 약 $59\%$였다. 2. $\alpha$-amylase 활성은 수발아율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출 수 후 40일된 종파의 $\alpha$-amylase 활성은 중만생종에서는 동진벼자 가장 높았고 조생종에서는 대성벼가 가장 높았다. 또한, 완전 성숙한 건조 종자의 $\alpha$-amylase 활성은 수발아성이 높은 품종에서 더 높았다. $\beta$-amylase활성은 $\alpha$-amylase활성에 비하여 매우 낮았으며, 조${\cdot}$중만생 품종 모두에서 $\beta$-amylase 활성과 수발아성 사이에는 일정한 관련성이 없었다. 3. 수발아 종자와 완전 성숙한 건조 종자의 glucose 함량은 수발아성이 높은 품종에서 더 높았다. 4. peroxidase 활성은 조${\cdot}$중만생종 모두에서 수발아율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으나 Catalase 활성은 수발아성과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가시오갈피 개갑종자의 저온처리에 의한 발아 묘목의 생육특성 (Dehisced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Affected by Chilling Period in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 이성호;임정대;김명조;허권;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47-351
    • /
    • 2003
  • 가시오갈피종자의 적정파종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개갑종자의 저온처리기간에 따른 발아율을 조사하고 파종시기에 따른 묘목의 생존율과 생육정황을 조사하였다. 1. 채종하여 $15^{\circ}C$에서 140여일 간 모래로 층적저장한 종자는 냉장온도 $(5^{\circ}C)$에서 10일부터 발아하기 시작하여 85일까지 개갑종자는 93.7%, 비개갑종자는 26.1%가 발아하였다. 개갑종자와 비개갑종자 모두에서 85일 이후에 는 발아율의 증가가 둔화되었다 2. 유묘출현율, 생존율, 묘소질을 비교한 결과 5월 11일 이전에 저온에서 발아한 종자를 포트에 가식하는 것이 적정하였다. 3. 저온처리중 발아종자 길이 에 따른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는 하배축이 $0.5{\sim}2$ cm 신장하였을 때 파종한 처리구의 생존율이 가장 높았다. 4. 발아종자의 생존율은 50%차광처리에서 30% 차광보다 10배 높게 나타났다. 5. 4월 10일과 5월 11일 사이에 파종하는 것이 묘의 생육에 가장 좋으며 적정 파종시기를 지나치더라도 적절한 관리대책만 따라가면 4월부터 8월까지 거의 모든 생육기간중에 발아종자 파종이 가능하였다.

땅콩나물용 품종선발과 고함량 레스베라트롤 생육단계 구명 (Cultivar Selection for Peanut Sprouts and Investigation on the Growth Stage for the High Level of Resveratrol)

  • 박은지;이규빈;허유;손병구;최영환;이용재;박영훈;임채신;강점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3-68
    • /
    • 2015
  • 땅콩나물의 재배에 적합한 온도와 품종, 그리고 최적 레스베라트롤 생산을 위한 생육단계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땅콩나물용 적정품종을 선발하고자 8가지 국내외 육성품종의 외형적 특징, 발아율, 발아세, 유묘활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세근 발생량이 낮고 하배축이 굵은 '조평'이 가장 적절하였고, 땅콩나물 재배에 적합한 온도는 $27^{\circ}C$로 판단되었다.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높은 땅콩나물의 적정 생육시기를 구명하고자 치상 후 생육조사와 동시에 HPLC를 이용한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조사한 결과 레스베라트롤은 치상 후 9일차에 $17.0{\mu}g/g$ 이상의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땅콩나물은 생산적 측면과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을 고려했을 때 치상 후 9일차에 땅콩나물을 수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