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lbergia odorifera T.CHE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4초

강진향(Dalbergia odorifera T.CHEN)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의 구조동정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Ethanol Extracts of Dalbergia odorifera T.CHEN)

  • 최웅;김인원;백남인;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93-897
    • /
    • 2002
  • 강진향(Dalbergia odorifera T.CHEN)은 콩과에 속하는 한약재로 한방에서는 진통(鎭痛), 지혈(止血)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Rancimat method로 항산화 활성이 인정된 강진향 75% 에탄올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층을 가지고 항산화 활성 물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silica gel chromatography 와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물질을 분리하고, mass spectrometer, $^1H-NMR$$^{13}C-NMR$을 통해 순수물질을 동정하였다. 순수 분리된 물질은 flavonoid 화합물 중 isoflavan 골격을 가지는 mucronulatol(3(R&S)-3',7-dihydroxy-2',4-dimethoxyisoflavan) 로 동정되었다. 이 물질에 대한 ascorbic acid, citric acid 및 ${\delta}-tocopherol$과의 synergist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돈지, 함유, 대두유, 옥배유를 기질로 하여 Rancimat 방법으로 시험한 결과, 돈지에 대해서는 mucronulatol(600 ppm)만 처리시 AI가 7.71, ${\delta}-tocopherol(200ppm)$과의 병용시 AI가 10.97로 약 1.5배의 상승효과가 있었으며, 식물성 유지인 팜유에 대해서는 mucronulatol(600 ppm)만 처리시 AI가 1.42, ascorbic acid(200 ppm), citric acid(200 ppm) 첨가시 AI가 각각 2.04, 2.04로 약 1.5배의 상승효과를 보였으며, 대두유와 옥배유에 대해서는 뚜렷한 상승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Isoliquiritigenin : A Competitive Tyrosinase Inhibitor from the Heartwood of Dalbergia odorifera

  • Kang, Tai-Hyun;Tian, Yu-Hua;Kim, Youn-Chul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3권1호
    • /
    • pp.32-34
    • /
    • 2005
  • Effect of isoliquiritigenin isolated from the heartwood of Dalbergia odorifera T. Chen (Leguminosae) on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was investigated in vitro using L-tyrosine and L-3, 4-dihydroxyphenylalanine (L-DOPA) as the substrates. When L-tyrosine was used as a substrate, both isoliquiritigenin and kojic acid, a positive control,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C$_{50}$ values of isoliquiritigenin and kojic acid were 61.4 and 52.2 ${\muM}$, respectively. However, isoliquiritigenin showed week inhibitory effect on the oxidation of L-DOPA by tyrosinase with inhibition ratio of 9.1 ${\pm}$ 7.1% at 100 ${\muM}$. It is also suggested that 3-unsubstituted and 4-hydroxyl phenyl group in isoliquiritigenin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when L-tyrosine was used as a substrate. Analysis of Lineweaver-Burk plot showed that isoliquiritigenin acts as a competitive inhibitor in case of L-tyrosine as a substrate.

Biochanin A의 미백 효과에 관한 연구 (Whitening Effect of Biochanin A)

  • 박성하;김아현;박병준;김진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89-294
    • /
    • 2013
  • 본 연구는 미백 소재 개발을 위하여 강진향(Dalbergia odorifera T. Chen) 추출물에서 분리한 활성물질인 biochanin A의 멜라닌 생성에 연관된 효과를 알아보았다. Biochanin A는 B16F1 melanoma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양을 억제하였으며,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는 10 ${\mu}g/mL$ 농도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48%로 나타났다.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Trp-1와 Trp-2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biochanin A는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한약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사구체혈관간세포 증식 억제활성 탐색 (Screening of Traditional Medicines for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Rat Mesangial Cells)

  • 손은화;장선아;우한구;구현정;한효상;강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52-657
    • /
    • 2013
  • 국내 유통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신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63종의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사구체혈관간 세포의 증식억제능 탐색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강진향, 고련피, 대풍자, 목향이 RMC 세포의 증식을 50% 이상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ORAC와 DPPH assay를 통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백단향, 백렴이 가장 우수한 ORAC 활성 효능을 보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는 계혈등, 귀전우, 대풍자, 반대해, 백단향, 백렴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냈다. 이 중 대풍자 추출물과 목향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사구체혈관간세포 증식억제능 모두 뛰어난 효능을 나타냈으나, 목향이 함유하고 있는 aristolochic acid는 임상적으로 신장에 독성을 일으켜 신장질환 치료제에서 제외되는 한약재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가장 뛰어난 효능을 보인 대풍자 추출물은 신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한약재 후보물질로서 분획별 항산화 활성과 유효성분 규명의 연구가 요구된다.

가자, 라벤더, 강향의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 검색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Terminalia chebula Retz., Lavandula spica L., and Dalbergia odorifera T. in RAW 264.7 Cells)

  • 채인경;유미희;김혁일;이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61-567
    • /
    • 2011
  • 염증반응의 중요한 작용인자로 알려진 nitric oxide (NO) 저해율에 대한 24종 천연물 추출물의 효과를 $25\;{\mu}g/ml$의 농도에서 검색해 본 결과, 다른 추출물에 비해 가자, 라벤더, 강향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강향은 세포 생존율이 $52.67{\pm}5.66%$인 것으로 보아 세포독성으로 인해 NO 저해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여 지므로 농도를 낮춰 다음 실험을 진행하였다. 농도별 NO생성능을 측정해본 결과. 최고농도인 $100\;{\mu}g/ml$에서 가자와 라벤더는 NO 생성량이 20-30%로 감소하였으며, 강향은 $10\;{\mu}g/ml$에서 NO 생성량이 약 30%로 다른 시료에 비해 낮은 농도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RAW 264.7 세포주에 LPS와 각각의 시료를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한 후 염증인자인 NO의 생성, 그리고 proinflammatory cytokines인 TNF-${\alpha}$의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강향 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 LPS로 유도된 염증 인자들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가자 $616\;{\mu}g/mg$, 라벤더 $73.98\;{\mu}g/mg$, 강향 $161.82\;{\mu}g/mg$으로 세 가지 추출물 모두 높은 함량을 지내고 있었으며, 특히 가자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매우 높았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가자 $96.13\;{\mu}g/mg$, 라벤더 $11.77\;{\mu}g/mg$, 강향 $41.21\;{\mu}g/mg$으로 또한 가자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RC_{50}$값은 가자 $2.09\;{\mu}g/ml$, 라벤더 $17.25\;{\mu}g/ml$, 강향 $6.31\;{\mu}g/ml$로 나타났으며 세 가지 시료 모두 낮은 $RC_{50}$값으로 DPPH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하였다. 특히 가자는 천연항산화제인 ascorbic acid ($1.57\;{\mu}g/ml$)와 비슷한 $RC_{50}$값을 나타내 뛰어난 효과로 보여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