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Sharing Policy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9초

시맨틱 웹 기반의 연구성과물 검색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mantic Web based Research Results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 박동진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5-361
    • /
    • 2006
  • It has lately been recognized that the sharing and exchanging of the research results information is the critical factor to improve the research productivity. So many institutions are planning or developing the information systems which provide th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for researcher. But it has very difficulty in integrating the research resources information due to the dispersion and heterogeneity in data sources, and semantic and structural difference in describing data. We propose the semantic web based methodology and conceptual framework for raising the interoperability of metadata about research results information, which will support the integration of the distributed research data for information services in the end. Finally we proposed the conceptual architecture of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which shows the main components, the functional requirements, and the principal and design direction at implementing the system.

  • PDF

A GGQS-based hybrid algorithm for inter-cloud time-critical event dissemination

  • Bae, Ihn-Ha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6호
    • /
    • pp.1259-1269
    • /
    • 2012
  • Cloud computing has rapidly become a new infrastructure for organizations to reduce their capital cost in IT investment and to develop planetary-scale distributed applications. One of the fundamental challenges in geographically distributed clouds is to provide efficient algorithms for supporting inter-cloud data management and dissemin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geographic group quorum system (GGQS)-based hybrid algorithm for improving the interoperability of inter-cloud in time-critical event dissemination service, such as computing policy updating, message sharing, event notification and so forth. The proposed algorithm first organizes these distributed clouds into a geographic group quorum overlay to support a constant event dissemination latency. Then it uses a hybrid protocol that combines geographic group-based broad-cast with quorum-based multicast. Our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GGQS-based hybrid algorithm improves the efficiency as compared with Chord-based, Plume an GQS-based algorithms.

지역관광 빅데이터 정책성과와 과제 -제주특별자치도를 사례로- (Policy Achievements and Tasks for Using Big-Data in Regional Tourism -The Case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고선영;정근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79-586
    • /
    • 2021
  • 본 연구는 다양한 빅데이터를 지역관광 정책에 활용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사례를 토대로, 관광빅데이터의 활용성과와 과제를 제시하였다. 가장 큰 활용성과는 관광빅데이터를 통해 급변하는 관광트랜드와 관광업계의 동향을 시의성있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고, 기존 관광통계를 정교화하는데 활용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제주는 빅데이터의 활용 범위를 관광 현상 이해의 수준을 넘어 실시간 맞춤형 서비스 플랫폼 구축까지 영역을 확장하였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환경 구축과 산·관·학의 협력적 거버넌스가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는 첫째, 민간 데이터셋 위주의 분석으로 예산 의존적이라는 한계와 둘째, 스마트관광의 궁극적 목표인 개인맞춤형서비스 구축을 위한 개인수준 데이터 수집 인프라, 개인정보보호법 등의 제도적인 문제의 해결이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분석과 데이터 연계에 도달하기까지의 전문성과 기술적 한계들이 남아 있다.

체계적인 공간정보표준 관리를 위한 정책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Policy Improvement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National Geospatial Standards)

  • 황병주;황정래;김병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225-237
    • /
    • 2016
  • 최근 들어 공간정보를 비롯하여 다양한 정보와 관련된 정책 동향은 개방과 공유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동향에 맞춰서 개별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공간정보를 체계적으로 공유하기 위해서는 공간정보표준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공간정보표준을 준수할 경우,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가독성, 정보처리 및 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표준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공간정보표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공간정보사업자들은 표준 적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표준 제정 현황을 조사하고, 국내 공간정보표준이 갖는 표준의 중복성, 버전 간 불일치, 유사 표준 제정 등의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가공간정보체계에서 공간정보표준의 관리 운영, 조직 구성, 법제도 개선 등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세종시 탄소배출 모니터링시스템(CEMS)의 설계 (Design and Development of Carbon Emission Monitoring System in Sejong City, Korea)

  • 임윤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482-49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존 탄소배출 모니터터링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각 가정의 에너지원별 사용량을 원격으로 자동 검침하여 그 데이터 처리/분석 결과를 사용자와 정책결정자에게 제공 할 수 있는 탄소배출 모니터링시스템(CEMS)을 설계 제안하였다. CEMS는 기존의 탄소배출 모니터링 장치들이나 통합 시스템에 사용자에 대한 피드백과 정책수립 자료 구축을 위한 통계처리 기능을 포함하였다. 시스템은 EA 분석을 통하여 탄소 배출량 측정, 가구당 배출량 관리, 마일리지 기준관리, 탄소 배출원 분석 등 6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용자의 인식과 정책자료 수립기능이 강화된 UI를 설계하였다. 지자체 행정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각 기관의 DB 및 Open API를 공유 연동할 수 있으며, 개별 가구의 가구원수 및 주택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에너지소비 패턴과 이를 통한 탄소배출량과의 연관성 분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향후 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셀룰러 이동망에서의 우선순위 큐 기반의 2단계 호 수락 제어 기법 (A Two-Step Call Admission Control Scheme using Priority Queue in Cellular Networks)

  • 김명일;김성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0권4호
    • /
    • pp.461-473
    • /
    • 2003
  •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은 문자 위주의 어플리케이션과는 달리 데이타의 연속성 때문에 QoS(Quality of Service)에 매우 민감하다. 셀룰러 이동망에서 고속으로 이동중인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QoS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호 수락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우선순위를 이용한 호 수락 제어를 통해 MH(Mobile Host)에게 지속적인 QoS를 제공하는 2SCA(2-Step Call Admission) 기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셀의 크기가 작고, 서로 중첩되어 있는 셀 구조를 가정하였으며, MH의 호를 신규호, 핸드오프호 및 QoS 상향조정호로 분류하여 각각 다른 처리 기법을 적용하였다. 2SCA 기법은 기본 호 수락제어와 응용 호 수락제어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는 셀의 가용 대역폭에 따라 호 수락을 결정하며, 후자는 기본 호 수락제어에서 블록킹된 호를 대상으로 각 호의 종류에 따라 DTT(Delay Tolerance Time), PQueue(Priority Queue), UpQueue(Upgrade Queue)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호 수락을 결정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2SCA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신규호 블록킹률, 핸드오프호 드롭핑률, 대역폭 이용률을 측정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본 논문의 호 수락 기법이 CSP(Complete Sharing Policy), GCP(Guard Channel Policy) 그리고 AGCP(Adaptive Guard Channel Policy) 등과 같은 기존의 메커니즘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형 ACSC에 대한 실증분석 및 건강보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The Empirical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Study & its Potential Health Insurance Applicability in Korea)

  • 김양균;성주호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79-93
    • /
    • 2005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ACSC) and their potential health insurance applicability in Korea, using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empirical data provided by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KHIRA). Here, ACSC would be thought of as conditions that when timely and effectively treated in the outpatient medical services can help reduce the risk of hospitalizations. As for ACSC, reducing accessibility for outpatient visit results in increasing hospitalization. In this respect, the ACSC concept is popularly adopted as one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national health system. As one of main results, fortifying the accessibility to necessary health care in a way of sharing appropriately the role with private health insurance can lead to the efficiency of national health care delivery systems in view of total health care expense, in particular in a case of ACSC children. Lastly, we would like to strongly suggest that the disease treatment data set reported to KHIRA needs to be opened to private insurance companies only for illness experience investigation.

Government Support for Entrepreneurship Damage to Small Retail Traders from Large Wholesalers' Online Business Expansion

  • Suh, Geun-Ha;Kim, Mi-Gou;Suh, Chang-Soo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12호
    • /
    • pp.13-21
    • /
    • 2015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wofold. First, this paper attempts to grasp the damage caused to small and medium-size retail traders from online wholesalers in the field. Second, this paper engages in a psyc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enterprise spirit and the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size entrepreneurs in the retail trade business that are harmed by online wholesal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Data on three large Korean wholesalers engaged in ongoing litigation during the first half of 2014, including E-Mart Traders E-Club, and regarding applications for business adjustments from three large wholesalers were used. Results - The results show that small and medium-size distribution merchants seek political support for facility modernization, policy-specific funds, development of the distribution of PB products, advanced distribution techniques, joint logistics systems, establishment of distribution and logistics centers, sharing of parking facilities, and joint ordering systems. Conclusions - This study examined the damage to, and the government's support of policy demands from, small retail traders.

공유경제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윤리적 자아정체성과 서비스효용이 서비스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nsumer's Ethical Self-Identity and Service Utility based on Sharing Economy Service on Servic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ation)

  • 이윤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103-109
    • /
    • 2020
  • 본 연구는 공유경제서비스의 일환으로 O2O서비스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이 아니라 기존기업 및 노동시장에 야기되는 최근 갈등 상황에서, 소비자의 O2O서비스 만족도와 추천의도에 소비자의 윤리적 자아정체성과 중개플랫폼의 신뢰성, 서비스효용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타인이나 사회의 책임으로부터 능동적이며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공유경제서비스의 기본이념과 연결되는 소비관점으로, 이전 연구들과는 다르게 소비자의 윤리적 자아정체성을 살펴보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겠다. 이를 위해 최근 이슈화가 되고 있는 공유경제서비스의 한 예인 카셰어링 서비스를 중심으로 14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자의 윤리적 자아정체성과, 중개플랫폼의 신뢰성, 서비스효용 모두 서비스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추천의도에서는 중개플랫폼의 신뢰성과 쾌락적 효용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유경제서비스에 대한 윤리적 소비와 중개플랫폼의 신뢰성과 같은 소비자의 윤리적, 사회적 관점을 중점으로 각 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경기도 책꾸러미 사업을 통한 양육자의 독서육아 효과 분석을 위한 지표개발 및 효과성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Indicatives for Analysis of the Effects of a Book Sharing Project on pre-schoolers of Supporter' Reading Care in Gyeonggi-do)

  • 최인자;윤성은;김수경;황금숙;이선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33-155
    • /
    • 2022
  • 본 연구는 2021년도 경기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에서 양육자의 독서 육아의 효과를 분석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표를 개발하고 효과성을 분석한 뒤 향후 경기도 독서문화 진흥 정책 수립 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 사업은 소외 지역에 거주하는 유아 대상의 독서 복지를 위해, 기관과 가정이 연계하여, 가정에 책꾸러미를 정기 배송하고, 유아와 양육자를 대상으로 맞춤형으로 개별적인 교육을 실시하였다. 양육자의 독서 육아 효과 분석을 위한 측정지표는 가정 문식성, 부모 효능감 이론에 대한 문헌 검토를 바탕으로 설정되었고, 이후 17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전문가를 통해 델파이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경기도 7개 시군(포천시, 양평군, 여주시, 동두천시, 가평군, 연천군, 양주시)의 양육자 105명을 대상으로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사전/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전/ 사후 효과성을 조사한 결과, 유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의 양육자는 독서 상호작용과 독서 육아 효능감 면에서 향상을 가져왔다. 이러한 사업 효과를 고려할 때, 이 정책은 특정 지역을 넘어서 보편적인 조기 유아 독서 복지 정책으로 가정과 기관이 연계한 형태로 지속적인 사업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