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nalyzes excavated Danryeong of the same period to understand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Danryeong, an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female Danryeong, including their purpose, then-name and women's wearing of them. The subject female Danryeong were estimated to be worn in the late 15th century and the early 17th century, and newly-discovered female Danryeong, along with those examined in the Song Mi-kyeong's study, were studied. This study found that female Danryeong hav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rom male's in many aspects such as ease of a garment, sleeve design, Hansam (a layered sleeve to cover hands), shape of Moos (side pleats), Goreum (a coat string), Dae (a belt). From this finding, the purpose of female Danryeong can be assumed: a ceremonial robe,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mem's official robe. Female Danryeong began to disappear as Wonsam, a ceremonial topcoat, emerged. From the transitional Danryeong and excavated Wonsam, female Danryeong were estimated to be used as ceremonial robes in the mid Joseon period when Wonsam had yet to be created; and they were estimated to be called "Dansam" or "Wonsam."
The mutual relation dynamics between the chulik and the Po for man in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he chulik and the Po for man-symeui, danryeong, changeui, jikryeong-, te change of chulik, and the ideas that made this change. Conclusions are decribed as followes: 1. The pattern of chulik and symeui is same, and they consist of bodice and skirt's length of the chulik was 1 : 1.3∼2 and it is effected by symeui. And symeui was effected by pratical structure of the chulik. 2. The functions of the chulik were the underwear of danryeong and the upperwear as military uniform. And then the length of chulik was shorter than danryeong in the early period of shosun dynasty. The sleeves were changed as large as danryeong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It is assumed that the changes were to be a functional underwear and to appear authority as upperwear. 3. Chulik as the underwear was hardly worm in the 17th centuries, and changeui was widely enjoyed instead of it. The reason of this change is that the pragmatism was emphasied in that period. 4. Chulik was widly worm instead of court dress, until the mid of 17th century after war. It was effected by outer factor of the war. And jikryeong was widly worm instead of chulik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It shows that military officers wanted to appear autho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wedding ceremony robes in the Jeju area from the 1950's to the 1980's. The analysis used 413 wedding pictur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following are the propotion of robe types used wedding ceremonies. 1.0% of Danryeong & Jangot, 6.5% of Danryeong & Wonsam, 1.5% of Danryeong & Chima+Jegori, 2.7% of Durumaki & Chima+Jegori, 24.7% of suit & Chima+Jegori and 63.7% of suit & wedding dress from the 1950's to the 1980's. 2. The Korean-style robes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1950's, and disappeared in the 1970's. The Chima+Jegori was introduced in the 1950's, reached its peak in the 1960's and its popularity continued to the 1970's. In the 1980's, after the Korean-style robes disappeared, the western ceremony robes were used in all the ceremonies. 3. After the Western-style robes, in which a bride wears a wedding dress, was introduced in the 1960's, its usage rapidly increased in the 1970's and is still popular tod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s and costume of Sodong as shown in the illustration of Choseon Delegation to Japan.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below. First, as shown in the illustration, Sodong played roles as Tongin and dancer. As Tongin, Sodong provided services or made errands for his seniors. In the other role, while, Sodong danced to comfort his seniors and show dances of Choseon to Japanese people. Second, Sodong wore Kwaecha over Sochangeui throughout his march with the delegation as Tongin. This is probably because the two clothes made him feel convenient and easily active. In both 1700s and 1800s, meanwhile, Sodong also wore Jikryeong and Cheolik. Third, Sodong wore Kwaecha over Sochangeui, or Danryeong and Nansam all the time when he navigated together with the delegation. When passing through Tsusima into the Japanese mainland, which meant starting international exchanges between Choseon and Japan, Sodong sticked to formality to the utmost by wearing Danryeong and Nansam. Fourth, Sodong wore Kwaecha over Sochangeui when he performed as dancer. The two clothes were also worn by Mudong during outdoor banquets in Choseon at that time.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Sodong wore Jikryeong, Danryeong and Nansam like when he marched or navigated together with Choseon Delegation.
This study is about the periodic characteristics of Wonsam in the Joseon Dynasty. Wonsam include the Danryeong-shaped Wonsam in the beginning, the compound Wonsam in a period of transition and the stereotyped Wonsa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Wonsam are divided into four stages. The first stage of the Wonsam is from the 15th to 16th century. The shape of Wonsam began to form and it was similar to one of Danryeong during this tim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Wonsam included collars that looked like one of Danryeong, side pleats(called Moo) with multiple inner folds, straight cylinder-shaped sleeves, and a belt tied with the Wonsam. There were various fabrics that were used for the Wonsam from this stage. Second stage of the Wonsam is from the early 17th to mid 17th century. This period marked the beginning of the transition of the Wonsam and it served as a stepping-stone to the development stage in the Joseon Dynas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al Wonsam were a complex combination of the Danryeong and Wonsam. During this period, the Wonsam went through many changes and form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ird stage of the Wonsam is from the mid 17th to early 19th century. The Wonsam was developed at this stage. The developed Wonsam went through a period of transition equipped with a stable form.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Wonsam during this period included collars that faced each other, big and wide sleeves with multicolored stripes, Hansam, curve-edged side seam and the side pleats(Moo) with multiple inner folds had disappeared. It was a turning point from the single-layered clothes to double layered clothes and from dark blue to green color appeared at this time. The fabric patterns of this stage tended to consist of more simplified silk pattern. The fourth stage of the Wonsam is from the late 19th to 20th century. The Wonsam was expanded at this stag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fabrics were typically used for the standard Wonsam and were divided into two types; as a ceremonial robe used in courts and a wedding ceremonial robe for the common people. Phenomena such as sewing of double-layered clothes as one and straight-edged side seam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developed into simpler and more practical fashion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lture on the Traditional Wedding of the West Gyeong Nam District. The traditional wedding was characterized that the bridegroom visited his bride's house accompanied by his honored guests(上客) and the marriage ceremony was to be held in day time, and then the bridegroom became a son-in-law and stayed with the family for a few days. The bridegroom returned to his home, leaving his bride behind. After a certain period, the bride came to her husband's home as a daughter-in-law. The Traditional Wedding costume of the bridegroom were Samo-Gwandae. The coat (outside uniform) was blue Danryeong ornamented with two cranes figured Hyong-Bae and Heukgackdae. In case Samo-Gwandae was not available, Dopo or Durumakie could be substituted and they put on shoes in this case. A bridegroom put on Mokhwa his feet and under the Samo, and he also put on Nambawie or Bokguen. He put on Dopo or Haeng-eui(行衣) or Durumaki under the blue Danryeong. The bride put on Wonsam and Chokduri or Hwagwan on her hair. In case Wonsam was not available, Chima Jogori style or imitational Wonsam, which was roughly sewed with red cloth and blue cloth contained in the Honsuham (Box of wedding treasure), could be substituted. She put on Hyang-guen to protect her body against the coldness and to hide her fac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stumes of Gyeokgu in different situations and to suggest when and how they should be used in historical drama. Gyeokgu is a type of polo game that was played in Korea and it was also known as Gyeokbong and Bonghee. The accounts of the game show that it was played during the South-North period as recorded in Balhaego, Haedongyeoksa, and Goryeosa until the Joseon period. The scenes of Gyeokgu have been shown in some historical dramas in order to make the story exciting or to show the life of royalty. The costume of Gyeokgu in the South-North period should be suggested Danryeong(團領), Bokdu, and Haw(靴) in a formal situation. The Gyeokgu in the Goryeo period was a sport for royalty. So the Gyeokgu costume in the Goryeo period was required to be worn with Danryeong(團領), Bokdu, and Haw(靴) for the kings and military officers in the early Goryeo period and with Cheollik(帖裡), Balip or Huklip(黑笠), and Haw(靴) from the middle of the Goryeo period. Women could wear Chima(skirt), Jeogori(blouse), Pyo, and Li(履) when they play Gyeokgu in the Goryeo period in the historical dramas. The Gyeokgu in the early Joseon period was a sport for the kings. After the king of Sejong, the Gyeokgu became a martial art for the military officers. The costume of Gyeokgu in the Joseon period should be Red Cheollik(紅帖裡), Kwadu, Jonglip, Gwangjodae(廣組帶), Sagu, and Haw(靴) as recorded in Muyedobotongji in the 18th century. The kings, servants, and military officers could wear the Cheollik and should be made in the different Git(collar), shape of the sleeves, and the proportion of the upper part and the underpart in each period properly. When the citizens play Gyeokgu, they could wear Geon(巾), Baji(pants), Jeogori(shirt), and Gipsin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dapting Korean beauty to the design of Wedding dress. For this study, Chosun Men's Pyoeui(coat) were considered first. Pyoeui had the courtesy and variety. They were Jobog, Danryeong. Chulrlk, Dabho, Jangeui, Aegjueumpo, Jigryeong, Changeui, Changos, Jungchimag, Hagchangeui, Simeui, Dopo, and Durumagi. Pyoeui were considered the formative features and the costume beauty describing Shape, Color, Material, Pattern. and Ornament. And Pyoeui were considered the instances which were adapted their formative features to Wedding dress. The formative features appearing on Wedding dress were merely applied the outward shape.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utward features and the costume beauty about Men's Pyoeui for adapting Wedding dress. And then the continuous attempt is needed to adapt the beauty of Korean costume to the design of Wedding dress.
This study investigate through the Balin-banchado in the Kookjangdogameuigue how the system of banchado ceremony exchanged during the middle late the Yi dynasty and in the period of introducing Wastern civilization The Balinbanchado is carry a coffin out of the house to the royal mausoleum. The characteristic in the general strucutre share banchado with rites of introduction rites of center and rites of finishing. Balin-banchado varies according to the objects and the times of a state funeral. In comparsion with Karaebanchado there are investigate the general structure cer-emonial arms and ceremonial costumes. The special feature of two banchado varies rites of center among rites of three. in the ceremonial arms aspect the characteristic of two ban-chado differ from the objects and the times. In the ceremonial costumes the peculiarity of two banchado can be divided into the guard costumes and the ceremonial arm costumes. The most formal attire of the guard costumes. were murning dress and yang-kwan-chobok and samo-danryeong In the ceremonial arm costumes the most outstanding was hongkun-hongeui baik-kun-baikeui in two banchado.
배표의(拜表儀)는 황제에게 보내는 외교문서인 표문(表文)에 치르던 의례로, 세종 대에 행하여진 배표의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직책과 그에 따른 복식을 살펴보았다. 의례 주체자인 왕은 최고 법복인 면복을 착용하였고, 면복은 구류평천관에 구장복으로 구성된다. 왕세자와 종친, 문무백관은 조복인 양관과 적라의를 착용하였다. 왕세자의 조복은 세종 10년에 오량관에서 육량관으로 바뀌었고, 문종 즉위년에 왕세자의 면복을 받아서 단종 이후에는 팔류평천관과 칠장곤복을 착용하였다. 사행원인 사자와 종사관은 상복을 착용하였다. 사자가 착용한 상복은 사모에 흑단령, 서대, 협금화이고, 종사관이 착용한 상복은 사모에 흑단령, 흑각대, 흑피화이다. 왕의 측근에서 시종하는 별감은 공복과 상복을 착용하였다. 공복은 자건에 청단령과 흑피화, 상복은 주황초립과 직령에 조아, 흑피화로 구성되었다. 의장군은 황의장과 왕의 의장이 진열되었고, 산과 개, 수정장, 금월부를 들고 있는 자는 자건에 청의를, 전도황기는 피모자에 청의를 착용하였다. 선과 금은횡과·금은입과·금은장도는 피모자에 홍의를 착용하였다. 시위군은 갑옷과 투구에 검 또는 궁시를 갖추어 착용하였다. 공인 중 악사의 복식은 복두에 비공복, 금동혁대, 비백대대, 오피리로 구성되었고, 악생은 개책에 비수란삼, 협고, 말대, 말, 오피리로 구성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세종 대에 의례복식이 의제화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표의에 참여하는 왕 이하 왕세자, 문무백관, 사자, 별감, 시위군, 공인 모두 각 품계에 맞는 최고 등급의 예복을 착용하였다. 세종은 유교를 바탕으로 한 국가를 건설하고자 거듭된 논의를 거쳐 각 의례와 그에 따른 복식을 정비하였고, 배표의 복식도 직책별로 체계적으로 갖추어졌다. 세종 대에 정리된 의례복식은 예전에 규정화되어 조선 후기까지 이어질 수 있는 기틀이 되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