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egu metropolitan area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5초

대구광역시 칠곡 팔계평야의 지형발달과 경관변화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Palgye Alluvial Plain and Landscape Change of the Chilgok area, Northeastern Part of Daegu Metropolitan City)

  • 황상일;윤순옥;강창혁;임원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40
    • /
    • 2010
  •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에 위치하는 팔계평야는 팔공산 가장자리를 둘러싼 환상산맥의 한 봉우리인 가산에서 발원하는 팔계천에 의해 형성된 범람원이다. 조사지역의 지형면은 자연제방과 배후습지 그리고 합류선상지로 구분되며, 자연제방과 선상지면은 청동기시대부터 인간생활의 주요한 공간으로 이용되었다. 팔계천 범람원 퇴적층은 하부에서부터 기반암, 하부역층, 하부사층, 하부실트층, 상부사력층, 표층인 상부실트층으로 세분된다. 하부역층은 최종빙기에 퇴적되었으며 나머지 층준은 홀로세 범람퇴적물이다. 선상지도 최종빙기에 형성되었다. 2000년대 이전의 토지경관은 지형면의 특징을 반영하였으나 이후에는 도시화로 인하여 거의 아파트단지가 조성되면서 지형경관은 크게 바뀌었다.

부산지역의 기후변화와 매립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clamation of the Foreshore and Climate Change in Busan Area)

  • 도근영;조용수;이정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759-766
    • /
    • 2004
  • 부산은 서울, 대구 등 내륙도시와는 달리 도시화 과정에 수역의 매립이 포함되어 있어 도시화에 의한 도시기후변화에도 매립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3대 도시인 서울, 부산, 대구의 기후변화요인과 70여 년간의 기상데이터를 비교ㆍ분석하여 부산의 기후변화 특성 및 매립과 기후변화의 관련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부산에서 매립이 진행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서울, 부산, 대구의 기후변화 요인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서울, 대구의 경우는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최저기온의 연평균 상승이 현저한 것에 비해 부산은 매립이 진행된 시기에 최고기온의 연평균 상승이 현저함을 밝혔다.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영향 요인 (The Influencing Factors on Adolescent's Self-Efficacy)

  • 전은영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1권2호
    • /
    • pp.116-123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n adolescent's self-efficacy. Method: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7th through 12th graders(N=1710) enrolled in middle schools(N=873) and high schools(N=837) in the metropolitan area of Daegu. The instruments had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self-efficacy, the life event checklist, and Family APGA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the stress. However, in case of the subjects who recorded higher scores at self-efficacy they showed higher scores at family func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owerful predictors of adolescent's self-efficacy were family function and relations of schoolmate.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we can find that the family function and relations of schoolmate were actual factors theta affected the self-efficacy of adolescents. Accordingly, affirmative emotion in family, harmonic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and sharing housekeeping works is recommended as a useful method in order to enhance the family function, and then the self-efficacy of adolescence will be increased.

  • PDF

신호위반 단속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대구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umber of Enforcement on Traffic Signal Violation - Focused on Daegu City -)

  • 김기혁;정윤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6D호
    • /
    • pp.553-560
    • /
    • 2010
  • 본 연구는 신호위반 단속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신호위반 단속건수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모형을 개발하여 예측된 모형을 통해 신호위반 단속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규칙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교통사고의 위험을 항시 내포하고 있는 교통법규 위반행위가 빈번한 지역에 대한 무인다기능단속시스템의 설치기준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GIS와 다요소의사결정방법(MCE)에 의한 김해 대청공원 집단시설지구 적지분석 (Land Suitability Analysis of Collective Facility Area in the Kimhae Daechung Park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Multi-Criteria Evaluation)

  • 황국웅;이규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45-53
    • /
    • 2000
  • 지리정보체계(GIS)에 의한 도면중첩방법은 지도화된 명목척도의 기준들에 대하여 적합한 위치를 찾는 문제에는 이상적인 방법이 될 수 있으나, 다수의 불명확한 기준을 가진 경우에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반면에, 다요소의사결정(MCE)기법은 다수의 결정요인을 가진 복잡한 위치결정의 문제를 푸는 좋은 방법이다. 이러한 GIS와 MCE의 결합에 의한 접근방법은 다수의 결정요인을 가진 적지분석을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수행하는 도구가 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김해 대청공원 집단시설지구의 위치선정과정을 사례로 소개하였다.

  • PDF

패션라이프스타일 집단에 따른 편집매장에 대한 인지, 태도 및 구매의도의 차이 (Differences in Awarenes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Multi-Brand Stores among Fashion Lifestyle Groups)

  • 최미화;박광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38-451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awarenes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r multi-brand stores among fashion lifestyle group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12th and September 30th 2016 with women in their 20s to 40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usan, Gyeongnam area, Daegu, and Gyeongbuk area. Data were collected from 417 women and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a Dunca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showed that fashion lifestyle was divided into five factors such as individuality orientation, practicality orientation, conspicuous orientation, fashion orientation, and economic orientation.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economic pursuit group, individuality seeking group, active fashion seeking group and practicality seeking group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 facto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warenes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multi-brand stores among fashion lifestyle groups. Fashion seeking group was more aware of,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and purchased more fashion products in multi-brand stores than other groups.

인구잠재력을 이용한 광역도시 개편에 따른 공간구조변화 분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Spatial Structure Changes according to the Reorganization of Metropolitan City Using Population Potential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 김호용;배은솔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3-94
    • /
    • 2020
  • 연구대상지인 부산광역시는 1995년 본격적인 지방 자치 제도의 시행과 함께 광역시로 승격하게 됨에 따라 인구와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주변지역을 흡수하면서 전체적인 변화를 맞이하였다. 현재는 광역도시로 개편된 지 25년이 지난 시점으로 공간구조차원에서 도시전체의 균형 있는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진단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 공간상호작용을 위한 잠재력의 의미인 인구잠재력을 시공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공간구조 변화와 권역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기본계획에서 도심 및 부도심으로 설정된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광역도시 개편에 의해 편입된 강서구와 기장군은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전체의 균형발전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에 대한 지역혁신성장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시외곽에 존재하는 개발제한구역에 의해 공간의 발전축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연구대상지 내에 개발제한구역이 존재하는 다른 권역은 편입된 지역과 다르게 성장하는 패턴이 나타났다. 따라서 편입지역의 정체 원인을 토지이용규제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속적인 성장 관리방안 수립을 통하여 계획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구시 열대야 대응 구역 설정을 위한 야간 찬공기 유동성 분석 (Analysis of Nocturnal Cold Air Flow Characteristics for Setting of Tropical Night Response Zone in Daegu)

  • 서보용;이상범;권순범;차재규;정응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0-235
    • /
    • 2020
  • 도시에서의 폭염발생은 기본적으로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받으나, 도시에서 발생하는 인공열 배출과 열축적이 큰 토지피복의 영향으로 더욱 가중된다. 특히 도시폭염의 영향은 야간 열대야 발생에도 직접적 영향을 준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주간의 폭염대응에 비해 열대야 대응수단 선택은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를 대상으로 열대야 대응 방안으로 야간 찬공기 유동 특성을 분석하고 이의 공간적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찬공기 유동 분석 프로그램인 KLAM_21을 활용하여 대구시의 찬공기 유동의 공간적 특성인 찬공기 높이 및 유동범위와 유속 및 유동방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구시 주변산지에서의 찬공기 생성, 유동은 매우 활발하나 열대야 발생지역인 도심지역으로 유입이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시가지에서는 주변산지로부터 유입되는 찬공기 유동성이 매우 활발하여 열대야 대응에 매우 효과적인 공간적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공간적 조건을 도시계획적 차원에서 활용하면 열대야 대응방안 개발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치과기공소의 연도별 증가율 및 분포현황 조사 연구 - 1990년부터 2002년까지 - (A Study on the yearly Increase ratio and The Distribution ratio of Dental Laboratories in Korea - From 1990 to 2002 -)

  • 권순석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43-159
    • /
    • 2003
  • In this study, the data and the Statistical Annual Report of the Korean Dental Technology Association and the yearbook of Health-Welfare Ministry from 1990 to 2002 were surveyed to study and analyze the yearly increase rate and regional distribution rate of the national dental laboratories and dental clinics, the rate of dental laboratories to dental clinics.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help dental technicians to open the rational and effective dental laboratory which considers the regional condition and the distribution of dental clinic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The yearly increase rate of overall dental laboratories is 2.01 times to 2002 by the criteria of 1990. The most laboratories was increased in 1995(+94) but the least laboratories was increased in 2000(+13). According to the regional increase rate, Kyounggi Association showed the highest increase rate (7.00 times) but Woolsan Association showed the least increase rate (1.45 times) for the past 5 years. Busan Association had increased by 1.47 times by the criteria of 1990. 2) According to the regional distribution rate of dental laboratories, Seoul area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rate from the minimum 26.72%(in 2002) to the maximum 35.23%(in 1990) every year, and before 1993, Busan area showed the high distribution rate of 12.49% and Daegu area 12.38%. 3) In the case of the national increase rate, dental clinics had increased by 2.01 times to 2001 by the criteria of 1990 and dental laboratories, whose number was 1,482 in 2002, had increased by 2.01 times to that year. The rate of the national dental laboratories to dental clinics went up an average of 1: 7.57 for 12 years. In 1994, the rate showed the highest 1:7.91 and in 1990, the rate showed the least 1:7.17. 4) The metropolitan rate of dental laboratories to dental clinics showed the average of 1:6.70 for 12 years, and the rate was highest in 1992(1:7.15) and the rate lowest in 1999(1:6.33). 5) The rate of dental laboratories to dental clinics in other areas was 1:9.53, the average of 12 years and was highest in 1991(1:9.97) and was lowest in 1990(1:8.79). (6) The rate of the Korean dental laboratories to dental clinics was 1:7.37 in 2001, the metropolitan rate was 1:6.53 and the rate in other areas was 1:9.10. According to the regional distribution rate, the rate of Kyounggi was highest (1:15.58) and the rate of Daegu was lowest(1:3.03).

  • PDF

보행적 측면에서 노인친화형 공원의 유치거리 도출 및 녹지서비스 지역 평가 - 보행자 측면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ducement Distance of Senior-Friendly Park and Evaluation of Green Service Area - Focused on the Pedestrian Aspect -)

  • 조현주;이순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실제 대상지를 선정하여 비교실험을 통해 신체적 변화를 고려한 노인친화형 공원의 유치거리를 도출하고자 한다. 우선 연령별 500m(도시공원의 설치 및 규모의 기준에서의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의 유치거리)의 보행시간을 도출해 본 결과, 65세 이하의 청 장년층인 대조군의 평균 보행시간은 536초, 65세 이상의 실험군인 노인층은 889초로 청 장년층에 비해 노인층의 보행시간은 약 1.7배 더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른 보행시간을 분석해 본 결과, 65세 이후로부터 여성에 비해 남성의 보행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조군과 실험군의 평균보행시간을 활용하여 속력을 도출하였다. 비례공식을 적용한 가중치의 값은 0.6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근린생활권근린공원의 유치거리인 500m에 접목시켜 본 결과, 노인친화형 공원의 유치거리는 300m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대구광역시 중 노인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중구를 대상으로 노인친화형 공원 유치거리인 300m를 적용시켜 녹지서비스 소외지역을 정량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도시공원 서비스 지역은 $2,425,747m^2$, 도시공원 서비스 소외지역은 $4,627,700m^2$로 나타났으며, 분배적 형평성에 따르면 행정동 별로 도시녹지의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