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mage spread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28초

생태계교란 생물 미국가재(Procambarus clarkii)의 국내 서식과 분포 연구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Red Swamp Crawfish (Procambarus clarkii) in Korea)

  • 박철우;김종욱;조윤정;김재구;이민지;김수환
    • 생태와환경
    • /
    • 제53권4호
    • /
    • pp.331-335
    • /
    • 2020
  • 미국가재는 멕시코 북동부 및 미국 중남부가 원산지로, 전 세계에 유입되어 서식처 파괴와 토착종과의 경쟁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조사에서 영산강 6개 지점, 만경강 5개 지점, 섬진강 2개 지점 금강 1개 지점에서 확인되었으며, 주요 수계에서 정착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주군 서봉리와 함평군 모산리는 20개체 이상이 확인되어 비교적 큰 개체군을 형성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높은 이동성과 환경적응력으로 보아 확인된 지점에서 타수계로의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지속적인 확산 현황 파악과 생태계 피해 예방을 위한 지속적 제거 노력이 필요하다.

PLS-SEM을 이용한 강원도 산불 발생의 영향 요인 평가 : 가뭄 및 기상학적 요인을 중심으로 (Evaluating Impact Factors of Forest Fire Occurrences in Gangwon Province Using PLS-SEM: A Focus on Drought and Meteorological Factors)

  • 유지영;한정우;김동욱;김태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3호
    • /
    • pp.209-217
    • /
    • 2021
  • 산불은 대부분 인위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되지만, 산불의 피해가 대규모로 확산하는 연소 조건은 자연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인자 사이의 의존 및 인과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 모형(PLS-SEM)을 이용하여 기상 및 가뭄이 산불 발생에 미치는 인과관계와 영향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지난 2015년부터 약 5년 기간 동안 발생한 강원도 산불에 미치는 가뭄의 영향은 27 %, 기상학적 영향은 38 %로 확인되었다. 또한, 강원도에서 발생한 산불 중에서 봄철에 발생한 산불은 약 60 %의 비율을 차지하며, 이는 기상학적 요인과 더불어 이전 연도의 가을과 겨울철 가뭄이 산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산불 발생위험을 평가하는 데 있어 극심한 기상학적 가뭄이 가을과 겨울철에 발생했다면, 이듬해 봄에는 산불의 발생확률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고위험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확산 방지를 위한 GAN 기반 가상 데이터 생성 (Generating GAN-based Virtual data to Prevent the Spread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HPAI))

  • 최대우;한예지;송유한;강태훈;이원빈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9-76
    • /
    • 2020
  • 이 연구는 2019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이다.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는 병원성이 높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하여 발생하는 조류의 급성 전염병으로 닭, 오리 등 가금류에서 피해가 심각하게 나타난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는 연중으로 발생하기보다는 겨울철에 집중하여 발생되는 양상을 보이며, 특정 기간에는 아예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HPAI의 특성으로 인해 충분한 양의 실제 데이터가 축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 연구에서는 GAN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결측치를 포함하고 있는 실제와 유사한 데이터를 생성하였으며 해당 과정을 소개한다. 본 연구 결과는 HPAI가 발생하지 않은 특정 시기에 대하여 실제와 유사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위험도를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밀폐공간에서 액체연료 화염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Liquid Fuel Flames in the Confined Space)

  • 전길송;황지현;이태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7-93
    • /
    • 2021
  • Modern society shows rapid growth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development of existing technologies. The development of these technologies has led to the tendency of buildings to become dense, large and advancing. Regarding fire hazards, the possibility of large-scale fires causing fatal damage, due to the rapid spread of fire, increases. Therefore, for this reason, fire defense, i.e. detection and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in buildings are essential and well applied. But there are always limitations to that. Based on this reason,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introduction of a new concept of a fire safety system. The method presented here is not only to use a single system for fire detection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s but to jointly use it in the environment and energy management fields within the building. However, an important step is required before introducing a system of these technologies. The fire extinguishing method proposed by this system is a method of extinguishing by blocking oxygen flowing into the space where the fire occurred. However, a sufficient basis is needed for this system to be applied in practi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end to conduct a preliminary experiment to introduce the new concept of fire detection and extinguishing. The experiment used ethanol with a relatively simple combustion reaction and a high possibility of complete combus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how the internal values changed during a fire using ethanol. Resultingly, we obtained the internal oxygen concentration and internal environmental changes according to the initial flame size. Lastly, the data accumula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data for application in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공개형 블록체인을 활용한 신뢰기반 감염병 관리 시스템 (Trust-based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ublic Blockchain)

  • 장경배;박재훈;서화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795-801
    • /
    • 2020
  • 국가에 치명적인 감염병이 발생하였을 때, 점차 퍼지는 후속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정부의 신속한 대처와 국민들의 2차 감염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 의료기관에서 감염병을 발견하고, 이 사실이 질병관리본부까지 도달하기에는 총 4단계의 보고절차를 밟아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개형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기존 보고절차를 간소화 한다. 또한 감염병 관련 기관들만이 블록체인에서 감염병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체인의 열람권한을 일반 시민들에게도 부여한다. 빠르게 정보를 공유하고 처리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여 감염병 발생에 대한 대처와 공식발표에 신뢰를 더할 수 있다. 국민들 또한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정보들을 블록체인에서 확인하여 효율적인 차세대 방역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가짜뉴스의 시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보편적 리터러시의 구축 및 제공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Provision of Universal Literac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ra of Fake News)

  • 이정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85-10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짜뉴스의 개념과 정의를 오정보/허위정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현대사회가 가짜뉴스와 같은 정보왜곡으로 인한 사회 현실 왜곡, 민주주의 훼손에 대해 대응할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짜뉴스의 개념을 사실성과 속이고자 하는 의도성에 바탕해 살펴보고, 가짜뉴스의 생성과 파급이 이루어지는 우리의 사회 환경을 데이터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환경에서 인류의 정보접근과 활용에 중추적 역할을 하는 도서관계는 UN 2030 의제인 지속가능한 발전목표의 실현을 위해 보편적 리터러시 교육의 구축과 제공을 위해 힘써야 할 것이라 주장하였다. 데이터화 정도와 사회의 정치·경제·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조사 분석하여 해당 사회를 이해하는 것이 보편적 리터러시 교육항목 구성에 핵심이며 이런 이유로 보편적 리터러시는 각각의 사회가 가지는 데이터화 정도와 이용자에 따라 유연성있게 구현되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능동적 탐지 대응을 위한 지능적 침입 상황 인식 추론 시스템 설계 (Design of Intelligent Intrusion Context-aware Inference System for Active Detection and Response)

  • 황윤철;문형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26-132
    • /
    • 2022
  • 현재 스마트폰의 급격한 보급과 IoT을 대상으로 활성화로 인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유포하거나 지능화된 APT와 랜섬웨어 등과 같은 지능적인 침입이 진행되고 있고 이로 인한 피해도 이전의 침입보다는 많이 심각해지고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런 지능적인 악성 코드로 이루어지는 침입행위를 탐지하기 위하여 지능적인 침입 상황 인식 추론 시스템을 제안하고, 제안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능적으로 진행되는 다양한 침입 행위를 조기에 탐지하고 대응하게 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이벤트 모니터와 이벤트 관리기, 상황 관리기, 대응 관리기,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성 요소들 사이에 긴밀한 상호 작용을 통해 기존에 인식하고 있는 침입 행위를 탐지하게 하고 새로운 침입 행위에 대해서는 학습을 통해 추론 엔진의 성능을 개선하는 기능을 통하여 탐지하게 하였다. 또한, 지능적인 침입 유형인 랜섬웨어를 탐지하는 시나리오 통하여 제안 시스템이 지능적인 침입을 탐지하고 대응함을 알 수 있었다.

효율적인 코로나19 진단을 위한 그룹검사 체계 (Group Testing Scheme for Effective Diagnosis of COVID-19)

  • 성진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445-451
    • /
    • 2021
  • 최근 코로나19 확산과 피해가 늘어나는 가운데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감염자를 조기에 찾아내는 것이다. 지난 반세기 전에 등장한 그룹검사(group testing)가 최근 코로나19 진단 방법으로써 활용 가능하며 매우 효율적인 방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그룹검사 알고리즘들의 동작원리를 살펴본다. 그리고 압축센싱(compressed sensing)에서 제안한 희소 신호 복원 방법을 개선하여 그룹검사의 해법으로 제시한다. 압축센싱과 그룹검사는 연산 방법에서 차이가 있지만 희소 신호를 찾는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희소 신호 복원 방법의 성능 우수성을 보여준다. 주목할 점은 모든 결함 샘플을 정확히 찾고자 하는 그룹검사 시스템에서는 제안하는 방법이 다른 알고리즘보다 월등한 성능 향상을 보여준 것이다. 또한 결함 샘플 수가 적을 때보다는 많을 때 그 성능이 크게 개선된다.

Comparison of X-ray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to detect pest-infested fruits: A pilot study

  • Kim, Taeyun;Lee, Jaegi;Sun, Gwang-Min;Park, Byung-Gun;Park, Hae-Jun;Choi, Deuk-Soo;Ye, Sung-Jo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2호
    • /
    • pp.514-522
    • /
    • 2022
  • Non-destructive testing (NDT) technology is a widely used inspection method for agricultural product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inspection method, there is no extensive sample preparation for NDT technology, and the sample is not damaged. In particular, NDT technology is used to inspect the internal structure of agricultural products infested by pests.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pests during the import and export process can cause significant damage to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Until now, pest detection in agricultural products and quarantine processes have been challenging because they used external inspection methods. However, NDT technology is advantageous in these inspection situations. In this pilot study, w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X-ray computed tomography (X-ray 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o identify pest infestation in agricultural products. Three kinds of artificially pest-infested fruits (mango, tangerine, and chestnut) were non-destructively inspected using X-ray CT and MRI. X-ray CT was able to identify all pest infestations in fruits, while MRI could not detect the pest-infested chestnut. In addition, X-ray CT was superior to the quarantine process than MRI based on the contrast-to-noise ratio (CNR), image acquisition time, and cost. Therefore, X-ray CT is more appropriate for the pest quarantine process of fruits than MRI.

Long-Term Monitoring of the Barrier Effect of the Wild Boar Fence

  • Lim, Sang Jin;Kwon, Ji Hyun;Namgung, Hun;Park, Joong Yeol;Kim, Eui Kyeong;Park, Yung Chu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2호
    • /
    • pp.128-132
    • /
    • 2022
  • Wild boars (Sus scrofa) not only cause crop damage and human casualties, but also facilitate the spread of many infectious diseases in domestic animals and humans.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a fencing system in blocking the movement of wild boars, long-term monitoring was performed in a fenced area in Bukhansan National Park using camera traps. Upon monitoring for a period of 46 months, there was a 72.6% reduction in the number of wild boar appearances in the fence-enclosed area, compared to that in the unenclosed area. For 20 months after the fence installation, the blocking effect of the fence was effective enough to reduce the appearance of wild boars by 92.6% in the fence-enclosed area, compared to that in the unenclosed area. The blocking effect of the fence remained effective for 20 months after its installation, after which its effectiveness decreased. Maintaining a fence for a long time is likely to lead to habitat fragmentation. It can also block the movement of other wild animals, including the endangered species - the long-tailed goral. This study suggests a 20-month retention period for the fences installed to inhibit the movement of wild boars in wide forests such as Gangwon-do in South Korea. To identify how long the blocking effect of the fences las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cusing on the length and height of the fence, and the conditions of the ground su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