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Sequence

검색결과 3,089건 처리시간 0.032초

냉간단조 공정설계를 위한 intelligent CAD system에 관한 연구 (Intelligent CAD System for Cold Forging Using Fuzzy Theory)

  • 가타야마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1995년도 제2회 단조심포지엄 단조기술의 진보
    • /
    • pp.1-25
    • /
    • 1995
  • This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CAD system for specifying the operation sequence in cold forging. Cold forging technology is facing with various new design requirement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a decision method for the operation sequence, with comparatively high adaptability to the new requirements. An intelligent CAD system which is the uncertain factors in human knowledge into consideration by applying fuzzy theory is established. Various actual design data about were organized, and these organized data were applied to the system as the case base. The system automatically generates the design data of operation sequence such as the forming method and the geometric data of products in each operation stage by the reasoning method applied the fuzzy pattern matching. By comparing the design results in the above system with the actual design data of a human expert, this paper presents that our method is useful for practical application.

The design of a 32-bit Microprocessor for a Sequence Control using an Application Specification Integrated Circuit(ASIC) (ICEIC'04)

  • Oh Yang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486-490
    • /
    • 2004
  •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is widely used in manufacturing system or process control.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a 32-bit microprocessor for a sequence control using an Application Specification Integrated Circuit (ASIC). The 32-bit microprocessor was designed by a VHDL with top down method; the program memory was separated from the data memory for high speed execution of 274 specified sequence instructions. Therefore it was possible that sequence instructions could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during the instruction fetch cycle. And in order to reduce the instruction decoding time and the interface time of the data memory interface, an instruction code size was implemented by 32-bits. And the real time debugging as single step run, break point run was implemented. Pulse instruction, step controller, master controllers, BIN and BCD type arithmetic instructions, barrel shit instructions were implemented for many used in PLC system. The designed microprocessor was synthesized by the S1L50000 series which contains 70,000 gates with 0.65um technology of SEIKO EPSON. Finally, the benchmark was performed to show that designed 32-bit microprocessor has better performance than Q4A PLC of Mitsubishi Corporation.

  • PDF

FPGA를 이용한 logic tester의 test sequence control chip 설계 및 검증 (Test sequence control chip design of logic test using FPGA)

  • 강창헌;최인규;최창;한혜진;박종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합동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76-379
    • /
    • 2001
  • In this paper, I design the control chip that controls inner test sequence of Logic Tester to test chip. Logic tester has the thirteen inner instructions to control test sequence in test. And these instructions are saved in memory with test pattern data. Control chip generates address and control signal such as read, write signal of memory. Before testing, necessary data such as start address, end address, etc. are written to inner register of control chip. When test started, control chip receives the instruction in start address and executes, and generates address and control signals to access tester' inner memory. So whole test sequence is controlled by making the address and control signal in tester's inner memory. Control chip designs instruction's execution blocks, respectively. So if inner instruction is added from now on, a revision is easy. The control chip will be made using FPGA of Xilinx Co. in future.

  • PDF

마산만 퇴적층서 발달 특성 (Development of Sedimentary Sequence in the Masan Bay, South Sea of Korea)

  • 최동림;이태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411-418
    • /
    • 2007
  • We studied the bottom morphology and sedimentary environments of the Masan Bay using high-resolution Chirp seismic profiles and sediments data. According to deep-drilled core samples (up to 20 m thick) penetrated into the weathered rock basement, the sediments consist largely of three sediment types: the lower sandy gravel facies (Unit I) of 1-4 m in thickness, the middle sandy mud and/or muddy sand facies(Unit II) of 1-2 m thick and the upper mudfacies (Unit III) of over 10 m in thickness. The sedimentary column above the acoustic basement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sequences by a relatively strong mid-reflector, which show the lower sedimentary sequenc e(T) with parallel to subparallel internal reflectors and the upper sedimentary sequence(H) with free acoustic patterns. Acoustic basement, the lower sedimentary sequence (T), and the upper sequence (H) are well correlated with poorly sorted massive sandy gravels (Unit I), the sand/mud-mixed sediment (Unit II), and the muddy facies(Unit III), respectively. The acoustic facies and sediment data suggest that the Masan bay is one of the most typical semi-enclosed coastal embayments developed during the Holocene sea-level changes. The area of the Masan Bay reduced from about $19\;km^2$ in 1964 to about $13\;km^2$ in 2005 by reclamation, and its bottom morphology changed as a result of dredging of about $2{\times}10^7\;m^3$.

로컬 서열 정렬과 트리거 기반의 단백질 버전 정보 관리 기법 (A management Technique for Protein Version Information based on Local Sequence Alignment and Trigger)

  • 정광수;박성희;류근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1호
    • /
    • pp.51-62
    • /
    • 2005
  •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의 기능이 밝혀지면, 그와 유사한 서열 구조를 가지고 있는 서열의 기능도 유추해 낼 수 있다. 또한 기능이 밝혀진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변화시키거나 유용한 단백질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하나의 원본 단백질 서열에 대하여 다른 서열 구성을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단백질 서열이 생겨 날 수 있다. 여기서, 원본 단백질을 변화시켜 만든 단백질 버전 서열과 단백질의 주석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체계적인 기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로컬 서열 정렬 기법을 적용한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의 버전관리 기법과 트리거를 적용한 단백질 주석데이터의 이력 관리 기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기법을 통하여 원본 서열과 버전서열의 유사도 측정 및 버전 관리의 자동화와 저장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단백질 정보의 이력을 저장하고 서열 변화 정보를 분석하여 돌연변이 연구에 의한 유용한 단백질 개발 및 신약 개발이 가능하다.

Sequence-to-Sequence Model을 이용한 영어 발음 기호 자동 변환 (Automatic Conversion of English Pronunciation Using Sequence-to-Sequence Model)

  • 이공주;최용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5호
    • /
    • pp.267-278
    • /
    • 2017
  • 영어는 동일 철자의 발음이 매우 다양한 언어이기 때문에 사전에 기술되어 있는 단어의 발음기호를 읽어야만 정확한 발음을 알 수 있다. 영어 사전마다 사용하는 발음기호(phonetic alphabet) 시스템이 다르며 같은 단어에 대해 기술하고 있는 발음 역시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딥 러닝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sequence-to-sequence (seq2seq) model을 이용하여 사전마다 다른 발음을 자동으로 변환해 보고자 한다. 4가지 다른 종류의 사전에서 추출한 발음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두 12개의 seq2seq model을 구현하였으며, 발음 자동 변환 모듈의 정확 일치율은 74.5% ~ 89.6%의 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첫째 영어 발음기호 시스템과 각 사전의 발음 데이터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고, 둘째, 발음 정보의 자동 변환과 오류 분석을 통해 seq2seq model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Sequence to Sequence based LSTM (LSTM-s2s)모형을 이용한 댐유입량 예측에 대한 연구 (Application of sequence to sequence learning based LSTM model (LSTM-s2s) for forecasting dam inflow)

  • 한희찬;최창현;정재원;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3호
    • /
    • pp.157-166
    • /
    • 2021
  • 효율적인 댐 운영을 위해서는 높은 신뢰도를 기반으로 하는 유입량 예측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기반의 예측 방법 중 하나인 딥러닝을 댐 유입량 예측에 활용하였다. 그 중 시계열 자료 예측에 높은 성능을 보이는 Sequence-to-Sequence 구조기반의 Long Short-Term Memory 딥러닝 모형(LSTM-s2s)을 이용하여 소양강 댐의 유입량을 예측하였다. 모형의 예측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상관계수, Nash-Sutcliffe 효율계수, 평균편차비율, 그리고 첨두값 오차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LSTM-s2s 모형은 댐 유입량 예측에 대한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단일 유량 수문곡선 기반의 예측 성능에서도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홍수기와 이수기에 수자원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댐 운영에 딥러닝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entification of a Tandemly Repented DNA Sequence Using Combined RAPD and FISH in Welsh Onion (Allium fistulosum)

  • Bong Bo Seo;Geum Sook Do;Seon Hee Le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3권1호
    • /
    • pp.69-72
    • /
    • 1999
  • A tandemly repeated DNA sequence was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y the combined RAPD and FISH data from a total genomic DNA of Welsh onion (Allium fistulosum). A clone containing this repeating sequence was selected and sequenced. This repeating unit of 314 bp inserted into pAf 072 contained 54.1% adenine and thymine residues, and showed the primer sequence used, 5'-GAAACGGGTG-3', in both terminals of the sequence.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using this tandemly repeated sequence as a probe indicated that the detected sites were coincident with the major C-banded constitutive heterochromatin in the terminal regions of both arms of all 6 chromosomes.

  • PDF

비디오 검색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시퀀스 패턴 유사성 검색 (Pattern Similarity Retrieval of Data Sequences for Video Retrieval System)

  • 이석룡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3D권3호
    • /
    • pp.347-356
    • /
    • 2006
  • 비디오 스트림은 다차원 공간에서 데이터 포인트의 시퀀스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퀀스 내의 데이터 포인트들의 값들의 근사치에 대한 정보와 시퀀스 내의 포인트들의 방향성에 대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트랜드 벡터(trend vector)에 대한 소개와 이 벡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시퀀스를 위한 유사 패턴 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시퀀스는 복수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며 각 세그먼트는 트랜드 벡터로 표현된다. 질의처리는 시퀀스 내의 각각의 포인트들에 대하여 수행되는 대신, 트랜드 벡터들에 대하여 처리된다. 제안한 기법은 이 벡터를 사용하여 질의와 무관한 데이터 시퀀스들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여과하고 질의 시퀀스와 유사한 시퀀스들을 검색하도록 설계되었다. 제안한 기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비디오 스트림과 가상으로 생성된 데이터에 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의 정밀도(precision)는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2.1배까지 향상되었으며 처리시간은 45%까지 감소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카오스 시퀀스를 이용한 견고한 디지털 워터마킹 (Robust Digital Watermarking Using Chaotic Sequence)

  • 김현환;정기룡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630-63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와 무단 복제 방지를 위해 기존의 M-sequence 대신 카오스 시퀀스를 이용한 새로운 워터마킹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강인성과 보안성은 워터마킹 처리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디지털 영상을 웨이브렛 변환한 후 각 부대역의 계수값들을 인간의 시각 체계를 고려한 다중 임계값으로 분류하고 카오스 시퀀스와 삽입할 워터마크 영상 그리고 랜덤 발생기로 생성된 다중 워터마크 가중치를 이용하여 워터마크 영상을 삽입하였다. 워터마크 검출은 웨이브렛 변환된 각 부대역간의 차신호를 이용하여 검출하였으며 여러가지 가능한 공격에 대해 성능 실험을 하였다. 카오스 시퀀스는 생성하기가 매우 쉬우며, 초기 값에 따라 전혀 다른 시퀀스를 생성하므로 M-sequence에 비해 보안성(security)면에서 더욱 안전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