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base Security

검색결과 634건 처리시간 0.03초

상세 접근 통제와 안전한 데이터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보안 시스템 (A Database Security System for Detailed Access Control and Safe Data Management)

  • 조은애;문창주;박대하;홍성진;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6권5호
    • /
    • pp.352-365
    • /
    • 2009
  • 최근 데이터베이스의 보안 취약성으로 인해, 내부의 비인가자 또는 인가자의 데이터 접근에 대한 통제 정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의 데이터베이스 권한부여 방식은 관리자가 데이터베이스 오브젝트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다양한 사용자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정책을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할 수 없다. 또 다른 데이터베이스 보안 방법인 데이터 암호화는 데이터의 인덱싱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보안 정책을 반영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요청되는 네트워크상의 패킷 분석을 통한 데이터베이스의 접근 통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보안 시스템에서는 특정 일자 및 시간, SQL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문자열, 결과 데이터 수, 레벨에 따른 컬럼 제한 등의 통제 정책을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정보 및 SQL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공개키 인증과 메시지 인증코드 교환으로 무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취약점 데이터베이스 기반 개선된 보안관제 모델의 효과성 연구 (A Study of Effectiveness of the Improved Security Operation Model Based on Vulnerability Database)

  • 현석우;권태경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1167-1177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기존 보안관제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위한 취약점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새로운 보안관제 모델과 그 효과성을 연구한다. 제안한 모델은 로그 탐지를 위한 정보보호 장비, 취약점 데이터베이스, 탐지 로그와의 연동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대시보드로 구성하였다. 모델의 평가는 사전에 구축한 가상 인프라에서 모의공격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기존의 방식과 달리 자산이 가지고 있는 보안 취약점에 특화된 공격 위협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고 취약점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한 보안관제로 탐지 규칙 간의 중복을 발견하여 최적의 탐지 규칙을 작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ccess Control Mechanism for CouchDB

  • Ashwaq A., Al-otaibi;Reem M., Alotaibi;Nermin, Hamz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2호
    • /
    • pp.107-115
    • /
    • 2022
  • Recently, big data applications need another database different from the Relation database. NoSQL databases are used to save and handle massive amounts of data. NoSQL databases have many advantages over traditional databases like flexibility, efficiently processing data, scalability, and dynamic schemas. Most of the current applications are based on the web, and the size of data is in increasing. NoSQL databases are expected to be used on a more and large scale in the future. However, NoSQL suffers from many security issues, and one of them is access control. Many recent applications need Fine-Grained Access control (FGAC). The integration of the NoSQL databases with FGAC will increase their usability in various fields. It will offer customized data protection levels and enhance security in NoSQL databases. There are different NoSQL database models, and a document-based database is one type of them. In this research, we choose the CouchDB NoSQL document database and develop an access control mechanism that works at a fain-grained level. The proposed mechanism uses role-based access control of CouchDB and restricts read access to work at the document level. The experiment shows that our mechanism effectively works at the document level in CouchDB with good execution time.

비공간 정보와 보안 등급을 갖는 공간 객체를 위한 다중인스턴스 기법 (A Polyinstantiation Method for Spatial Objects with Several Aspatial Information and Different Security Levels)

  • 오영환;전영섭;조숙경;배해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0권6호
    • /
    • pp.585-592
    • /
    • 2003
  • 공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레이어 상에서 보안등급이 다른 두개 이상의 비공간 정보로 이루어진 공간 객체를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공간 객체 관리를 위해 관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다중인스턴스화(polyinstantiation) 기법을 적용하면 공간 객체의 표현상 문제와 상이한 보안등급을 가지는 주체의 접근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service denial)와 정보 노출(information flow)이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이한 접근등급을 갖는 공간 객체를 위한 다중인스턴스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공간 객체에 대해 보안등급 변환검사 단계와 다중인스턴스 생성단계를 통하여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새로운 공간 객체를 생성하고, 이를 보안 정책에 활용한다. 또한 상이한 등급의 사용자가 공간 객체에 대하여 다양한 보안 연산을 요구할 경우 발생하는 서비스 거부와 정보노출의 문제점을 각 등급에 따른 공간 객체 다중인스턴스를 생성하여 해결한다.

분산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암호화 된 사용자 인증 모듈을 적용한 데이터베이스 보안 시스템 (Study On Distribute Computing Network Security Using Encrypted User Security Module)

  • 이대영;김옥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15-320
    • /
    • 2006
  • 분산 컴퓨터 네트워크는 단일 시스템의 동작 정지로 인한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적 게 함으로써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한 개의 대형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보다 나은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스템이 확장 및 재구성이 용이하다[1]. 그러나,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공유는 실생활이 되고 있는 반면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에 대한 위험성은 증가하고 있다[2],[3].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운영적 요소와 기술적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러한 요소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암호화 데이터베이스 보안시스템 모델을 제시한다. 제시한 모델에 운영적 요소와 기술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결합시킨다면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암호화 데이터베이스 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웹 응용 시스템 개발을 위한 보안을 고려한 통합 분석·설계 방법론 개발 - Oracle11g를 중심으로 - (A Development of the Unified Object-Oriented Analysis and Design Methodology for Security-Critical Web Applications Based on Object-Relational Database - Forcusing on Oracle11g -)

  • 주경수;우정웅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69-177
    • /
    • 2012
  • 응용 시스템 개발 과정에 있어서 중요하고 핵심을 이루는 작업은 분석과 설계 작업이며 아울러 대부분의 응용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구축된다. 또한, IT 시스템들 간 상호 연결이 증가되면서 응용 시스템들은 외부공격에 쉽게 노출되어 지고 있기 때문에 보안과 관련된 처리 과정 역시 중요하다. 보안은 시스템에서 많은 부분과 상호작용을 하는 복잡한 비기능적 요구사항이다. 하지만 이러한 보안은 대부분 개발 마지막 과정에서 고려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한 응용 시스템이 개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개발 초기에 보안을 반영한 분석 및 설계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J2EE는 웹 응용 시스템을 위한 보안 방안을 제공하고, 아울러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도 보안을 위하여 역할기반 접근제어를 지원하고 있지만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및 J2EE의 역할기반 접근제어를 활용하는, 요구사항 수집부터 구현까지 개발 단계 전체에 걸친 보안을 고려한 일관된 개발방법론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안 요구사항을 요구사항 수집부터 분석 및 설계 그리고 마지막 구현 단계까지 반영하여 J2EE 기반의 웹 응용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보안을 고려한 일관된 통합 분석 설계 방법론을 제안한다.

클라우드 환경하에서의 안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cure Database Controlled Under Cloud Environment)

  • 김성용;김지홍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259-1266
    • /
    • 2013
  • 최근 데이터베이스의 크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기업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클라우드 형태로 아웃소싱하고 있으며, 이때 클라우드 서비스업체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의 보안은 매우 중요하다. 데이터베이스 내의 중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암호화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지만, 일단 암호화되고 난 후에는 더 이상 검색하기 어려워진다. 암호화된 데이터베이스에서의 검색 성능은 암호화 방법과 검색 방법에 의해 좌우된다. 본 논문에서는 가변길이의 키워드 인덱스와 블룸필터를 사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업체의 관리하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암호화 방법 및 효율적인 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방법이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및 관련 응용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Optimizing Intrusion Detection Pattern Model for Improving Network-based IDS Detection Efficiency

  • Kim, Jai-Myong;Lee, Kyu-Ho;Kim, Jong-Seob;Kim, Kuinam J.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37-45
    • /
    • 2001
  • In this paper, separated and optimized pattern database model is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efficiency of Network-based IDS, pattern database is classified by proper basis. Classification basis is decided by the specific Intrusions validity on specific target. Using this model, IDS searches only valid patterns in pattern database on each captured packets. In result, IDS can reduce system resources for searching pattern database. So, IDS can analyze more packets on the network. In this paper, proper classification basis is proposed and pattern database classified by that basis is formed. And its performance is verified by experimental results.

  • PDF

대학 학사 데이터베이스 통합 보안 모델 설계 (Integrative Security Model Design for Academic Affairs Database)

  • 정윤수;신승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235-241
    • /
    • 2012
  • 최근 교육 수월성 제고와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서 대학에서는 정보화를 추진하고 있으나 개인정보를 비롯한 학사행정과 관련된 중요 정보들이 학사 데이터베이스에 집적되어 있어 그에 따른 보호 대책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학사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사용되는 DBMS의 접근제어, 기밀성, 무결성 그리고 보안감사 등이 보장되도록 대학의 현실에 적합한 학사 데이터베이스 통합 보안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상당 수 대학들이 데이터베이스 보안 제품을 활용하고 있지 못한 여건을 고려하여 DBMS가 제공하는 기능만으로 보안의 가장 핵심 요소인 기밀성 등을 구현하는 세부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트랜잭션 순서 기반 보안 동시성 제어 기법 (Transactions Ordering based Secure Concurrency Control Scheme)

  • 이원섭;이상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57-64
    • /
    • 2005
  • 각기 다른 보안 등급을 가지고 트랜잭션을 실행하는 다중 등급 보안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에서의 보안 동시성 제어 기법은 비밀통로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보안 동시성 제어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동시성 제어 과정에서의 기밀성은 보장하고 있지만 무결성과 가용성에 대한 고려를 간과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검증된 트랜잭션 순서 관계를 사용하여 각기 다른 보안 등급의 트랜잭션들 간에 형평성을 제공하는 보안 동시성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