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Visualization

검색결과 1,950건 처리시간 0.033초

Research on Effective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Based on Mobile Web

  • YOO, Jina;KIM, Tae-Hyeo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7호
    • /
    • pp.41-49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role and necessity of public data visualization through prior research, investigation, and data verification processes.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check what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visualize data on the mobile web. Through this process, by identifying the cognitive load affecting information visualization by type, as a result, I would like to propose an effective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to effectively deliver public data related to government polic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ase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according to infographics,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the public field among various visualization method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ith the highest mobile usage rate.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duct cognitive load test tools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public data and confirmed the implications for each type of infographics. Conclusions: As a result of research, in order to efficiently deliver public data on the mobile web,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visual screen that can be easily identified through clear data. Appropriate graphic elements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type to make it easier for users to acquire and understand inform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useful content in visualizing information. Third, in order to efficiently transmit information and increase understanding of data, it is necessary to visualize information that can induce interest in data and form metaphors. Fourth, it is necessary to visualize information to reduce cognitive load in terms of physical and mental aspects in order to accommodate users' comfortable information. Fifth, in order to effectively deliver public data, it is necessary to compose contents and information that are easy for users to understand. This study examines effective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s to increase the communication effect of public data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data-base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each type considering cognitive loads to help future public institutions to communicate and accept information.

스테레오 카메라에 의한 위치 추적과 3차원 데이터 후처리 프로그램의 연동 (Three-Dimensional Data Visualization Program Combined with Position Tracking System Using Stereo Cameras)

  • 김병수;서진원;이봉주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14-119
    • /
    • 2006
  • Data post-processing programs are used for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the data obtained from computational fluid methods or flow field experiments. In this paper 3D data visualization system which combines a data visualization program with position tracking system using stereo cameras is introduced. This system offers virtual environment for visualization and analysis of three dimensional data.

VISUALIZATION OF 3D DATA PRESERVING CONVEXITY

  • Hussain Malik Zawwar;Hussain Maria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3권1_2호
    • /
    • pp.397-410
    • /
    • 2007
  • Visualization of 2D and 3D data, which arises from some scientific phenomena, physical model or mathematical formula, in the form of curve or surface view is one of the important topics in Computer Graphics. The problem gets critically important when data possesses some inherent shape feature. For example, it may have positive feature in one instance and monotone in the other.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solution of similar problems when data has convex shape and its visualization is required to have similar inherent features to that of data. A rational cubic function [5] has been used for the review of visualization of 2D data. After that it has been generalized for the visualization of 3D data. Moreover, simple sufficient constraints are made on the free parameters in the description of rational bicubic functions to visualize the 3D convex data in the view of convex surfaces.

공간빅데이터 시각화 가이드라인 연구 (Development of the Guidelines for Expressing Big Data Visualization)

  • 김소연;안세윤;주한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00-112
    • /
    • 2021
  • 최근 빅데이터 기술시장의 성장과 함께 시각화 기술에 관한 관심은 지난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해왔다. 데이터 시각화는 현재 정보과학, 컴퓨터과학,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통계, 데이터마이닝, 지도학, 저널리즘 등의 광범위한 학문 분야에서 각기 조금씩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다학제적 연구가 필요한 스마트시티에서의 빅데이터 시각화는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시티 서비스와 관련 정책을 전개하는데 있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공간 기반의 데이터 시각화는 도시정책 수립 과정에서 시각화 자료를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효율적인 협업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를 통해 단순히 시각화 도구가 아닌 효과적인 정보전달 관점에서 공간기반의 빅데이터 시각화 표현 프로세스와 원리에 대해 고찰하였다. 데이터 시각화 모델 프로세스 및 시각화목적에 따른 시각화 표현기법, 디자인조형요소에 따른 특징과 시각화기법을 각각 도출하여 사용자 중심의 공간빅데이터 시각화 표현에 대한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실시간 전력계통 운영을 위한 데이터 시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ata Visualization for Real Time Power System Operation)

  • 조윤성;정진영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2권10호
    • /
    • pp.1361-1367
    • /
    • 2013
  • This paper describes and suggests the data visualization for real time power system operation based on energy management system. Because real time power system operation performs analysis of the vast amount of on-line data, the operators need intuitive data visualization to find out useful information in the big data. Especially, in emergency situation, the data visualization is able to assist the operators in handling the crisis quickly and efficientl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improve displays of output of real time power system operation by visualizing on-line big data. Through this study, we can develop improved visualization technique for real time power system operation, which has highly readable displays of output and intuitive information.

텍스트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MVC 프레임워크 (A MVC Framework for Visualizing Text Data)

  • 최광선;정교성;김수동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2호
    • /
    • pp.39-58
    • /
    • 2014
  • 빅데이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관련한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최근에는 빅데이터의 처리와 분석의 결과를 어떻게 시각화할 것인지가 매우 관심 받는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분석된 결과를 보다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에 있어서 데이터의 시각화가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시각화는 분석 시스템과 사용자가 소통하기 위한 하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GUI 부분은 데이터의 처리나 분석의 결과와 독립될 수록 시스템의 개발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MVC(Model-View-Controller)와 같은 디자인 패턴의 적용을 통해 GUI와 데이터 처리 및 관리 부분 간의 결합도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빅데이터는 크게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정형 데이터는 시각화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반면, 비정형 데이터는 시각화를 구현하기가 복잡하고 다양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분석과 활용이 점점 더 확산됨에 따라, 기존의 전통적인 정형 데이터를 위한 시각화 도구들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들의 목적에 따라 고유의 방식으로 시각화 시스템이 구축되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더욱이나 현재 비정형 데이터 분석의 대상 중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텍스트 데이터의 경우 언어 분석, 텍스트 마이닝, 소셜 네트워크 분석 등 적용 기술이 매우 다양하여 하나의 시스템에 적용된 시각화 기술을 다른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는 현재의 텍스트 분석 결과에 대한 정보 모델이 서로 다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텍스트 데이터 분석 사례와 시각화 사례들의 공통적 구성 요소들을 식별하여 표준화된 정보 모델인 텍스트 데이터 시각화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시각화의 GUI 부분과 연결할 수 있는 시스템 모델로서의 시각화 프레임워크인 TexVizu를 제안하고자 한다.

A Visualization Scheme with a Calendar Heat Map for Abnormal Pattern Analysi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 Chankhihort, Doung;Lim, Byung-Muk;Lee, Gyu-Jung;Choi, Sungsu;Kwon, Sun-Ock;Lee, Sang-Hyun;Kang, Jeong-Tae;Nasridinov, Aziz;Yoo, Kwan-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2호
    • /
    • pp.21-28
    • /
    • 2017
  • Abnormal data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makes it difficult to find useful information that can be applied in data management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It causes various problems in the daily process of production. An issue from the abnormal data can be handled by our method that uses big data and visualization. Visualization is a new technology that transforms data representation into a two-dimensional representation. Nowadays, many newly developed technologies provide data analysis, algorithm, optimization, and high efficiency, and they meet user requirements. We propose combined production of the data visualization approach that uses integrative visualization of sources of abnormal pattern analysis results. The perceived idea of the proposed approach can solve the problem as it also works for big data. It can als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understanding by using visualization and solving issues that occur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a calendar heat map.

표출사례를 통해 본 해양.대기 분야의 과학가시화 (A Study on the Scientific Visualization in Ocean-Atmospheric Sciences)

  • 김동훈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7
    • /
    • 2006
  • This study reviews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scientific visualization and the tools in ocean-atmospheric sciences. We have classified scientific visualiz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data size; the visualization tools used commonly in the field are also enlisted. The examples of visualization using scalar and vector data are presented, and their distinctions are noted. Lastly, it is contemplated on the near future trend in the field and provided future directions.

  • PDF

VRSMS: 가상현실 기반 센서 관리 시스템 (VRSMS: VR-based Sensor Management System)

  • 김한수;김형석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미세 규모 대기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Airscope[3]의 가상현실 기반 시각화 시스템인 VRSMS(VR-based Sensor Management System)을 소개 한다. 가상현실 기반 시각화 방법을 이용해 대기 환경 정보를 시각화함으로써 시민 등의 비전문가들이 직관적으로 대기 환경 정보를 인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보다 쉽게 취득할 수 있도록 가상공간 내부에 설치된 센서를 직접 조작할 수도 있다. 사용자 요구에 맞춘 동적 시각화를 위해 대기 환경 데이터와 조작 및 시각화 기법을 분리하였고 이는 시스템 내부 데이터에 대한 일관된 접근 방법을 제공하여 새로운 시각화 기법의 추가가 용이하다. 동적 시각화 기법 중의 하나로 복수의 소형 디스플레이를 연결하여 대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이는 단일 대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공공장소 등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보다 쉽게 대기 환경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한다.

  • PDF

텍스트 데이터 시각화의 표현 재료와 접근 방식에 관한 고찰 (A Review on Expressive Materials and Approaches to Text Visualization)

  • 김효영;박진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64-7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시각화 연구의 한 분야인 텍스트 시각화에 대하여 그 시각적 표현의 재료가 되는 텍스트 데이터의 종류 및 본질,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다양한 텍스트 시각화의 사례 연구를 통해 텍스트 데이터의 시각화를 위한 표현적 접근 방식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텍스트 시각화 연구는 컴퓨터의 발달과 방대한 데이터의 공개, 그리고 시각화 툴의 범용화 등의 기류를 타고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학, 예술, 인문, 사회 등 학제 간 융합 연구를 통해 다양한 작품 또는 연구 성과물로서 창작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텍스트 데이터를 비롯한 데이터 시각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접근 방식에 대한 체계적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데이터는 이해와 해석의 대상이며, 가공 및 접근에 따라 무한한 정보와 가능성을 갖는다. 데이터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데이터의 이해와 해석에서 출발하는 텍스트 시각화라는 융합 학문적 연구 분야는 미래 인간 사회에서 데이터가 차지할 위상을 고려할 때, 보다 체계적인 연구와 이론적 축적을 필요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