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base Security

검색결과 634건 처리시간 0.038초

A Fully Distributed Secure Approach using Nondeterministic Encryption for Database Security in Cloud

  • Srinu Banothu;A. Govardhan;Karnam Madhav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1호
    • /
    • pp.140-150
    • /
    • 2024
  • Database-as-a-Service is one of the prime services provided by Cloud Computing. It provides data storage and management services to individuals, enterprises and organizations on pay and uses basis. In which any enterprise or organization can outsource its databases to the Cloud Service Provider (CSP) and query the data whenever and wherever required through any devices connected to the internet. The advantage of this service is that enterprises or organizations can reduce the cost of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infrastructure locally. However, there exist some database security, privacychallenges and query performance issues to access data, to overcome these issues, in our recent research, developed a database security model using a deterministic encryption scheme, which improved query execution performance and database security level.As this model is implemented using a deterministic encryption scheme, it may suffer from chosen plain text attack, to overcome this issue.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model for cloud database security using nondeterministic encryption, order preserving encryption, homomorphic encryptionand database distribution schemes, andour proposed model supports execution of queries with equality check, range condition and aggregate operations on encrypted cloud database without decryption. This model is more secure with optimal query execution performance.

Database Security System for Information Protection in Network Environment

  • Jung, Myung-Jin;Lee, Chung-Yung;Bae, Sang-Hyun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3년도 Proceeding
    • /
    • pp.211-215
    • /
    • 2003
  • Network security should be first considered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with frequent information interchange through internet. Clear classification is needed for information users should protect and for information open outside. Basically proper encrypted database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for information security, and security policy should be planned for each site. This paper describes access control, user authentication, and User Security and Encryption technology for the construction of database security system from network users. We propose model of network encrypted database security system for combining these ele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operational and technological elements. Systematic combination of operational and technological elements with proposed model can construct encrypted database security system secured from unauthorized users in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 PDF

접근제어형 데이터베이스 보안 시스템의 보호프로파일 (A Protection Profile for Access Control Based Database Security System)

  • 전웅렬;조혜숙;김승주;원동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09-113
    • /
    • 2007
  • 실생활에서 네트워크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면서 데이터가 집약되어있는 데이터베이스 보안의 중요성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현재 데이터베이스 보안은 크게 사용자 접근제어 방식과 데이터의 암호화 저장방식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 보안시스템에 대한 범용의 보호프로파일이 아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평가가 어렵다. 이에 본 논문은 사용자 접근제어 형 데이터베이스 보안시스템의 보안기능요구사항을 개발한다. 본 논문은 접근제어 형 데이터베이스 보안시스템이 갖춰야 할 기본적인 필수기능을 제안한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보안시스템 평가 시 참고자료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 학사 데이터베이스 보안현황 조사 분석 비교에 관한 연구 (Study of Compare Research Analysis of Security Present Condition in University Academic Affairs Database)

  • 정윤수;박남규;신승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3호
    • /
    • pp.113-119
    • /
    • 2012
  • IT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대학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정보화 추진을 가속화하고 있으나 학사행정과 관련된 중요 정보들은 학사 데이터베이스에 집적되어 있어 보안의 취약성에 대한 보안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정보라 할 수 있는 학사 데이터베이스의 보안성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는 운영 모델을 도출하기 위해서 국내 각 대학들의 데이터베이스 보안 실태를 조사 분석한다. 또한, 국내 상당 수 대학들이 데이터베이스 보안 제품을 활용하고 있지 못한 여건을 고려하여 DBMS가 제공하는 기능만으로 보안의 가장 핵심 요소인 기밀성 등을 구현하는 세부 방안을 제시한다.

OHDSI OMOP-CDM 데이터베이스 보안 취약점 및 대응방안 (OHDSI OMOP-CDM Database Security Weakness and Countermeasures)

  • 이경환;장성용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3-74
    • /
    • 2022
  • Globally researchers at medical institutions are actively sharing COHORT data of patients to develop vaccines and treatments to overcome the COVID-19 crisis. OMOP-CDM, a common data model that efficiently shares medical data research independently operated by individual medical institutions has patient personal information (e.g. PII, PHI). Although PII and PHI are managed and shared indistinguishably through de-identification or anonymization in medical institutions they could not be guaranteed at 100% by complete de-identification and anonymization. For this reason the security of the OMOP-CDM database is important but there is no detailed and specific OMOP-CDM security inspection tool so risk mitigation measures are being taken with a general security inspection tool. This study intends to study and present a model for implementing a tool to check the security vulnerability of OMOP-CDM by analyzing the security guidelines for the US database and security control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the NIST. Additionally it intends to verify the implementation feasibility by real field demonstration in an actual 3 hospitals environment.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ecurity status of the test server and the CDM database of the three hospitals in operation, most of the database audit and encryption functions were found to be insufficient. Based on these inspection results it was applied to the optimization study of the complex and time-consuming CDM CSF developed in the "Development of Security Framework Required for CDM-based Distributed Research" task of the Korea Health Industry Promotion Agency. According to several recent newspaper articles, Ramsomware attacks on financially large hospitals are intensifying. Organizations that are currently operating or will operate CDM databases need to install database audits(proofing) and encryption (data protection) that are not provided by the OMOP-CDM database template to prevent attackers from compromising.

ESE 데이터베이스 내의 삭제된 레코드 복구 기법 (A recovery method for deleted records in the ESE Database)

  • 김정현;최종현;이상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143-1151
    • /
    • 2015
  • Extensible Storage Engine (ESE) 데이터베이스는 Microsoft가 개발한 데이터베이스로 Internet Explorer, Spartan과 같은 웹브라우저와 Windows Search, System Resource Usage Monitor와 같은 윈도우 시스템에서 주요하게 사용된다. 기존의 ESE 데이터베이스 뷰어는 잘못된 값을 출력할 수 있고 수집 환경과 파일의 상태에 따라 파일을 읽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또한 삭제된 레코드 복구 도구는 일부 프로그램에 한정적이고 모든 테이블을 복구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ESE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분석하여 개별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삭제된 레코드의 복구 기법을 제안하며 이를 도구로 구현하여 실험한 결과를 제시한다.

Oracle 데이터베이스의 삭제된 레코드 복구 기법 (The method of recovery for deleted record in Oracle Database)

  • 최종현;정두원;이상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947-955
    • /
    • 2013
  • 기업의 정보는 대부분 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된다. 따라서 기업의 범죄 행위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포렌식 분석이 중요하며 삭제 레코드 복구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Oracle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스페이스 파일 구조와 테이블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 테이블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Oracle 테이블스페이스에서 삭제된 레코드를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Data Base 보안과 Oracle 보안 구현 (Computer Database Security and Oracle Security Implementation)

  • 노시춘;박상민;조성백;김귀남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7-18
    • /
    • 2003
  • 데이타베이스 환경에서 보안을 성취한다는 것은 위협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 (policy : 해야할 일)과 메커니즘 (mechanism : 달성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타베이스 보안위협의 유형과 성격을 살펴보고 이같은 위협을 예방하고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을 데이타베이스 보안 일반원칙으로서 제시한다. 또한, Oracle의 사례를 들어 보안성 구현방법을 제시하고 구현결과를 검증하므로서 데이타베이스 보안에 대한 일련의 절차와 프레임 워크를 구성해본다.

  • PDF

MySQL MyISAM 데이터베이스의 삭제 레코드에 대한 복구 기법 (The Method of Deleted Record Recovery for MySQL MyISAM Database)

  • 노우선;장성민;강철훈;이경민;이상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125-134
    • /
    • 2016
  • MySQL 데이터베이스는 현재 데이터베이스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이며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한다. MyISAM 스토리지 엔진의 경우, 이전에 디폴트 엔진으로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레코드 복구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 삭제된 레코드에는 데이터베이스 수사 시 중요한 증거로 쓰일 수 있는 정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으며, 수사관이 방대한 양의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조사하여 일일이 정보를 판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MySQL MyISAM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분석하여 삭제된 레코드의 복구 기법을 제안하며 이를 도구로 구현하여 실험한 결과를 제시한다.

CALS체계의 정보보호 구조 연구 (A Study on the Security Architecture of CALS System)

  • 남길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97-208
    • /
    • 1999
  • With developing computer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concept of CALS system has been popular not only to military but also to commercial industries. The security problem i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to construct CALS infrastructure. The CALS system needs some security functions such that data confidentiality, integrity, authenticity, availability, and non-repudiation. This paper proposes a security architecture model in CALS. The security architecture model is composed of 5 submodels such that network security model, authentication and key management model, operation and audit model, integrated database security model, and risk analysis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